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캠핑참여 가족들의 삶의 의미추구를 통한 의미발견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mping participant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캠핑참여 가족들의 삶의 의미추구를 통한 의미발견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f families are able to fulfill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rough finding the true meaning in life or if psychological wellbeing is fulfilled just by pursuing the search for meaning in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67 family unit camping participants from Gyeonggi, Kangwon, Chungcehong area. SPSS 21.0 and AMOS 22.0 was used in data processing and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 pursuing meaning in life of family camping participants showed that it has positive influence in finding the meaning of life proving that pursuing the meaning of presence is an antecedent in finding the true meaning of life. Second, search for meaning of life had influence in all detailed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positive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purpose of life, environmental governance proving that it search for meaning of life has positive influ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pursuing meaning showed positive and direct influ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turning out to be a incomplete mediation model. As a result, family unit camping participants are able to obtain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they reach the level of finding meaning in life, but can directly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just by pursu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conducting recreational activities with one’s family. Therefore, recreational activities such as camping can significantly influence one’s pursuit of meaning and can positively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KEYWORD
family camping participants , pursuit of meaning , finding the meaning , psychological wellbeing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주말이 가까워 오면 차에다 이삿짐처럼 많은 짐을 실고 떠나는 가정을 흔히 볼 수 있다. 가끔은 트레일러를 차에 달고 열심히 달리는 차와 마주치곤 한다. 도심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족과 함께 참여 하는 캠핑(camping)이 대표적인 여가활동이다(유용석, 곽대영, 2011; 이병열, 정윤창, 2012). 캠핑(camping)은 좋은 자연환경에서 텐트를 치고 숙식하는 활동과 심신의 경험을 통해서 즐거움 및 삶의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활동이다. 또한, 전문적인 레저활동들에 비해 시간과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다(유용석, 2009). 최근 조사에 따르면 30대에서 40대의 절반 이상이 가족과 캠핑을 즐기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정현, 2012). 이와 같이 캠핑은 혼자하는 경우 보다 가족단위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김 영재, 2013; 유용석, 곽대영, 2011).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가족이 여가를 함께 보내지 않는 경우 청소년 비행 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obertson, 1999). 또한 가족중심으로 참여하는 캠핑은 다른 여가 활동보다 가족 간에 유대관계를 강화시키고(Freeman & Zabriskie, 2007), 가족 간의 불화 및 가족 부적응에 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고 하였다(Burg, 2000; Gillis & Gass, 1993; Hill, 1988). 이처럼 가족 중심의 캠핑을 통한 적극적인 여가의 활용은 여가활동의 주체가 개인보다는 가족이 기본단위가 되는 기틀을 마련해 준다(윤소영, 윤주, 2008).

