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Research on the therapeutic function of movie with focus on the plot and music of movie 사건구성과 배경음악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영화의 치료적 기능 연구
  • 비영리 CC BY-NC
ABSTRACT
Research on the therapeutic function of movie with focus on the plot and music of movie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영화치료는 주로 영화를 감상한 후 사건의 구성과 배우들의 연기에 관한 논의나 작품의 전체적인 감상을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세 가지 분야는 영화를 감상하면 제일 먼저 느끼는 부문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른바 감상치료 위주의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반면에 시간이 많이 걸리기는 하지만, 치료효과가 아주 탁월한 제작치료(일반적으로 표현치료의 범주에 속한다.)도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이에 대하여 「영상의 재활 기능연구」(『드라마연구』, 2010)라는 논문에서 입증한 바 있다. 영화는 사건 구성, 배우들의 연기, 배경 음악, 세트를 중심으로 한 미술 등이결합된 종합예술의 속성을 강하게 띠고 있다. 따라서 영화를 매개로 한 감상치료적 가치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로 논의한 다음 이를 다시 종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어떤 관객은 영상 속의 음악에 대하여 혹은 배경에 대하여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고, 그것이 심리적 안정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매체가 될 수도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영화의 치료적 기능을 탐구하되, 그 배경음악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고자 한다. <올가미>는 유명한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의 주제곡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고 있고, <아름다운 비행>은 ‘Ten Thousand Miles'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고 있다. <올가미>에서는 배경음악이 정신치료 대상자인 어머니의 심리 상태를 잘 드러내고 있다고 보인다. <축배의 노래>를 통하여 아들과의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하여 며느리의 존재를 부정하는 시어머니의 심정이 잘 드러난다. <아름다운 비행>에서는 교통사고로 죽은 엄마에 대한 딸의 감정이 세밀하게 묘사되었다.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은 거위에 대한 사랑의 표현과 ‘Ten Thousand Miles'를 통하여 점차 해소되어 간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바탕으로 하는 이 영화들에서는 그 배경음악이 사건 진전과 등장인물들의 심리 상태를 잘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영화와 배경음악을 정신적 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활용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이제 남은 것은 이를 임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KEYWORD
production therapy , music therapy , externalizing conversation , oedipuscomplex , electra complex
  • 1. 서론

    최근에 들어 영화를 중심으로 한 영상의 치료적 기능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주로 영화를 감상한 후 사건의 구성과 배우들의 연기에 관한 논의나 작품의 전체적인 감상을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세 가지 분야는 영화를 감상하면 제일 먼저 느끼는 부문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영화를 중심으로 한 영상 작품은 사건 구성, 배우들의 연기, 배경 음악, 세트를 중심으로 한 미술 등이 결합된 종합예술의 속성을 강하게 띠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 분야에 관한 논의만으로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그렇다고 하여 앞에서 언급한 모든 분야에 관해 한꺼번에 한 자리에서 논의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그리하여 미약하기는 하겠지만, 영화를 중심으로 한 영상 작품의 진정한 치료적 가치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로 논의한 다음 이를 다시 종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어떤 관객은 영상 속의 음악에 대하여 혹은 배경에 대하여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고, 그것이 심리적 안정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매체가 될 수도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영화의 치료적 기능을 탐구하되, 그 배경음악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제기하는 이러한 가설이 타당성을 얻으면 한국통합예술치료학회와 영화특성화 대안학교인 안동영화예술학교에서 임상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2. 논의의 출발점

    영화 음악은 영화를 볼 때에만이 아니라, 영화를 보고 나서도 관객의 뇌리에 오래도록 남아 있다. 그 한 예로 <내일을 향해 쏴라(Butch Cassidy And The Sundance Kid)>를 들 수 있다.1)

    이 영화는 1890년대 미국을 주름잡았던 전설적인 은행강도이자 열차강도였던 부치 캐시디와 선댄스 키드의 삶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폴 뉴먼과 로버트 레드포드의 콤비도 돋보이고, 이 영화를 더욱 돋보이게 해준 건 바로 영화음악이었는데 폴 뉴먼이 로버트 레드포드의 여자 친구를 자전거에 태우고 달리는 장면에서 사용되었던 “raindrops keep falling on my head”는 아카데미 음악상과 주제가상을 받을 만큼 영화와 아주 잘 어울리는 명곡으로서 국내에서도 각종 방송이나 광고 등을 통해서 널리 알려져 있는 음악이기도 하다.2)

    자전거는 우리의 삶에서 낭만적 소재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다.3) 폴 뉴먼이 레드포드의 여자 친구를 자전거에 태우고 달리는 장면은 영화 전체에서 대조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이들이 자전거를 타는 순간은 은행 강도가 가질 법한 강박관념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들이 자전거를 타고 가면서 듣는 음악은 영화 속 현실과 등장인물들 사이의 긴장감을 완화시켜주는 요소이다. 는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노래이다.

