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프로스포츠 팬의 플로우경험,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구조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low Experience,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for Pro Sports Fan
  • 비영리 CC BY-NC
ABSTRACT
프로스포츠 팬의 플로우경험,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구조관계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low experience,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for pro sports fan. For this study, 700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quota sampling method and 664 data were used except data which did not respond or trustlessly respond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19.0 version and AMOS 5.0 version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e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All tests were performed using a .05 significance level. The obtaine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low experience factor had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psychology satisfaction, relax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among leisure satisfaction. Seco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laxation satisfaction among leisure satisfaction factor had positive effect on enjoyment among psychological happiness. satisfaction. Third, environmental satisfaction, psychology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mong leisure satisfaction factor had positive effect on confidence among psychological happiness. satisfaction.

KEYWORD
flow experience , leisure satisfaction , psychological happiness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국내 프로야구는 국제무대에서 선전과 KBO 및 각 구단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으로 2012년 시즌에는 700만 관중을 돌파하였다. 또한 2013년 시즌에는 NC다이노스의 합류로 9개 구단으로 리그를 운영하며, 야구계의 숙원인 제 10구단 창단도 극적으로 승인되었다.

    프로야구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인프라 개선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2만5000석 이상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구장은 잠실과 사직, 문학구장 뿐이다. 광주, 대구, 대전구장은 프로팀의 홈구장이라 하기엔 크게 낙후되어 있다. 우천시에도 경기를 진행할 수 있는 돔구장은 여전히 없고, 기존 구장들의 주차 및 편의시설이 부족해 늘어나는 관중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경기를 관람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유성현, 2012. 11. 5). 장기적 측면에서 프로야구의 제반환경 개선은 그 동안 팬으로만 여기던 관중을 고객의 관점에서 휴식공간이며 여가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프로스포츠가 국민적 여가 수단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재 관람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과 함께 여가적 측면에서 프로스포츠 관람객을 분석하여 최적의 여가 장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프로스포츠 관람객은 여성 관람자 및 가족단위 관람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러한 현상은 각 구단이 다양한 팬 층을 고려한 마케팅전략이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양도업, 배상우, 정현(2011)는 최근 야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여성 관람객의 유입이 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여성시장이 남성시장에 비해 개척 가능성을 많이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시장을 공략하는 구단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자가 함께 만족할 수 있는 공원 개념의 프로야구 문화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김지영, 정연길, 강현민(2011)에 의하면 관중을 고객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긴밀한 유대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과 실천이 어느 정도 구체화 되고 있는지 분석해 볼 시기라고 하였다. 또한 강윤남(2008)은 프로야구 구단들은 점차 다양화, 개성화 되어가고 있다고 제시하면서, 프로야구 구단은 관중에 대한 권리와 유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동안 ‘팬’으로만 여기던 관중을‘고객’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프로스포츠에 있어 소비자 행동에 관한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단에서는 관람객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세우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소비자 행동 연구가 중시되고 있다(이동욱, 2004). 이러한 측면에서 관람스포츠에 있어 소비자 행동에 대해 여가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은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황주용, 신종근, 태성호(2014)는 프로스포츠 관람자의 성향을 여가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몰입(flow)은 인간행동을 연구하는 사회학, 경영학, 심리학, 교육학 등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강조하는 의미에 따라 몰입이라는 용어는 commitment, involvement, flow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플로우란 용어는 여가활동의 속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면서 여가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변수로 사용되고 있다(이효선, 2006).

    Csikszentmihalyi(1975)는 플로우 경험이란 일반적 생활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종의 상태인데, 이러한 상태는 개개인이 주어진 환경과 최적의 상호작용을 할 때 발생될 수 있으며, 즐거운 상태로 하였다. 플로우의 초기 연구는 일상에서 내적 보상을 받는 활동, 즉 생산적인 경제활동과 무관하지만 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활동을 하는 아마추어 운동선수, 암벽 등반간, 무용수, 작곡가 등을 대상으로 그들의 주관적인 경험의 질에 관심을 가지며 경험표집법을 사용하여 내적보상을 어떻게 느끼며 왜 보상을 받고자 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Csikszentmihalyi, 1977). 플로우는 여가활동보다는 일 환경 속에서 자주 발생하지만 사람들은 일보다는 여가활동에서 많은 동기부여가 된다(Csikszentmihalyi & LeFevre, 1989). 김민철(2011)의 연구에 의하면 프로야구 관람객이 지각하는 주의집중, 도전의식은 플로우의 구성요소인 즐거움, 각성, 시간인식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플로우란 용어는 Csikszentmihalyi(1990)는 최적의 경험(optimal experience)이며, 스포츠 경기 관람에서 플로우를 경험한다고 제시하였다. 한편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는 관람자의 경우 경기의 질에 대해 가치 판단을 내리고 경기력을 평가하며, 이를 통해 스포츠 경기에 대한 평가적 경험을 하게 된다(Deighton, 1992). 이러한 평가를 통해서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는 관람자의 경우 경기 자체에 몰입하고 관여하게 된다(Mardrigal, 2006).

