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가족캠핑 참여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지속행동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and Continuous Behavior Factor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in Family Camping on Behavioral Intention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가족캠핑 참여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지속행동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aims to predict continuous behavioral intentions and to examine the ultimate value of family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o family camping participants, based on the theory of family strength which hasn't been handled, e ven though it can be acquired from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targeted 407 camping participants. 168 participants(41.3%) were in their thirties on camping. This study adopted the scale of TPB used in the study by Azjen(1985) and Kim, young-jae(2001), and family strength was based on the studies by Lim, Jeong-ah and Lee, In-soo(2006).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ANOVA,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amily strength and TPB factors depending on the spending on camping and participation perio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TPB factor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s of camping participants, also, the majority of factors showed a correlation, and family problem-solving, subjective norms, control factor and mental attitude factor affected their participation intentions.

KEYWORD
leisure , family camping , subjective norms , participation intentions , family problem-solving , control factor
  • Ⅰ. 서론

    최근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outdoor recreation)의 부문에서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을 접목시켜 다양한 여가활동이 대중화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캠핑(camping)은 최근 들어 가장 인기 있는 여가활동이다(유주현, 2012; 박태정, 2012). 즉, 자연친화적인 다양한 형태의 레저 활동을 겸할 수 있는 캠핑 활동은 21세기형의 레저로 부각되고 있다(이규하, 2008).

    사실 사람들이 캠핑에 빠져드는 이유를 살펴보면 캠핑장이 일반 숙박시설보다 저렴하고 뛰어난 자연환경과 청결하고 안전한 시설이 더해져 자연에서 휴가를 즐기는 요인이 캠핑 문화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천영준, 2011). 하지만 캠핑에 대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캠핑에 대한 국내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의 캠핑과 관련된 몇몇 연구들을 살펴보면 캠핑 이용객의 현황 및 실태 분석(이규하, 2008; 서응철, 김세천, 김영표, 이주희, 2008; 구경모, 2006, 이상규, 이희관, 2005)에 대한 연구로 캠핑참여에 따른 참여자들의 사회 심리적 변화와 효과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진정한 캠핑참여자들의 의식을 바탕으로 참여에 따른 이익과 경험을 모색하는 것은 캠핑연구에서 중요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부분이다.

    캠핑은 육체적인 활동을 통하여 행해지지만 결코 단순하게 신체적인 활동만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며, 캠핑 참여자의 태도 및 가치 그리고 사회성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게 된다(오해섭, 2005). 특히 캠핑은 혼자 하는 경우보다 가족단위의 참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가족은 사회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단위이며, 특히 성장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가족들과의 상호작용 관계가 자녀들의 성격형성이나 정서발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중요한 변인이다(Medinnus, 1970). 하지만 현재 우리들의 사회는 이혼율의 증가에 따른 가족의 해체, 자녀 학대 및 방임, 가족 스트레스와 질병, 가정 폭력, 경제적 문제 등 다양한 가족위기를 직면하여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가족문제들이 극복되지 못할 때 가족은 건강할 수 없으며, 자녀들은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최경원, 2010).

    가족학자와 가족치료자들은 다양한 위기 앞에 직면한 가족들 중 어떤 가족은 쉽게 좌절하는 반면, 어떤 가족은 꿋꿋하게 잘 적응하는 등 가족 간의 차이가 드러난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Olsen, McCubbin, Barnes, Larsen, Muxen & Wilson, 1989). 즉, 위기를 극복하고 가족생활을 잘 영위하고 있는 건강한 가족(healthy family)의 특성을 밝혀 다른 가족들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연구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것이다(황인실, 2004). 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는 흔히 강한 가족(Stinnett, Defrain, 1985), 건강한 가족(Moos & Moos, 1986), 기능적 가족, 최적의 가족(Beavers, & Hampson, 1993)등의 용어로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가족건강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 들어 이루어지기 시작한 분야로서 가족건강성의 개념설정에 관한 연구(유영주, 2001, 2002; 어은주, 유영주, 1995)와 가족 건강성 관련 변인 연구(어은주, 유영주, 1997; 임정아, 이인수, 2006) 등이 있다.