    B.J. Thomas가 부른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이 노래 가사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는 마지막 구절에 담겨 있다고 하겠다. ‘빗방울이 머리위에 떨어지네 / 하지만 이러한 사실이 / 날 울게 하지는 못할거야 / 나 자신을 위해선 울지 않을거야 / 불평은 하지만 / 비를 그치게 하지도 않을거야 / 난 자유롭기에 그 무엇도 / 나를 괴롭힐 수가 없으니까…

    난 자유롭기에 그 무엇도 나를 괴롭힐 수 없다는 것은 주인공들의 죽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그들은 범죄자들이고 악당들인데, 그들이 노래 가사처럼 자유로운 인간이라면 집단의 질서 유지에는 유해한 존재들이기 때문에 제거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들이 영화의 마지막에서 죽음에 이르는 데에도 관객들은 슬픔에 젖지 않는다. 그들이 죽음 앞에서 당당하기도 하지만, 배경 음악에서 이미 죽음을 예고하고 있되, 밝은 톤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이처럼 영화 속의 음악은 관객들의 심리 속으로 깊게 파고들어, 전개되는 사건을 간파하게 하는 작용을 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사건 전개에서 오는 감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영화 배경음악은 관객들의 심리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의 중요한 한 분야인 배경음악을 소재로 하여 정신적 질환 치유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한 시도라고 하겠다. 특히 문학적인 측면이 강조된 시나리오를 대본으로 한 영화에서는 배경음악이 훨씬 더 강력한 기능을 가질 것으로 본다. 왜냐하면 문학적인 측면이 강조된 시나리오는 이미 ‘마음의 극장(closet theater)'을 활용하여 관객들의 상상력을 최대한으로 극대화한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영화를 치료기재로 쓸 것인가에 대해서는 몇 가지 단계가 필요하다. 우선 그 영화 작품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 있어야 한다. 단지 감동적인 영화이다, 뜻깊은 영화다,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영화이다 등등의 감상 결과만으로 그 영화를 치료기재로 쓸 수는 없다. 정신적 치료를 원하는 대상자들은 어떤 영화나 영상 작품에 대하여 일반인들이 느끼는 정서와는 다른 느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인들이 크게 감동하는 부분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6)

    그러므로 어떤 영화를 어떤 대상자들에게 적용할 것인가는 영화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한 다음에 반드시 임상실험을 거쳐야 한다. 마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거치는 의학적 과정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외국의 사례에서 좋은 결과를 얻은 작품이라고 해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라고 추정해서는 안 된다.

    임상 실험 후에는 도출된 결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치료 기재로 활용하여야 한다. 임상 실험이 적절하였는가에 대한 검증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적절한 사례를 찾아서 치료함으로써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영화 작품의 개관적 분석 과정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자면, 영화 배경음악이 해당 영화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하고, 이를 어디에 적용하면 좋을지 추정해 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한국 영화 <올가미(The Hole)>와 호주 영화 <아름다운 비행(Fly away home)의 배경음악이 영화 속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하는 점과 영화 내용과 관객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 주고 있는가 하는 점을 살펴서, 이 두 작품이 영화치료의 기재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가를 점검하도록 하겠다.