    전용배, 하제형, 김종백(2011)에 의하면 관람 스포츠에서도 내재적 동기는 관람자의 소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핵심적 개념이지만, 대부분의 관람스포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외재적 동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고 주장하였다. 최근 들어 프로스포츠 관람자의 플로우 연구는 플로우와 관람만족의 관계분석(김민철, 2011), 팀 몰입과 충성도와의 관계분석(김범식, 2006; 김용만, 이준원, 김은정, 2006; 임기태, 장진, 이상호, 2009), 관여도와 플로우경험과의 관계분석(김종백, 하제현, 김석주, 2010) 등 내재적 관점에서 일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마케팅적 측면에서 결과변수를 적용하여 관람자의 여가성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프로스포츠 관람자를 대상으로 플로우경험을 여가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결과변수를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으로 적용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생활체육 참여자의 운동몰입, 여가몰입, 몰입 경험에 관한 연구는 여가만족과의 관계분석(김송희, 2008; 김태성, 차지원, 2010; 남경완, 임승현, 2010; 박명국, 김경렬, 오근희, 2010; 박현욱, 서세훈, 강승애, 2010; 송기현, 허진영, 2010; 유승각, 2009, 임영삼, 안병욱, 2011)을 통해 다수의 연구자가 규명하였다. 이들 연구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참여스포츠 활동을 통해 얻어진 몰입경험은 여가만족을 높이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프로스포츠 관람객의 경우 관여도 및 태도에 따라 팀 동일시 성향이 강하게 작용함으로(김용만, 김세윤, 이정슬, 2011) 여가로서 프로스포츠 관람과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규명은 매우 의미 있는 해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가만족은 여가활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결과로서 개인이 형성하거나 획득하는 긍정적 인식정도 또는 감정이라 할 수 있다(Beard & Ragheb, 1980). 이러한 여가만족은 주관적인 감정 상태로 정확한 기준은 없지만, 인간이 여가활동을 통하여 내면으로 느낄 수 있는 긍정적인 기분상태이며, 적극적인 여가활동은 삶의 질 측면에서 기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문보영, 이경희, 2011). 한편, 심리적 행복감은 다양한 요인들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긍정적 인지적, 정서적 상태라고 하였다(양명환, 1998). 즉,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평가로서, 자신의 삶을 질적 수준에서 판단하는 다차원적 심리상태인 심리적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이다(김경, 전선혜, 2012). 최근 참여스포츠 대상자로 진행된 선행연구들은 여가만족과 심리적 행복의 인과관계 규명(김경, 전선혜, 2012; 민경훈, 김수겸, 2008; 신연수, 2011; 이제홍, 최원오, 이혁, 2012)과 몰입과 심리적 행복의 인과관계 규명이 이루어지고 있다(김준희, 이무연, 2009; 신승엽, 2010; 임영삼, 이상덕, 2010; 오수일, 신혜숙, 2008).