    우리나라 캠핑인구는 2011년 말 기준으로 250만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동호회도 2,000개 정도로 해마다 참여자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관광정보시스템, 2012). 이와 같이 캠핑은 야외 레크리에이션활동을 대표함에도 불구하고 신체활동이 큰 여가활동에 연구들이 집중되어 있다(김난희, 2011). 또한 가족단위로 여가활동에 관련된 연구 역시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대표적인 활동인 캠핑참여 가족들의 여가활동이 증가하고 있지만 효과적인 여가활동을 위해서는 참여자들이 추구하는 의미추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안녕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안녕감과 좋은 삶(good life)의 지표로 삶의 의미의 역할이 대두되면서 삶의 의미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한 시도가 되어지고 있다(김경희, 이희경, 2013). 선행연구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의미발견의 과정을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라는 두 개의 개념으로 나누어 이 둘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Steger, Kawabata, Shimai, & Otake, 2008; Klinger, 1998; Baumeister, 1991; Frankl, 1963). 국내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에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있고 의미추구 동기가 높을수록 의미를 발견할 가능성이 더 크며, 또한 의미를 발견한 사람들 역시 의미를 추구하려는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보라, 신희천, 2010; 김유진, 2013;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정미영, 2013; 정주리, 이기학, 2007). 따라서 삶의 의미의 두 가지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구분하여 이들 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이와 관련된 개념과 기능을 구체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캠핑관련 선행연구에서는 가족캠핑 참여에 따른 가족 건강성과 지속행동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김영재, 2013), 전형상 및 김형훈(2014)의 캠핑참여자의 여가기능과 여가몰입의 관계, 오토캠핑이 가족여가만족, 생활만족, 가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신충식, 박정열, 2013) 등 요인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는 여가활동으로 캠핑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지만 캠핑참여 가족들의 관계 특성을 알아보기 에는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캠핑참여 가족들의 삶의 의미추구를 통하여 의미발견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를 파악하여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 라이프스타일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여가참여에 있어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김경희, 이희경, 2013; 조은향, 2008; 조은혜, 이동귀, 배병훈, 2012; 정주리, 이기학, 2007; Peterson, Park, & Seligman, 2005; Ryff, 1989; Zika & Chamberlain, 1992). 의미추구는 자신의 존재를 이해하고자 하는 심리적 요구이다(Steger, Kashdan, Oishi, & Kaler, 2006). 또한 자신의 성장을 위한 열망과 동기이며, 새로운 기회를 통한 도전을 추구하는 과정이다(Steger, Kawabata, Shimai, & Otake, 2008). 즉, 의미추구는 개인의 행동영역에 대한 의미발견에 있어 긍정적 형성에 기여한다. 이와 같이 의미추구는 새로운 동기를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개인을 가치 있게 성장하도록 만들어주어 의미발견에 영향을 준다(정미영, 2013). 따라서 캠핑참여 가족들에게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여 여가참여의 열망과 행동영역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 다른 선행 연구에서는 의미발견은 심리적 안녕감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김유진, 2013; 원두리, 김교헌, 2006; 정주리, 2007; Tedeschi & Calhoun, 2004; Zika & Chamberlain, 1992). 의미발견은 긍정적인 심리적 자원으로 삶의 의미와 기능과 관련된 요인이다(정미영, 2013). 이는 이들의 심리적안녕감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삶의 의미발견을 하는 과정은 자신의 목적을 지향하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심리적안녕감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Brassaia, Piko, & Steger, 2011; Steger, Kawabata, Shimai, & Otake, 2008; Zika & Chamberlain, 1992).

    한편, 비슷한 맥락에서 김유진(2013)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미추구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의미추구와 관련하여 중요요인으로 심리적안녕감이 연구되고 있다(김경희, 2011; 심미성, 2006; 허지연, 2007; Folkman, Chesney, Collette, Boccellari, & Cooke, 1996). 이와 같이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추구요인이 의미발견을 통한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와 의미추구가 직접적으로 심리적안녕감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의미발견의 매개효과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추구에 따른 의미발견을 파악하고, 그들의 의미추구 정도가 심리적안녕감에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 지를 의미발견을 매개요인으로 중요요인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의 결과는 캠핑참여 가족들은 의미추구만으로 심리적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아니면 반드시 의미 발견이 매개변인으로 작용을 하여야 심리적안녕감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봄으로써 캠핑참여 가족들의 심리적안녕감을 높이는 경로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2. 연구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이 연구의 대상은 경기, 강원, 충청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캠핑장 9군데를 대상으로 캠핑에 참여한 가족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4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 이루어 졌으며, 표집방법은 비확률 표본추출법인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80명을 표집하였다. 표집된 자료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자료 13개의 자료를 제외한 총 267개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연구도구

    이 연구에서 캠핑참여 가족들의 삶의 의미추구를 통한 의미발견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이 이들 요인 간에 매개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캠핑참여 가족들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측정하기 위해 Steger, Frazier, Oishi, & Kaler(2006)이 개발하고, 원두 리, 김교헌 및 권선중(2005)이 번안한 삶의 의미척도(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MLQ) 를 사용하였다. 삶의 의미척도는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두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하위문항은 4문항씩이며, 전체 8문항으로 연구 대상자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두 하위척도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의미추구 척도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의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동기가 강함을 의미하며, 의미발견 문항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인생에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응답형 태는 “언제나 그렇다”의 7점에서 “전혀 아니 다”의 1점의 Likert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심리적안녕감 측정문항은 17문항으로서 Ryff (1989)가 개발한 심리적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번안한 후 한국 상황에 적합하도록 류정희 및 이명자(2007)가 사용한 내용 타당도와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통해 재구 성한 심리적안녕감 척도를 연구에 맞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하위요인으로는 긍정적대인관계, 자아수용, 삶의목적, 환경지배력을 측정하는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응답형태는 “매우 그렇다”의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의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3. 타당도 및 신뢰도검증