    1)1969년 조지 로이 힐 감독의 작품, 미국, 110분. 뉴 시네마의 신경지를 개척, ‘웨스턴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는 이 작품은 1890년대 남미 볼리비아에서 악명을 떨친 두 실존의 미국인 무법자 부치와 선댄스의 범죄 행각과 꿈을 좇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다. 갱단을 이끌고 은행만 전문적으로 터는 이들은 그러나 사람을 해치기를 최대한 피하는 '양심적' 강도들이다. 미래에 대한 희망도 없이 돈이 생기면 써버리고 없으면 은행을 터는 그들이지만 세상을 바라보는 눈은 매우 낙천적이고 낭만적인 측면도 없지 않다.(http://movie.daum.net/movieinfo/news/movieInfoArticleRead.do?articleId=497893)  2)http://bbs.movie.daum.net/gaia/do/movie/menu/review/read?bbsId=review1&articleId=163994  3)네오리얼리즘 영화로 널리 알려진 <자전거 도둑>(1948, 비토리오 데 시카 감독)에서 자전거는 생계의 수단으로 제시되어 경제적 효용성을 고려하게 하지만, 많은 경우에 자전거는 사랑의 매개체로 작동하고 있다.  4)비르기트 볼트 저, 『시네마테라피』, 을유문화사, 2006. 51쪽~52쪽  5)음악의 구성 요소인 크기(volume), 빠르기(tempo), 음색(timbre), 리듬(rhythm), 멜로디(melody), 화성(harmony), 형식(form) 등도 음악치료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이다.(허순희, 「음악치료의 원리와 이론적 기초」,『兒童敎育』 12권 1호 2003.) 참조  6)실제로 학습 부적응자들이 학습하고 있는 영화특성화 대안학교에서 영화감상을 지도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교훈적 의미가 강하다고 평가되는 작품들에 대해서 좋은 작품이라고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3. 고부갈등의 원인이 된 아들에 대한 집착

       3.1. <올가미>의 사건구성

    <올가미>는 아들에게 집착하는 어머니와 아들이 사랑하는 며느리간의 갈등을 그린 것으로, 1997년 제작된 김성홍 감독의 스릴러 드라마 영화이다.7)

    이 영화의 사건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프라이타크의 ‘삼점오부설’에 맞추어서 모티프를 정리하였다.

       3.2. <올가미>의 배경 음악

    이 영화에 쓰인 주된 배경 음악은 오페라 에 나오는 ‘축배의 노래’이다. ‘축배의 노래’는 파리에 방금 도착한 시골청년 알프레도가 향락적인 삶을 살다가 폐병에 걸린 비올레타에게 바치는 사랑의 노래이다. 비올레타는 죽어가면서 알프레도와 다시 만나고, 이들은 지난날의 아름다웠던 때를 그리워하지만, 비올레타는 결국 숨을 거두고 만다.

    그 가사는 다음과 같이 지금 당장 열정적인 사랑을 나누자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올가미>에서 진숙은 밤을 새고 나서 아들과 아침 식탁에서 만날 기쁨에 ‘축배의 노래’를 듣고 따라 부르면서 식사를 준비한다.8) 아침에 듣고 부르는 ‘축배의 노래’는 진숙이 아들에 대해 가지는 사랑의 표시이자, 마음의 표현이다. 다시 말하자면, 진숙은 뒤집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동우는 어머니에게 하고 싶은 것을 다 해달라고 하고, 진숙은 아들을 장난감으로 여기고 있다.

    그런데, 카메라의 각도가 ‘eye level'에서 ’down'으로 이동하면서, 진숙의 즐거움이 새로운 방향으로 진전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eye level'은 카메라와 피사체의 높이가 비슷함으로써, 관객이 대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일상적인 각도이다. 'down'은 카메라가 피사체의 머리 위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로 촬영함으로써, 피사체의 존재가 왜소하거나 보잘 것 없음을 드러낼 때 쓰이는 기법이다.

    진숙의 장난감을 소유하려는 또 다른 존재인 수진이 나타나자, 진숙은 경쟁의식과 장난감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욕망을 표현할 수밖에 없다. 진숙은 수진에게 의도한 것 같지 않게 교묘한 방법으로 자신의 윗몸 노출을 통하여 자신의 육체적 건강함도 보여준다. 마침내 진숙은 우월적 지위를 이용하여 수진을 물고문하고, 또 다시 ‘축배의 노래’를 듣는다. 동우는 역시 나의 것이라는 일시적 승리감에 사로잡힌 것이다. 이는 약화된 근친상간의 욕망 표출이라고 하겠다. 또한 이것은 진숙이 동우와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하여 자신의 내부에 있는 가학증을 드러내는 부분이기도 하다.