    사실 건강성은 문화적이고 가치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Offer & Sabshin, 1966). 따라서 우리가 연구하는 가족의 건강성 혹은 건강한 가족은 우리사회에서의 문화와 가치특성을 가진 가족의 건강성 혹은 건강한 가족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캠핑활동은 단순한 여가활동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특히 가족 건강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알맞은 프로그램이며 어느 가족이나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여가활동이다. 자연에서 캠핑은 남편/아내와 아이들의 취향과 생각을 염두에 두고 계획하는 가족 전체를 위한 여가 프로그램이다. 또한 캠핑은 가족끼리 서로 바라보고 대화를 나누며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며, 음식도 온 가족이 함께 만들고 설거지와 정리정돈도 아이들을 참여시켜 함께 하는 여가활동이다(이병학, 2011). 이러한 캠핑활동은 건강 가족적 관점(strong family perspectives)에서 가족을 어떠한 역경 속에서 가족성원을 꿋꿋하게 잘 지키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캠핑과 관련되어 독특하게 나타나는 가족 건강성 결과들은 일반적인 가정과 어려움을 겪는 가정들에게 가족의 화목과 역경을 이겨나가는 하나의 여가활동의 지표가 될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여가연구들은 너무 단순한 여가관련 사회 심리적 요인들(여가만족, 여가동기, 여가몰입, 여가제약 등)만을 사용하여 연구해왔다(Iso-Ahola, 1983). 따라서 편식적 연구의 요인 결과틀 안에서 이미 국민들이 활동하고 있는 여가활동을 통해 얻는 다양한 결과와 효과를 알아내기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여가활동에 대한 참여자가 여가활동을 통해서 추구하는 편익 그리고 여가활동의 목표가 참여자에게 어떤 궁극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사는 여가참여자의 심리적인 욕구를 통해서 나타나는 태도 및 행동에 중요한 인과관계에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즉, 향후 더 많은 사람들이 자연과 함께하는 캠핑 활동을 즐긴다고 가정했을 때, 참여하는 사람들이 야외 여가활동에 대해 바람직하고, 긍정적 감정을 갖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행동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허진영, 최헌혁, 2008).

    여가심리학 분야와 관련하여 관련 참여자들이 무엇을 위해 야외 캠핑 활동을 하고, 어떤 심리적 요인에 의해 야외 캠핑 활동에 대한 행동지속의도 및 행동지속성이 발생하는 개인의 태도와 행동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의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태도-행동 연구의 초기모형은 신념과 태도의 상호관계 및 신념과 태도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로 구성되어있다는 모델을 기초로 두어 Fishbein과 Ajzen(1975)은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을 제시하면서, 개인의 행동은 행동의도에 의해 결정되고, 행동 의도는 개인의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의해 결정된다고 제시하였다. 하지만 합리적 활동이론으로 인간의 태도와 행동을 설명하기에 부족하다는 Ajzen(1985)은 합리적 행동이론에 지각된 행동 통제력(Perceived Behavioral Control)의 요인을 추가하여 계획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제시하였다. 계획행동이론은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체계적인 요인 구조를 통해 설명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학문분야에 적용되고 있고(Tonglet, Philips & Read, 2004), 계획행동이론은 다른 모형들에 비해 구조적으로 모형이 복잡하지 않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행동의도 및 행동에 대한 설명에 유용한 이론(김은희, 2007),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들이 건강 행동, 소비자 행동, 환경 친화적 행동 등 개개인의 행동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심거리들을 주제로 하여 계획행동이론에 접목되어 유용성이 입증되고 있다(박희랑, 한덕웅, 2006). Courneya(1995)는 사람들이 운동을 하는 이유를 이해하는데 계획행동이론이 가장 타당한 모델이라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여가활동에서 습득될 수 있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다루어지지 않았던 가족건강성(family strength)요인을 바탕으로 기존의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가족캠핑 참여자들에게 적용하여 행동의도를 예측해 보고, 그에 따른 가족의 궁극적인 가치를 조사하는데 본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해 나타나는 캠핑활동과 관련된 계획된 행동이론의 요인과 가족건강성(family strength)요인을 배경으로 하여 여가활동으로 캠핑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궁극적 참여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9월 일반 캠핑장 개장 이후 2013년 2월까지의 가족 이용객 450명 중에 연구에 사용 될 수 없는 43명을 제외한 407명을 본 연구 참여자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캠핑장 범위는 경기도 & 강원도에 위치한 오토캠핑장 6곳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캠핑 참여자들에게 스노우 볼 표집방법과 네이버와 다음의 포털 카페에서 캠핑으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6곳(순수 캠핑 블로그)의 블로그의 회원들에게 이메일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사실 스노우 볼 표집은 모집단에 속하는 연구대상을 찾기 어려울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선택되어지므로 비확률적 샘플링으로 보는 것으로(이군희, 2007)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표 1> 과 같이 본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남성이 362명(88.9%), 여성은 45명(11.1%)으로 남성 참여자가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 168명(41.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대 114명(28.0%), 20대 113명(27.8%)순으로 많았으며, 50대는 12명(2.9%)으로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캠핑에 참여하는 참여 횟수는 1년에 9회 이상 240명(59.0%), 1년 6-8회 81명(19.9%)으로 대부분 1년에 6회 이상 캠핑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이 캠핑을 통해 사용된 금액을 살펴보면 500만원 이상 183명(45.0%), 300-400만원 63명(15.5%), 100-200만원 58명(14.3%) 정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1-3년 미만 147명(36.1%)으로 나타났으며, 5년 이상 참여자들도 103명(25.3)으로 나타났다.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방법 및 내용