    이 연구에서는 단일항목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에 관하여 Steger, Frazier, Oishi, & Kaler(2006)의 연구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신뢰도 값은 각각 .87, .86으로 나타났고 원두 리, 김교헌 및 권선중(2005)의 연구에서는 의미 추구와 의미발견 모두 .88로 나타났다. 이 연구 에서는 의미추구의 신뢰도는 .922, 의미발견은 .890으로 나타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요인을 구성하는 다 항목에 대하여 단일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직교회전 중 베리맥스(varimax)방식을 통해서 각 요인별로 요인적재값 .5 이상, 요인 설명력은 .5 이상(Bagozzi & Yi, 1988; Challagalla & Shervani, 1996; Singh & Rhoads, 1991)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표 2>와 같이 추출되었다.

    [표 2.] 심리적안녕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심리적안녕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심리적안녕감 문항을 중심으로 내적 일관성 신뢰도검사를 한결과, 구성개념에 대한 신뢰도는 .7을 기준으로 해서 볼 때(Nunnally, 1978), 심리적안녕감의 하위요인 모두 .7이상(.766~.869)으로 나타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표 2>와 같다.

       3. 자료처리 방법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의미추구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은 Anderson과 Gerbing(1988)의 제안한 2단계 분석 절차에 따라 측정모형을 검증한 이후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모형적합도는 CFI(Comparative Fit Index), TLI(Tucker Lewis Index),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oroxiation)를 사용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 기준은 CFI와 TLI는 .95 이상이며, RMSEA는 .06 이하의 경우에 좋은 모형으로 해석하여 사용하였다(Hu & Bentler, 1999).

    1) 측정모형의 검증

    먼저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단일요인을 가지고 측정하였고, 심리적안녕감(긍정적대인관계, 자아수용, 삶의목적, 환경지배력)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요인을 연구에 맞게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 후 나타난 요인들을 측정변수에 맞도록 문항 묶음(item parceling)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각 개념의 일차원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이후, 구조모형과 동일한 변수들을 모두 투입한 상태에서 전체 측정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전에 측정모형이 타당한지를 검증해야 한다는 Anderson과 Gerbing(1988)의 제언에 따라 이루어졌다.

    2) 구조모형의 검증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삶의 의미추구는 외생변수로, 의미 발견, 그리고 심리적안녕감이 내생변수로 구성된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Ⅲ. 결과

       1. 상관관계분석

    이 연구에서는 단일차원성이 확인된 요인들의 적합도를 검증하기에 앞서 각 요인들 간의 판별 타당성의 충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요인간의 관계가 모두 가설에서 설정한 바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나타나 있고 서로 상관이 매우 높은 관계(.8 이상)가 나타나지 않아 다중공산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Kline, 2011).

    [표 3.]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label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전 측정모형을 검증하는 것은 각 측정변수들이 해당 잠재변수를 설명하는 것이 타당한가를 확인하는 절차이다(Anderson & Gerbing, 1988).

    잠재변인을 설명하는 측정변인들의 모든 요인 값은 유의했고, 이상의 과정을 거쳐 구성된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x2(74)=170.078(p<.001), TLI=.942, CFI=.953, RMSEA=.070로 전반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산출되었고, 측정모형의 경로계수는 다음 <표 4>에 제시한 바와 같으며, <그림 1>과 같다.

    [표 4.] 측정모형의 경로계수

    label

    측정모형의 경로계수

       3. 경로분석의 검증

    캠핑참여 가족들의 삶의 의미추구에 따른 의미발견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를 측정모형으로 검증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본 후 적합도 수준이 높게 나와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은 <그림 2>와 같다.

    측정모형에 카이자승 차이검증의 결과를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모델적합도가 양호하여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값은 <표 5> 에 제시하였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면 x2(74)=170.078(p<.001), TLI=.942, CFI=.953, RMSEA=.070로 나타나서 측정모형과 값이 같은 동치모형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모형 역시 좋은 적합도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나타나는 불완전 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표 5.]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label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상기의 근거에 따라 Bootstrap 검증(Biascorrected 추정법, 2,000 sampling)을 실시한 결과, Lower Bounds 값은 .380, Upper Bounds 값은 .822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미발견은 의미추구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의미 추구 역시 심리적안녕감에 직접적으로도 유의한 불완전매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모형의 경로계수는 다음 <표 6>에 제시한 바와 같다.