    진숙, 동우, 수진의 삼각관계에서 진숙은 수진과 소통하지 않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고, 소통의 부재가 문제의 발단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고치려고 하지 않는다. 진숙은 며느리인 수진과 소통이 이루어지면, 자신의 장난감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아들을 빼앗길 것이라는 강박관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동우와 수진이 진숙과의 소통을 시도하지만, 진숙의 단호한 태도 때문에 번번이 무산되고 만다. 세 사람 사이에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지면 수진에 대한 진숙의 생각이 드러나고, 그걸 아들 동우가 알면 자신에게 더욱 큰 불행이 닥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진숙은 그들 사이의 소통을 거절한다.9)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어머니와 며느리는 우울한 상태로 한 집에 기거해야 하는데, 이는 지속될 수 없는 불행이다. 가족들의 이러한 불행한 동거는 진숙에게 조울증을 가져온다. 아들을 대하는 진숙은 조증을 갖고 있고, 며느리를 대하는 그녀의 자세는 울증에 젖어있다.

    그런데,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에서 ‘축배의 노래’가 지니는 기능을 참조해 보면, 이 노래 이후에 진숙에게 불행이 다가옴을 추정할 수 있다. 영화에서 수진이 진숙의 학대를 이기지 못하고 집을 나가자 동우의 태도가 진숙을 비난하는 쪽으로 기운다. 진숙은 칼을 들고 자신의 몸을 자학하며 동우를 위협한다. 그러다가 칼을 빼앗으려는 동우와 다투다가 둘이 함께 넘어지는 바람에 아들 동우가 칼에 찔려 죽는다. 이로써 진숙은 가장 소중하게 간직해야 할 아들을 죽음으로 몰고 가고 말았다.

    7)대한민국, 공포(호러), 드라마, 스릴러, 감독 김성홍, 출연 윤소정, 최지우, 박용우, 문수진, 이승우, 전홍렬, 구혜령, 윤성훈, 태유림, 김계패 등, 제작사 ㈜시네마서비스, 상영시간 100분, 1998년 제34회 백상예술대상 에서 영화부문 여자신인연기상(최지우), 제21회 황금촬영상에서 신인여우상(최지우)을 수상하였음.  8)여기에서 ‘축배의 노래’는 ‘외재음악’이었다가, ‘내재음악’으로 변하고, 다시 ‘외재음악’으로 바뀐다. 이는 주인공들의 심리를 암시적으로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고 하겠다.  9)‘두 사람간에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두 사람이 함께 하는 순간, 자기 본연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 (이대범·윤일수,「소통이 장애극복에 미치는 효과성」, 『인문치료와 소통』, 인문치료학술대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한국(HK) 인문치료사업단, 2011, 32쪽)

    4. 부친에 대한 믿음으로 해소된 갈등

       4.1. <아름다운 비행>의 사건구성

    <아름다운 비행>은 교통사고로 엄마를 잃은 열 세 살짜리 딸이 별거했던 아버지와 친숙해져 가는 과정과 환경 보호를 주제로 한 영화이다.10) 이 영화는 캐나다의 발명가이자 예술가인 빌 리슈만(Bill Lishman)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그는 취미로 비행기를 만드는 일을 하였다고 한다.11)

    이 영화의 사건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작품은 행복한 결말을 가짐으로써, 비극의 구조를 설명하는 플롯 개념에 딱 들어맞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모티프를 정리하여 단계를 구분해 보고자 한다.

    이 영화의 사건 구성은 절정과 결말이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모든 요소들이 ‘10) 제이미는 거위들을 인도하여 습지에 도착한다.’라는 결말을 유도해 내기 위하여 집약되었다고 하겠다.

       4.2. <아름다운 비행>의 배경음악

    이 영화의 배경음악은 ‘Ten Thousand Miles’이다. 이 곡은 주제곡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성을 갖는데, 원래는 ‘Fare Thee Well'로 알려진 노래이나, <아름다운 비행 Fly Away Home>에서 Mary Chapin Carpenter 버전으로 ’10,000 Miles‘라고 알려졌다.12)

    전체 107분에 이르는 이 영화에서 ‘Ten Thousand Miles’가 전체곡으로 사용된 곳은 마지막의 7분 남짓한 부분이다. 전체 영화 상영 시간으로 보아서는 7%내외의 짧은 길이이지만, 관객들의 심리를 압박하는 정도는 상당하다.