    종합해 볼 때, 프로스포츠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플로우 연구는 마케팅적으로만 해석되어지고 있어 여가학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프로스포츠 팬들의 성향분석은 기존 여가학 분야에서 많은 부분 연구되지 않은 비교적 탐험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관람 스포츠에 있어 여가학적 분석은 프로스포츠 발전 및 관람스포츠를 통한 여가선용 기회 측면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되어진 스포츠경영학적 측면에서 프로스포츠 관람객 관중성향 및 플로우를 기초로, 여가학적 측면에서 플로우 경험,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프로스포츠 관람이 대중적인 여가활동으로 확대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4 : 플로우경험은 여가만족(환경적 만족, 심적적 만족,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12 : 여가만족(환경적 만족, 심적적 만족,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즐거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표집은 2014년 5월 1일~2014년 5월 15일까지 대구, 부산에서 경기 관람한 20세 이상 성인관람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와 일정 교육을 받은 보조연구원 5인과 함께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 자리에서 수령하는 방식으로 설문 작성자에게 설문의 목적과 기입방법을 설명해 준 뒤 비확률 표본 추출법 중 할당표본추출법(quota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이중 679부가 회수되었고, 조사 자료가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는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664부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먼저 성별에서 남자가 378명(56.9%), 여자가 286명(43.1%)으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많았고, 연령은 20대 389명(58.6%), 30대 168명(25.3%), 40대 79명(11.9%), 50대 이상 25명(3.8%)으로 20대 관람소비자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79명(11.9%), 대학재학 251명(37.8%), 대학졸업 292명(44.0%), 대학원이상 42명(6.3%)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관람횟수는 1회~2회 189명(28.5%), 3회~4회 127명(19.1%), 5회~6회 133명(20.0%), 7회~8회 39명(5.9%), 9회 이상 172명(25.9%)으로 조사되었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써 이를 구성한 변인들은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는 변인들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될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플로우경험,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플로우 경험을 묻는 문항은 Koufaris(2002)Novak, Hoffman, Young(2000)의 연구를 토대로 김용만, 정정희, 야마구찌 야스호(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프로야구 관람자의 여가만족에 관한 설문지는 Beard와 Ragheb(1980)가 개발한 여가만족척도(Leisure Satisfaction Scale: LSS)척도를 이종길(1992)이 최초로 번안하여 김송희(2006)가 검증한 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심리적 행복감은 Ryff(1989)의 PEAQ(Personally Expresive Activities Questionnaire)와 심리적 행복감 척도(The Scle of Psychological Well-being)를 참고로 하여 양명환(1998)이 개발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3. 타당도 및 신뢰도검증

    본 연구에서 활용된 설문지의 타당도는 예비검사를 통해 여가학 교수 2인과 검사지 개발 경험이 있는 심리학 교수 1인이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로우 경험, 여가만족, 심리적 즐거움에 관한 문항을 요인화하기 위하여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모델은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직교회전(varimax)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요인은 Eigenvalue가 1 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하였다. 먼저 플로우 경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표 2>와 같이 단일 요인이 추출되었고, 추출된 요인은 전체변량의 72.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플로우경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플로우경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프로야구 관람 시 여가만족에 대한 탐색적요인분석 결과, <표 3>과 같이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추출된 요인은 전체변량의 66.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1은 환경적 만족, 요인 2는 심리적 만족, 요인 3은 휴식적 만족, 요인 4는 사회적 만족으로 명명하였다.

    [표 3.] 여가만족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여가만족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프로야구 관람 시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표 4>과 같이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추출된 요인은 전체변량의 58.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1은 즐거움, 요인 2는 자신감으로 명명하였다.

    [표 4.] 심리적행복감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심리적행복감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신뢰계수인 Crobach's α를 산출하여, 전체문항과 각 문항간의 관련성의 정도를 가지고 검증하였다. 각 요인의 내적 합치도인 Cronbach`α는 모든 요인에서 .70이상으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거친 측정항목들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검증하기 위해 AMOS 5.0을 이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의 <표 5>와 같다.

    [표 5.]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label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자료와 얼마나 잘 부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CFI, TLI, RMSEA 적합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적합도 분석결과 χ2검증에서 p값(≥.05가 바람직)이 모든 지수에서 기각되었다. 하지만 χ2검증이 표본의 크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χ2통계량을 자유도로 나눈 값을 나타내는 Normed Chi-Square(NC)를 분석하였다. NC는 여가만족 2.92, 심리적 행복감 2.94로 나타나 기준치인 3을 초과하지 않아 적합도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여 다른 적합도 기준들을 살펴보았다. CFI, TLI, RMSEA 수치를 고려하여 자료에 얼마나 적합하지를 검토해 본 결과,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TLI와 CFI는 대략 .90 이상이면 모형의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간주되며(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Bentler, 1990; Tucker & Lewis, 1973), RMSEA 값이 .06 이하이면 적합도가 좋은 모형, .06~.08 사이이면 좋은 모델로 평가하였다(Hu & Bentler, 1999). 이러한 기준을 고려했을 때 여가만족의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CFI .966 TLI .952, RMSEA .054로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된다. 또한 심리적 행복감의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CFI .976 TLI .964, RMSEA .054로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된다.