    본 연구는 가족 캠핑 참여자들에게 TPB 모델을 적용하여 그들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들의 건강성을 파악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측정도구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1) 계획된 행동이론(TPB)질문지

    본 연구에서의 계획된 행동이론(TPB)질문지는 Azjen(2002), Povey, Conner, Sparks, James & Shepherd(2000)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기초로 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 질문지의 내용은 태도, 주관적 규준, 통제지각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인 측정지침과 신뢰도는 선행연구에서 제공된다(김영재, 2001; Godin, Shepard & Colantonio 1986). 계획된 행동이론(TPB) 척도는 신체태도, 정신태도, 주관적 규준 그리고 통제지각 등의 4요인으로 구성으로 ‘매우 그렇다’(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1점)까지의 Likert형 5점 척도로 되어있다. 대부분의 앞의 심층면담에서는 대부분의 TPB요인들의 내용과 질문문항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Aact)요인은 어떤 사람이나 대상에 대한 신념, 감정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통 캠핑에서 태도(Aact)는 캠핑활동의 참여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신념과 이러한 신념결과에 대한 개인의 평가의 관계로 설명할 수 있으며(본 연구에서 태도를 2가지로 나누어서 진행했음, 뒷장에서 설명), 본 연구에서 주관적 규준은 자신에게 중요한 타인들의 기대와 그들의 기대를 따르려는 순응성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된다(예; 내가 캠핑에 참여하는 것은 주위 권유 때문). 그리고 통제지각 질문은 캠핑 참여에 방해가 되는 요인의 내용이다(예; 내가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캠핑에 참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성분 행렬을 살펴본 다음, 측정변인의 요인에 대한 적재치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직각회전방식을 이용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2개 문항이 투입되어 4개의 하위요인인 통제, 신체태도, 정신태도, 주관적 규준의 4개의 주요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공통성 추출에 대한 내용으로 각 변인의 최대우도법에 의한 공통성이 제시되었다. 스크리 검사를 통해 고유치의 패턴이 평균화를 이루는 기점을 조사한 결과 역시 4개의 요인이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보면 각각 Cronbach's α .70-83으로 나타났으며, 전체는 .73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상관계수와 부분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표본 적합도를 검증하는 KMO 값이 .771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형성 검증 결과, 검증 통계치가 1646.208, p<.001로써 요인분석을 할 만큼 적절한 수준이었다.