    이는 사건 구성이 10)의 부분에 집중되고 있는 것과 문맥을 같이 한다. <아름다운 비행>의 시각적 영상 구성은 ‘Ten Thousand Miles’가 주는 청각적 효과를 강조하기 위해 적절히 봉사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Ten Thousand Miles’의 청각적 효과가 이 영화가 주는 감동을 가장 크게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10)출연 제프 다니엘스, 안나 파킨, 전체 관람가. Fly Away Home is a 1996 drama and comedy film directed by Carroll Ballard, the director of 1979's The Black Stallion. (http://en.wikipedia.org/wiki/Fly_Away_Home) 미국, 가족, 모험, 드라마, 107분, 한국 개봉 1997년,  11)The film was loosely based on the real-life experiences of Bill Lishman, a Canadian inventor, artist, and ultralight aircraft hobbyist. During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Lishman openly wondered whether geese and similar birds could be taught new migration patterns by following ultralight aircraft onto which they had been imprinted. In 1993, after several years of logistical and bureaucratic setbacks, Lishman successfully led a flock of Canada Geese on a winter migration from Ontario, Canada, to Northern Virginia, United States, both in North America. (http://en.wikipedia.org/wiki/Fly_Away_Home)  12)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Fare thee well my own true love / And farewell for a while. / I’m going away, but I’ll be back / If I go ten thousand miles. / Ten thousand miles, my own true love, / Ten thousand miles or more, / And the rocks may melt and the seas may burn, / If I should not return. / Oh don’t you see that lonesome dove, / Sitting on an ivy tree, / She’s weeping for her own true love / Just as I shall weep for mine. / Oh come back my own true love / And stay a while with me / For if I had a friend all on this earth, / You’ve been a friend to me. / And fare thee well my own true love / And farewell for a while. / I’m going away, but I’ll be back / If I go ten thousand miles.

    5. 영화음악의 치료적 기능

       5.1. 비극적 결말과 치료적 기능-<올가미>

    <올가미>의 성격 구성은 진숙 - 동우 - 수진의 삼각관계로 되어 있다. 진숙과 동우는 ‘축배의 노래’를 부를 만큼 만나서 기쁜 존재들이다. 진숙은 동우를 아들 이상으로 사랑하고 있다. ‘내가 널 아들이라는 것 때문에 사랑한다고 말하지 못하는 게 한’이라고 말할 정도로 진숙은 동우를 사랑한다. 동우는 나이가 들어서도 어릴 때의 상황을 벗어나려고 하지 않고 어머니와의 사랑을 즐기는 인물이다.

    이들의 행동이 비정상적이라는 걸 증명하게 되는 계기는 며느리인 수진이 등장하면서부터이다. 진숙은 수진을 며느리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과 수진은 아들인 동우를 쟁취하려는 경쟁자로 파악한다. 그리하여 자신이 수진을 가장 강하게 핍박하였을 때에 ‘축배의 노래’를 즐긴다. 그런데, 이러한 진숙의 성격은 정상적인 가정을 이룰 수 없는 원인이 된다.

    관객들은 첫 번째 ‘축배의 노래’를 들으면서 진숙이 우아하고 매력적인 여자라고 생각하지만, 두 번째로 노래를 들을 때에는 그녀의 광폭한 성격에 공포를 느끼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진숙의 입장에서 듣는 ‘축배의 노래’는 자신만의 만족을 드러내는 매개물이다.

    그리하여, 관객들은 그녀가 죽음을 택하여 동우와 나란히 누워 있을 때에 다시 ‘축배의 노래’가 나올 법하다고 여긴다. 그렇지만, 그 상황에서 아무 음악소리도 들리질 않는다. 세 인물들의 갈등에서 축배를 들어 줄 사람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진숙이 가진 정신적 질환은 여러 가지가 있다고 진단되지만, 대표적인 것은 우울증이라고 할 것이다. 둘이서 행복했던 상황에서 새로운 사람이 들어온다는 것은 기쁨일 수도 있지만, 내 것을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면, 세 사람 사이에 행복이 가능하지 않고, 누군가는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 우울증에 빠진 사람은 자신의 욕망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3자를 괴롭히거나 아니면 자신을 학대할 수 있다.13) 진숙은 전자의 방식을 택하였다. 그녀는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치료를 받아야 할 인물이다.14) 만약에 진숙이 어머니로서의 자존심과 며느리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더라면 죽음이라는 불행을 초래하지는 않았을 것이다.15)

    고부간의 갈등은 어느 집단에서나 있을 수 있는 갈등이다. 어머니와 아들 사이의 견고한 혈연에 의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새로 들어오는 며느리가 참고 극복해내기는 쉽지 않다. 특히 어머니와 아들의 사이에 며느리가 있다고 상정하면 갈등은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 갈등 제기를 누가 하느냐 하는 것도 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중요한 사항이다.