       3. 자료처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응답한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 후 664부의 표본을 최종 표본으로 활용하여 컴퓨터에 개별 입력(coding)시키고, SPSS 19.0 version for Window 및 AMOS 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전산 처리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AMOS 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설정한 모형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실시되었다.

    Ⅲ. 결과

       1.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후 프로스포츠 팬의 플로우경험,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의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는 <표 6>과 같이 나타났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다중공선성의 기준치인 .80보다 모든 변인에서 작게 나타났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다고 판단된다.

    [표 6.]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label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들 간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모형의 적합도 수준은 다음 <표 7>과 같다.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를 보면 Normed Chi-Square(NC)=3.145 CFI=.917, TLI=.905, RMSEA=.057로 대부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설정한 구조모형은 실증자료로 설명하는데 있어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표 7.]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label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3. 가설 검정

    본 연구에서 설정된 구조모형이 결과를 살펴보면 <표 8>와 같이 나타났다.

    [표 8.] 구조모형 경로계수

    label

    구조모형 경로계수

    먼저 플로우 경험은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t=6.574, p<.001), 심리적 만족(t=12.167, p<.001), 휴식적 만족(t=13.801, p<.001), 사회적 만족(t=11.837, p<.001)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t=3.230, p<.001), 휴식적 만족(t=7.543, p<.001)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만족(t=-2.132, p<.05)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즐거움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리적 만족은 즐거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t=4.324, p<.001), 심리적 만족(t=7.185, p<.001), 사회적 만족(t=2.792, p<.01)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휴식적 만족은 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Ⅳ. 논의