    [표 6.]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및 가설검증결과

    label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및 가설검증결과

    위와 같이 연구모형에서는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추구는 의미발견에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발견은 심리적안녕감에 정(+)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의미추구는 심리적안녕감에는 정적(+) 으로 영향을 주는 불완전매개모형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Ⅳ. 논의

    이 연구의 목적은 캠핑참여 가족들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개별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추구가 높을수록 의미발견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주리, 이기학(2007)의 연구에서도 삶의 의미추구는 의미발견을 촉진하며, 궁극적으로 주관적안녕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의미를 찾고자 했으나 의미발견을 하지 못한 사람들은 삶에 낮은 적응수준을 나타냈다는 선행연구 결과(Davis, Wortman, Lehman, & Silver, 2000)와 더불어 의미추구만으로는 우리의 삶의 질이 고양되지 않고 반드시 의미발견까지 이어질 때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삶의 의미를 발견한 사람들은 자신만을 위해 살지 않고 남들을 위해 배려하면서 살아가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Frankl, 1963). 이는 가족에 있어서도 부모의 마음과 같이 주변인을 먼저 배려해주는 특성을 가지게 되며, 주변인과의 사랑과 신뢰를 함께 경험하는 가치를 실현하게 해준다(정미영, 2013). 이와 같이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을 통해 가족이 서로 할 일을 나누고 서로의 역할을 배워나가는 것을 통해 자신이 가족의 일원임을 재인식하며, 모두가 소중한 가족의 일원임을 깨닫게 되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삶의 의미추구는 캠핑과 같은 여가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강화시켜며(김유진, 2013), 가족의 유대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주기 때문에 가족형 여가 활동의 중요성이 현대사회에 더욱 요구되어진다.

    둘째,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발견이 높을수록 심리적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미발견이 심리적안녕감에 밀접한 정적 관련을 맺고 있음을 의미한다(김유진, 2013; 원두리, 김교헌, 2006; 정주리, 2007; Tedeschi & Calhoun, 2004; Zika & Chamberlain, 1992). 캠핑 참여 가족에 관련 해서 김진옥 및 김남조(2013)의 연구에서 캠핑 참여 가족들은 대부분 가족간의 유대관계에 가치 있는 시간을 보내기 위해 참여한다고 하였으며, 캠핑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텐트치는 일과 불을 붙이는 일이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것들을 가족 구성원이 서로 돕는 모습에서 부모님의 야외활동 모습은 일상생활과 다르게 보다 친근하게 느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캠핑을 통한 소소한 야외활동을 같이 참여 하면서 가족들 간의 다양한 추억이 만들어져서 삶의 의미발견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가 만들어진다. 또한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대인관계형성과 일생을 살아가는 삶의 목적을 만들어 주며(정미영, 2013), 청소년에 있어서는 주변 환경의 적응력을 높여 전인적 성장을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추구가 높을수록 심리적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선행연구(심미성, 2006; 허지연, 2007; Folkman, Chesney, Collette, Boccellari, & Cooke, 1996; Peterson, Park & Seligman, 2005; Ryff, 1989; Zika & Chamberlain, 1992)와 같은 결과임을 알 수 있다. 김경희(2011)는 의미추구를 위하여 이상적인 목적을 찾고 더 많은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그 목적을 성취한다고 하였다. 특히, 의미추구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삶의 의미를 발견할 가능성이 더 크며, 의미를 이미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의미를 추구하려는 욕구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조은혜, 이동귀, 배병훈, 2012). 따라서 적극적으로 삶의 의미를 추구하지 않았더라도 우연히 의미를 발견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며, 또한 의미를 발견했다는 사실 자체에 이미 의미를 추구했다는 것에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연구 결과에서와 같이 캠핑참여 가족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삶의 의미추구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삶의 의미를 깊이 깨달은 사람들은 삶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느꼈으며(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이러한 삶의 의미추구는 심리적안녕감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준다(맹일환, 2013; 원두리, 김교헌, 2006; Tedeschi & Calhoun, 2004; Zika & Chamberlain, 1992). 따라서 캠핑참여 가족들은 의미추구 자체가 야외활 동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경험에서 나타나고 이러한 경험은 가족간의 신뢰와 배려 등 다양한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가족간의 심리적안녕감을 키워 준 결과로 해석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추구는 심리적안녕감과 의미발견 모두에 정(+)의 영향을 주는 불완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연구에서도 의미발견이 의미추구와 심리적안녕감 사이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고 제시하였다(김유진, 2013). 이는 삶의 의미가 안녕감에 기여하는 중요요인이라는 점을 동의한다(김경희, 이희경, 2013; 원두리, 김교헌, 2006; Bauer, & Mcadams, 2004; King & Napa, 1998). 따라서 캠핑참여 가족들의 경우 의미추구는 매개변수인 의미발견을 통해 심리적안녕 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였으나 의미추구가 직접적으로도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캠핑참여 가족들의 심리적안녕감을 증진을 위해서는 캠핑과 같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 자체가 의미 추구를 높여주어 여가활동 동기를 활성화 시켜 주며, 이는 결국 의미발견을 이루어져서 여가 활동적인 활력을 만들며, 결국 심리적안녕감에 직접 혹은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행태인 캠핑은 대인관계 개선 및 자아수용의 자세 형성과 삶의 목적의 확립, 환경지배력의 강화 등이 키워져서 결국 심리적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캠핑활동과 같이 가족이 함께 참여하고 나누는 여가활동들이 더 많이 요구되어진다.