    며느리에게 물고문을 가하고, 며느리가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보고, ‘축배의 노래’를 들으며 즐거워하는 시어머니가 있다면 그 시어머니는 치료의 대상이다. 내담자들은 이 영화를 보고 시어머니가 치료의 대상이라는 것을 지적하기만 해도, 치료가 시작된 것이라고 하겠다.

    이 영화의 배경 음악을 치료기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첫째는 반복되는 ‘축배의 노래’가 가진 멜로디를 참고로 하여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어떤 형태로 ‘축배의 노래’를 결합할 수 있겠는가, 둘째로 ‘축배의 노래’가 지닌 가사를 중심으로 세 명의 인물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결말로 맺어지는 것이 좋을 것인가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거칠수 있다고 본다.

    이 영화와 비슷한 내용으로 되어 있는 영화 중에 16)가 있으며,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과 <올가미>의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하는 것도 유익한 방법이 될 것이다.

    그리고 진숙 자신이 며느리와의 갈등원인이 수진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있으며 이를 외재화하여 말하도록 하는 것이 해결방법이라는 걸 깨닫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논의해 보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외재화 대화(externalizing conversation)란 갈등을 일으키는 사람들 사이에서 문제는 사람이 아니라 그들 사이에 놓여 있는 문제가 문제라는 인식을 가지고 대화하는 것을 가리킨다. ‘외재화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성을 문제로부터 분리시켜 주는 경험을 하게’17) 한다. 그럼으로써, 상대방에 대한 감정을 객관화하고, 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어떻게 협조하는 것이 필요한가에 대하여 생각하게 된다.

       5.2. 행복한 결말과 치료적 기능-<아름다운 비행>

    제이미는 열세 살이 될 때까지 아버지에 대해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아니하다. 더욱이 그녀가 아버지와 함께 지내게 된 것은 자신의 선택에 의해가 아니라, 엄마가 교통사고로 죽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에서 캐나다로 옮겨온 제이미는 모든 것에 낯설어 하고 반항심을 가지게 된다. 더구나 아버지에게 엄마가 아닌 다른 여자가 있다는 것을 마땅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아버지에 대한 엘렉트라 콤플렉스의 약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이다.

    사춘기에 접어든 청소년들에게 주변의 일반적 사항들은 있는 그대로 수용되지 않는다. 주관적 해석이 청소년들을 지배함으로써, 어른들의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다. 제이미 역시 이러한 경우에 놓여 있다. 그녀는 환경보존에 얽힌 어른들의 대립 갈등에 대해서는 별 관심도 없다. 그렇지만, 그녀가 아끼고 사랑하는 캐나다 거위에게 가해지는 위협들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저항한다.

    제이미가 아버지와 아버지의 애인이 자신의 편이라는 걸 깨닫는 것은 거위를 날게 하기 위한 노력을 함께 경주하면서부터이다. 제이미가 아버지에 대한 믿음을 가지게 하도록 하는 데에 캐나다 거위는 매개물로서 아주 적절하게 작용하고 있다.

    거위가 습지로 돌아가는 마지막 30마일 지점에서 혼자 날아가야 할 제이미에게 아버지는 ‘너도 너의 엄마처럼 용기있게 잘 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 말에 제이미는 새로운 용기를 얻는다. 그렇지만, 제이미를 목적지로 끝까지 이끌고 가는 것은 배경음악으로 들리는 ‘Ten Thousand Miles’이다.

    이 음악은 제이미에게 동정의 마음을 가지고 감정 이입되어 그녀의 행복한 결말을 기대하는 관객들이 완전히 제이미와 동일시를 이루는 효과를 불러온다. 그리고는 어머니와 헤어진 외로움 극복이나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뿐만 아니라, 거위들의 서식지 보호를 위한 환경보호운동에까지 동참하는 사회적 교류를 이루게 된다.