    본 연구에서는 프로야구 관람자를 대상으로 플로우경험,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구조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야구 관람자의 플로우 경험은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 심리적 만족,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프로스포츠 관람객은 스포츠 관람을 통해 플로우를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여가만족감을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김지영, 이충영, 류동수(2013)는 트라이애슬론 동호인을 대상으로 여가몰입은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사회적, 환경적, 생리적, 심리적, 휴식적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하였으며, 강동호, 이웅기, 최영래(2013)은 사회인 야구 참가자를 대상으로 여가몰입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축제 체험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몰입경험은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심리만족, 교육만족, 사회만족, 휴식만족, 신체만족, 환경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최근 대부분의 연구에서 몰입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남경완, 임승현, 2010; 박명국 등, 2010; 안수운, 이철화, 2013; 이상일, 2011; 임영삼, 안병욱, 2011; 조방현, 2011), 이러한 연구는 여가학 분야에서도 참여형 스포츠에 한정된 결과이다. 따라서 참여 스포츠와 함께 관람 스포츠의 플로우경험은 여가만족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관람객이 없는 프로스포츠는 있을 수 없음으로 구단측면에서 다양한 이벤트 프로그램개발 및 수준 높은 경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프로스포츠 관람을 여가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프로스포츠 관람객을 여가학적 측면에서 규명하는 것은 프로스포츠 경기장을 여가의 장으로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해 주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 변수인 즐거움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병주(2014)는 외식기업 이용객의 여가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강동호 등(2013)은 사회인야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여가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김경, 전선혜(2012)은 수영참가 노인들을 대상으로 여가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신연수(2011)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여가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여가만족도의 하위변수인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즐거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여,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이 즐거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즐거움에 부적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와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하지만 신연수(2011)의 연구는 초등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시 여가만족과 즐거움의 관계를 규명한 것으로 20세 이상의 성인관람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와는 다른 의미로 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프로스포츠 관람을 통한 여가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주목할 점은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즐거움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제시한 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관람스포츠의 경우 사회적 관계형성 및 사교의 기회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만족요인은 프로스포츠 관람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장면을 직접 관람하지 못하는 부적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고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종합해 볼 때, 프로스포츠 경기장이 여가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면 국민의 건전한 여가선용 측면에서 다양한 팬 서비스가 가능하며 복합적인 문화 및 레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건전한 관람 문화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프로스포츠 팬 성향을 여가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제공하는 것은 프로스포츠구단측면에서 신시장 개척 및 팬 저변 확대를 도와 장기적 측면에서 프로스포츠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여가학적 측면에서 플로우 경험,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프로스포츠 관람이 대중적인 여가활동으로 확대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구, 부산에서 경기 관람한 20세 이상 성인관람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664명의 프로야구 관람객을 대상으로 SPSS 19.0과 AMOS 5.0 프로그램을 활용하한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플로우 경험은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 심리적 만족, 휴식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참여스포츠 관람객을 대상으로 조사된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관람스포츠의 경우 프로우 경험을 통해 프로스포츠 관람객은 여가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둘쨰,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즐거움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의 하위변수인 환경적 만족,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은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변수인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람스포츠 관람을 통해 여가에 만족감을 느끼고 심리적 행복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 1. 강 동호, 이 웅기, 최 영래 (2013) 사회인야구 참가자의 여가경험, 여가유능감,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2 P.397-411 google
  • 2. 강 윤남 (2008) 프로스포츠 구단 웹 사이트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서비스 요인 분석. google
  • 3. 김 경, 전 선혜 (2012) 수영참가 노인들의 사회적지지,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및 참여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Vol.51 P.53-62 google
  • 4. 김 민철 (2011) 프로야구 관람객이 지각하는 플로우(flow)와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의 관계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50 P.213-223 google
  • 5. 김 범식 (2006) 프로스포츠 웹사이트 몰입과 팀 충성도, 사회신뢰 그리고 지역사회 정체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Vol.45 P.87-99 google
  • 6. 김 송희 (2006) 여가활동참여자의 생활만족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google
  • 7. 김 송희 (2008) 여가활동참여자의 여가유능감, 여가경험 및 몰입경험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2 P.257-265 google
  • 8. 김 용만, 김 세윤, 이 정슬 (2011) 프로배구 관여도와 관람가치, 프로배구 태도, 팀 동일시 및 재관람의도와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Vol.22 P.1755-1767 google
  • 9. 김 용만, 이 준원, 김 은정 (2006) 스타플레이어의 속성이 관중의 구단에 대한 동일시, 몰입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Vol.17 P.83-94 google
  • 10. 김 용만, 정 정희, 야스호 야마구찌 (2012) 한일 프로축구 관중의 관람플로우와 팀동일시, 관람만족 및 팀 충성도와의 구조적 관계. [체육과학연구] Vol.23 P.121-135 google
  • 11. 김 종백, 하 제현, 김 석주 (2010) 프로야구 관람자의 각성, 기술, 도전, 상호작용, 관여도가 플로우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Vol.49 P.415-424 google
  • 12. 김 주환, 김 민규, 홍 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google
  • 13. 김 지영, 이 충영, 류 동수 (2013) 트라이애슬론 동호인의 사회적지지와 여가몰입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7 P.130-144 google
  • 14. 김 지영, 정 연길, 강 현민 (2011) 프로야구단 웹사이트 이용만족, 사이트재방문, 구매의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5 P.283-294 google