    Ⅴ. 결론

    이 연구의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추구가 높을수록 의미발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광범위하게 다루어지는 삶의 의미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보다 명료화하여 나누어 그 특성을 밝힌 연구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둘째,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발견이 높을수록 심리적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캠핑을 통한 의미발견은 곧 여가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져 결국 심리적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캠핑참여 가족들의 의미추구가 높을수록 심리적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미발견은 의미추구와 심리적안녕감 사이에서 모두에 정(+)의 영향을 주는 불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이러한 중요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대상이 경기, 강원, 충청지역의 캠핑장으로 국한 되었기 때문에 일반화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충분한 사례수와 다양한 지역의 표본을 확보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또한 캠핑참여 가족집단의 심리적요인들만 연구하였기 때문에 가족문제나 청소년 비행예방과 치유 기능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 1. (2012) 국내 캠핑수요 증가로 관련 산업 성장 기대. google
  • 2. 김 경희 (2011) 긍정정서와 자기결정성 요인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google
  • 3. 김 경희, 이 희경 (2013) 의미추구와 긍정정서가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Vol.32 P.107-124 google
  • 4. 김 난희 (2011) 레저제약과 레저스킬의 모형화에 관한연구. google
  • 5. 김 보라, 신 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여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Vol.22 P.117-136 google
  • 6. 김 진옥, 김 남조 (2013) 오토캠핑 참여자의 동기, 가치,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관광연구] Vol.28 P.45-70 google
  • 7. 김 영재 (2013) 가족캠핑 참여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지속행동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7 P.1-14 google
  • 8. 김 유진 (2013) 삶의 의미추구 및 발견, 기본심리 욕구와 안녕감의 관계. google
  • 9. 류 정희, 이 명자 (2007) 청소년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Vol.4 P.55-77 google
  • 10. 맹 일환 (2013) 직장인의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의미를 매개변인으로. google
  • 11. 박 정현 (2012) 문화와 소비를 주도하는 대한민국 30대의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 [마케팅] Vol.46 P.40-47 google
  • 12. 신 충식, 박 정열 (2013) 오토캠핑이 가족여가만족, 생활만족,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Vol.11 P.139-157 google
  • 13. 심 미성 (2006)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 삶의 의미와 역할. google
  • 14. 원 두리, 김 교헌 (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 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Vol.11 P.125-145 google
  • 15. 원 두리, 김 교헌, 권 선중 (2005) 한국판 삶의 의미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Vol.10 P.211-225 google
  • 16. 유 용석, 곽 대영 (2011) 오토캠핑의 심리적 편익에 영향을 미치는 오토캠핑 속성. [관광산업연구] Vol.5 P.16-31 google
  • 17. 유 용석 (2009) 오토캠핑객의 여가동기, 여가속 성, 여가편익, 궁극적 가치 사이의 영향 관계. google
  • 18. 윤 소영, 윤 주 (2008) 가족여가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google
  • 19. 이 병열, 정 윤창 (2012) 오토캠핑체험, 만족, 행동 의도 간의 관계 연구: 4Es 이론을 중심으로. [관광 레저연구] Vol.24 P.275-294 google
  • 20. 전 형상, 김 형훈 (2014) 캠핑참여자의 여가기능과 여가몰입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Vol.53 P.321-330 google
  • 21. 정 미영 (2013) 삶의 의미와 두 요인에 관한 연구: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기능과 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P.153-180 google
  • 22. 정 주리 (2007) 삶의 의미발견 과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google
  • 23. 정 주리, 이 기학 (2007) 의미발견을 통한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모형검증: 문제해결 책임감과 긍정적 재해석을 매개로. [상담학연구] Vol.8 P.1311-1323 google
  • 24. 조 은향 (2008)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검증. google
  • 25. 조 은혜, 이 동귀, 배 병훈 (2012)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과정에 따른 진로성숙도: 긍정 정서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Vol.13 P.2049-2065 google
  • 26. 허 지연 (2007) 청년기와 중년기 집단에서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자기 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google
  • 27. Anderson J. C.,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P.411-423 google cross ref
  • 28. Bagozzi R. B.,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P.74-94 google cross ref
  • 29. Bauer J. J., Mcadams D. P. (2004) Growth goals, maturity, and well-being. [Developmental Psychology.] Vol.40 P.114-127 google cross ref