    제이미가 홀로 되어 목적지까지 거위들과 비행해야 하는 시간은 확정되어 있지 않다. 그 시간은 주제곡인 ‘Ten Thousand Miles’가 연주되는 시간과 동일하게 전개되고 있는데, 관객들은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화면을 바라본다. 일종의 ‘long take’ 장면에서 지루하지 않게 제이미와 거위들의 비행을 지켜보게 된다. 이것은 바로 영상과 함께 펼쳐지는 음악의 힘이라고 할 것이다.19) 우리는 여기서 배경음악이 영화를 더 생생한 경험으로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20)

    제이미에게 가장 큰 힘이 되어준 존재는 아버지이고 제이미 엄마에 대한 아버지의 끊임없는 사랑이었다. 다시 말하자면, 제이미는 아버지가 제이미 엄마를 사랑했다는 것을 알고, 아버지에 대한 신뢰를 회복함으로써, 새로운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지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아버지의 애인에 대한 감정도 미움에서 이해로 바뀌게 되었다.

    그리고 거위들을 통하여 제이미가 가지고 있는 심리를 잘 드러내고 있어서, 외재화가 가능했다. 어린 거위들은 제이미와 동일시되고, 거위를 돌보는 제이미 자신은 아버지와 어머니와 동일시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동일시 경험은 제이미 스스로의 정신적 성장을 도와 준다.

    <아름다운 비행>을 치료기재로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 몇 가지의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첫째, 가장 소중한 존재를 잃어버린 허탈감을 경험하고 있는가? 다만 타인의 의견을 어느 정도 경청하는 자세가 견지되어야 한다. 둘째, 타인의 부재로 인하여 외로움이나 고독감에 빠져 있는가? 이러한 경우의 내담자들에게는 제이미의 행동과 배경음악이 중요한 치료기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자신을 이끌어줄 유능한 인도자가 사라짐으로써, 어떤 존재도 그 자신과 함께 할 사람은 없다는 생각은 가지지 말아야 한다. 갈등에 빠진 인물이 자신의 갈등을 외재화하기 위하여 어떤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면 훨씬 더 용이하게 갈등을 치유할 수 있을 것이다.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들 사이에서 객관적 대상물은 인물들의 대화를 외재화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외재화대화는 ‘보다 광범위하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21) 주기 때문이다.

    영화에 사용된 배경음악은 내재음악의 경우이든 외재음악의 경우이든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조종하고 도와주며, 관객들이 영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용납하는 데에도 기여한다.22) 따라서 영화의 배경음악이 와재화 대화를 이끌어 내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고 하겠다.

    <올가미>와 <아름다운 비행>은 가족의 이야기이다. ‘가족은 하나의 혈연이기 때문에 같을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사실 가족의 탄생은 서로 다른 인간과 인간이 만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래서 행복한 가정이란 ‘조화를 향해 가는 것인지도 모른다.’23) 그렇지만, 가족 구성원 하나하나가 자신만의 벽을 쌓고, 다른 구성원과 화해하지 않는다면 마지막에는 가족 전체의 불행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올가미>는 그러한 예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거기에 사용된 음악은 등장인물들의 불행을 예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반면에 <아름다운 비행>은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그 노력을 거위 돌보기에 집중하고 있음으로써 행복한 결말이 맺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배경음악은 등장인물들의 화합하는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있다.