  • 15. 김 준희, 이 무연 (2009) 레저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스포츠 몰입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3 P.101-112 google
  • 16. 김 태성, 차 지원 (2010) 한,일 정구 활동 참여자의 몰입경험, 여가만족, 생활만족,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4 P.141-161 google
  • 17. 남 경완, 임 승현 (2010) 골프장 이용객의 몰입경험과 행동유형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4 P.27-38 google
  • 18. 민 경훈, 김 수겸 (2008) 직업군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인과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2 P.21-32 google
  • 19. 문 보영, 이 경희 (2011) 라이프스타일이 여가활동,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중대학생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Vol.13 P.265-281 google
  • 20. 박 명국, 김 경렬, 오 근희 (2010)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참여정도에 따른 운동 몰입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4 P.83-93 google
  • 21. 박 현욱, 서 세훈, 강 승애 (2010) 스키동호인의 참여동기와 운동몰입,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 의사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4 P.115-127 google
  • 22. 송 기현, 허 진영 (2010) 생활체육 참여자의 각성추구성향과 운동몰입 및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4 P.93-102 google
  • 23. 신 승엽 (2010) 골프연습장 참여자의 여가몰입, 운동중독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4 P.19-31 google
  • 24. 신 연수 (2011) 초등학생의 여가참여유형이 여가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0 P.533-544 google
  • 25. 안 수운, 이 철화 (2013) 배드민턴 동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운동몰입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3 P.401-411 google
  • 26. 양 도업, 배 상우, 정 현 (2011) 국내 프로야구의 관중과 마케팅 테크닉 전략.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5 P.201-214 google
  • 27. 양 명환 (1998)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인지적-정서적 상태 측정지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9 P.113-123 google
  • 28. 이 동욱 (2004) 프로축구 관람 유인 전략. [한국스포츠리서치] Vol.15 P.1031-1059 google
  • 29. 이 상일 (2011) 여가대학생 교내경기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몰입 및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P.67-81 google
  • 30. 이 제홍, 최 원오, 이 혁 (2012) 스크린 골프 이용자의 참여동기에 따른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8 P.507-516 google
  • 31. 이 종길 (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google
  • 32. 이 효선 (2006) 관여도와 몰입에 따른 Inbound시장 세분화: 방한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국제지역연구] Vol.10 P.900-918 google
  • 33. 임 기태, 장 진, 이 상호 (2009) 프로스포츠 종목별관람자 특성에 따른 팀 몰입과 충성도의 관계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8 P.515-525 google
  • 34. 임 영삼, 안 병욱 (2011) 승마 동호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몰입, 여가만족, 생활만족간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P.77-88 google
  • 35. 임 영삼, 이 상덕 (2010) 노년기 스포츠여가로서 자전거 참가동기가 여가몰입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Vol.42 P.685-696 google
  • 36. 오 수일, 신 혜숙 (2008) 무용 활동에 참여한 노인여성들의 심리적 행복감, 자아존중감과 몰입경험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4 P.725-732 google
  • 37. 유 성현 2012 '700만 관중시대' 프로야구, 대박 행진 속 이면의 그늘. [스포츠서울] google
  • 38. 유 승각 (2009) 레저스포츠의 재미요인과 몰입경험이 참가자의 여가만족 및 지속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8 P.1375-1390 google
  • 39. 장 병주 (2014) 외식기업 이용객의 정신적 웰니스,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 삶의 질 간의 관계연구. [관광경영연구] Vol.18 P.213-232 google
  • 40. 전 용배, 하 제현, 김 종백 (2011) 프로야구 관람자의 플로우(flow)경험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46 P.409-420 google
  • 41. 조 방현 (2011) 스키동호회 참여에 따른 몰입경험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가웰니스학회지] Vol.2 P.27-37 google
  • 42. 황 주용, 신 종근, 태 성호 (2014) 프로야구 경기장내 이벤트 프로그램이 여가태도 및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구 삼성 라이온즈 야구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6 P.617-627 google
  • 43. Beard J. G., Ragheb M. 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2 P.20-33 google
  • 44.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P.238-246 google cross ref
  • 45. Csikszen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 anxiety. google
  • 46. Csikszentmihalyi M. (1977) Finding fol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google
  • 47. Csikszentmihalyi M., LeFevre J. (1989) Optimal experience in work and lei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6 P.815-822 google cross ref
  • 48.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qerience. google
  • 49. Deighton J. (1992) The consumption of performa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9 P.362-372 google cross ref
  • 50. Hu L. Z., Bentler P. M. (1999)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n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1-55 google cross ref
  • 51. Koufaris M. (2002)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low theory to online consumer behaviou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3 P.205-223 google cross ref
  • 52. Mardrigal R. (2006) Measuring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sporting event performance consump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8 P.267-292 google
  • 53. Novak T., Hoffman D., Young Y. F. (2000)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 online environments: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Marketing Science] Vol.19 P.22-42 google cross ref
  • 54. Ryff C.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 Pers Soc Psychol] Vol.57 P.1069-1081 google cross ref
  • 55. Tucker L. R., Lewis C.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38 P.1-10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2. ]  플로우경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플로우경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3. ]  여가만족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여가만족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4. ]  심리적행복감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심리적행복감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5. ]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 [ 표 6. ]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 [ 표 7. ]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 [ 표 8. ]  구조모형 경로계수
    구조모형 경로계수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