  • 30. Baumeister R. F. (1991) Meaming of life. google
  • 31. Brassaia L., Piko B. F., Steger M. F. (2011) Meaning in life: Is it aprotective factor for adolescent’s psychological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18 P.44-51 google cross ref
  • 32. Burg J. E. (2000) Adventures in family therapy. [Journal of Systemic Therapies] Vol.19 P.18-30 google
  • 33. Challagalla G. N., Shervani T. A. (1996) Dimensions and types of supervisory control: E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Vol.60 P.89-105 google cross ref
  • 34. Davis C. G., Wortman C. B., Lehman D. R., Silver R. C. (2000) Searching for Meaning in loss: Are clinical assumptions correct. [Death Studies] Vol.24 P.497-540 google cross ref
  • 35. Folkman S., Chesney M. A., Collette L., Boccellari A., Cooke M. (1996) Post-bereavement depressive mood and its pre-bereavement predictors in HIV+ and HIV- gay 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336-348 google cross ref
  • 36. Frankl V. E. (1963) Man's search fo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y. google
  • 37. Freeman P. A., Zabriskie R. B. (2007) The role of outdoor recreation in family enrichment. [Journal of Adventure Education & Outdoor Learning] Vol.2 P.131-145 google cross ref
  • 38. Gillis H. L., Gass M. A. (1993) Bringing adventure into marriage and family therapy: An innovative experiential approach.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19 P.273-286 google cross ref
  • 39. Hill M. S. (1988) Marital stability and spouses shared time. [Journal of Family Issues] Vol.9 P.427-451 google cross ref
  • 40. Hu L., Bentler P.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1-55 google cross ref
  • 41. King l. A., Napa C. K. (1998) What makes life g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5 P.156-165 google cross ref
  • 42.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oogle
  • 43. Klinger E. (1998) The search for meaning in evolutionary perspective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In P. T. P. Wong & P. S. Fry(Eds.), The human quest for meaning: A handbook of Psychologic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27-50 google
  • 44. Nunnally J. (1978) Psychometric methods google
  • 45. Peterson C., Park N., Seligman M. E. P. (2005)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ull life versus the empty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6 P.25-41 google cross ref
  • 46. Robertson B. J. (1999) Leisure and family: Perspectives of male adolescents who engage in delinquent activity as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1 P.335-358 google
  • 47.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P.1069-1081 google cross ref
  • 48. Singh J., Rhoads G. K. (1991) Boundary role ambiguity in marketing oriented position: A multidimensional, multifaceted operationalis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8 P.328-338 google cross ref
  • 49.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Kaler M. (2006)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3 P.80-93 google cross ref
  • 50. Steger M. F., Kawabata Y., Shimai S., Otake K. (2008) The meaningful life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Levels and correlates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42 P.660-678 google cross ref
  • 51. Tedeschi R. G.,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Vol.15 P.1-18 google cross ref
  • 52. Zika S., Chamberlain K. (1992) On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ritsh Journal of Psychology] Vol.83 P.133-145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2. ]  심리적안녕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심리적안녕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3. ]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 [ 표 4. ]  측정모형의 경로계수
    측정모형의 경로계수
  • [ 그림 1. ]  측정모형
    측정모형
  • [ 그림 2. ]  연구모형의 가설검증결과
    연구모형의 가설검증결과
  • [ 표 5. ]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 [ 표 6. ]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및 가설검증결과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및 가설검증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