    13)‘마음의 감기’라고 불리는 우울증의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상대방에 대한 공격성, 분노, 미움 등을 밖으로 표출하지 않고, 내면으로 참을 때에 발병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진숙은 동우와 함께 할 때에는 참고, 수진과 함께 할 때에는 표출하는 불균형적 내면을 가지고 있다.  14)우울증 치료에서 ‘정신치료의 경우는 인지 체계 교정을 위한 인지치료, 대인관계의 기술을 위한 대인치료, 어린시절의 갈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정신역동치료 등이 있으며 집단치료, 가족치료도 행해진다.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10XX101897)  15)박상규, 『정신재활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38쪽 참조.  16)우리나라에서는 <블러드 라인>으로 개봉된 영화. 감독 : 조나단 다비, 출연 : 제시카 랭, 기네스 팰트로. 1998년 개봉작. 아들과 손자까지 모든 것을 차지하려는 시어머니와 그에 맞서는 며느리간의 이야기를 그린 싸이코 스릴러. 미국 고부간의 갈등을 그린 영화. 며느리 역으론 기네스 팰트로가, 아들 역으로는 젊은 배우 조나단 쉐에크가 출연한다.  17)M. White, 이선혜·정슬기· 허남순 공역, 『이야기치료의 지도』, 학지사, 2010, 33쪽.  18)http://dreamvil.org/special/musthe/mthera3.htm  19)우리나라 영화사에서 한 획을 그은 <서편제>의 ‘진도아리랑’ 부분도 노래와 화면이 함께 함으로써 영상의 가치를 높인 예가 될 것이다. 이 영화는 1992년에 개봉되어 우리나라 최초로 100만 관객 시대를 연 작품이다.  20)구경은,「영화의 사운드로서의 음악」, 『영화음악․20세기 음악』, 심설당, 2006, 63쪽. ‘만약 무성영화에 음악이 함께 연주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고 번쩍이며 돌아가는 흑백의 영상물은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일상의 소음이 존재하는 이 현실 공간의 한쪽 벽에서 이루어진 화면 그 이상이 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한 영상은 현실로부터 독립되어 스스로 살아있는 존재로 느껴지기 힘들다. 움직이는 화면은 그에 필수적으로 따르는 소리가 있어야만 우리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예술세계로 성립하게 된다. 음악이 없는 무성영화를 보았거나 사운드가 중단된 영화관 스크린을 지켜보았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아마도 그 화면이 죽어있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21)S. Russell & M. Carey 엮음, 최민수 옮김, 『이야기 치료, 궁금증의 문을 열다』, 시그마프레스, 2010, 15쪽  22)김일영, 「영화 음악 치료 서설」, 『국학논총』, 대구한의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77쪽  23)이선형·정미애 지음, 『연극·영화로 떠나는 가족치료』, 시그마프레스, 2010. 77-78쪽

    6. 결론

    음악이 인간의 두뇌를 자극하고 활성화하여, 정신 작용과 신체 작용을 촉진시킨다는 것은 정설이 되었다. 청각만을 사용한 음악이 시각을 사용하는 영화와 결합될 때에 두뇌 촉진 작용은 훨씬 더 강화될 것이다. 특히 가사가 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경우라면 더욱 좋은 예가 되리라고 본다.

    영화 음악은 최근 들어 점점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우울증 치료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여겨진다. 이는 영화 속에 친근한 인물이나 귀에 익은 음악 등이 제시될 때에 더 큰 작용을 할 것이다.

    그렇게 됨으로써, 영화에서 음악은 우리를 더욱 몰입하게 만들기 때문에, 연기만 하는 것보다 더 강력하게 주인공들과 동일시하도록 만든다. 그 결과 영화는 우리를 치유와 성장으로 인도하는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지원해 준다는 전제를 증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음악은 범문화적 표현양식이며, 비언어적 특성에 의한 의사소통의 보편적 수단이고, 모든 내담자 집단에 적용 가능한 기능적․적응적․심미적 양식이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화의 배경음악을 적절히 활용한 영화 치료는 내담자들의 정신적 장애를 치료하는 데에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추정도 가능할 것이다.

    음악은 듣는 자들이 가지는 청각적 기능이 중요한 측면이기도 한데, 본고에서는 각 영화의 배경음악이 가지는 청각적 기능에 대하여 깊이 있게 논의하지 못하였다. 이는 다음 기회에 고를 달리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 1. 김 성홍 1997
  • 2. Ballard Carroll 1997 Fly Away Home google
  • 3.
  • 4.
  • 5.
  • 6.
  • 7.
  • 8.
  • 9. 구 경은 2006 [『영화음악?20세기 음악』]
  • 10. 김 일영 2010 [『국학논총』]
  • 11. 박 상규 2006
  • 12. 비르기트 볼트 2006
  • 13. 이 대범, 윤 일수 2011 [『인문치료와 소통』]
  • 14. 이 선형, 정 미애 2010
  • 15. 허 순희 2003 [『兒童敎育』] Vol.12
  • 16. White M. 2010
  • 17. Russell S., Carey M. 2010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1 ]  ?
    ?
  • [ 2 ]  ?
    ?
  • [ 3 ]  ?
    ?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