    [표 2.] TPB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label

    TPB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2) 가족건강성 질문지

    본 연구에서 가족 건강성 측정을 위해 한국 가족이 제시하는 건강한 가족의 특성과 외국의 선행연구 결과에서 나타나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어은주, 유영주(1995)가 제작한 가족 건강성 척도를 기본으로 사용하였다. 가족의 건강성 척도는 가족원간의 유대, 가족원간의 의사소통, 가족의 문제해결 수행능력, 그리고 가족원간의 가치체계 공유 등의 4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우 그렇다’(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1점)까지의 Likert형 5점 척도로 되어있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하위요인인 가족유대, 가족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의 주요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는 가족구성원간의 가치체계요인이 삭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원간의 유대는 가족이 얼마나 화목하며 유대감이 깊은가를 반영하여 가족원간의 친밀감, 애정, 함께 시간 보내기, 가족의 화목, 관심, 지지, 사생활 인정 등의 정서적인 측면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번째 가족원간의 의사소통은 열린 마음으로 대화하고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정도, 개방성, 명확성, 표현의 자유, 의사소통유형, 의사 결정시의 발언 등 의 내용이며, 세 번째, 가족원의 문제해결 수행능력은 가족의 위기대처 능력을 의미하며 문제나 위기 발생 시 가족원이 공동의 노력과 책임으로 융통성 있게 대처해 나가는 능력 등의 내용으로 구성으로 되어있다.

    [표 3.] 가족건강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label

    가족건강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본 연구에서 공통성 추출에 대한 내용으로 각 변인의 최대우도법에 의한 공통성이 제시되었다. 스크리 검사를 통해 고유치의 패턴이 평균화를 이루는 기점을 조사한 결과 역시 3개의 요인이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보면 각각 Cronbach's α .69-85로 나타났으며, 전체는 .70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상관계수와 부분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표본 적합도를 검증하는 KMO 값이 .671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형성 검증 결과, 검증 통계치가 1255,327 p<.001로써 요인분석을 할 만큼 적절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 삭제된 가족의 가치체계 공유요인의 의미는 가족이 옳고 그른 것에 대한 판단 및 가치관이 서로 일치하는지, 혹은 각자 가족만의 가치관이나 규범이 있는지, 혹은 연장자에 대해 존경하는 태도를 갖고 있는지 등의 내용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이 나타나지 못했다. 따라서 다음의 연구에서는 가족의 가치체계에 대한 연구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3) 자료 분석 및 처리

    본 연구는 현장 조사를 통해 얻어진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가설 검증을 포함한 다양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다변량분산분석,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사회과학 분석에 널리 쓰이는 SPSS 21.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Ⅲ. 결과

       1. 캠핑 참여자의 심층면담 결과

    본연구의 심층면담은 서울, 경기 등에서 거주하고 있는 캠핑 전문가 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심층면접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일반인(23명)과 캠핑업 종사자(4명)를 상대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모든 면접내용은 녹음되어 문자화되었으며(엑셀 정리), 문자화 작업수행은 과거 관련 연구경험자인 스포츠사회학 박사 1명과 박사 과정생 1명, 석사 과정생 1명 총 3명에 의해 수행되었다. 캠핑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semi-structured interview)된 면담을 기준으로 한 결과 좋은 캠핑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캠핑 참여자는 캠핑이 가족의 건강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들이 즐기는 현재 여가 중 가장 소중한 여가 활동이라고 대답하였다. 즉, 전체적인 캠핑참여자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캠핑에 참여하는 이유로 일상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이며, 가족과 같이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좋은 활동이라고 대답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TPB와 가족건강성에 대한 요인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을 기준으로 이론적 접근을 실시하였다. 이번 심층면담 연구에서 크게 2가지의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첫 번째, TPB의 캠핑 참여의도 문항을 따로 선별해서 해야 된다는 의견이 다수로 나타났다. 즉, 다른 TPB 문항은 각자의 독특한 특성을 지닌 반면 캠핑의 참여 의도성은 단순한 참여의 의도만을 반영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PB의 완벽한 모델 검증연구가 아니므로 의도의 문항을 따로 선별하여 진행하였다. 두 번째로, 캠핑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기존의 태도의 요인을 2가지로 나누어 결과를 나타내 주었다. 즉, 태도(Aact)요인은 어떤 사람이나 대상에 대한 신념, 감정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통 캠핑에서 태도(Aact)는 캠핑활동의 참여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리라는 신념과 이러한 신념결과에 대한 개인의 평가의 관계로 설명할 수 있는데, 기존의 하나의 태도요인을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태도요인과 정신적 태도 요인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심층면담은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도 나타나 기존의 다른 TPB연구와는 다르게 캠핑이라는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된 재미있는 연구결과를 보았다. 또한 그들은 대부분 성별이나 학력, 연령에는 캠퍼들의 연구에 사회 배경적 요인으로 연구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하였으며, 만약 가능하다면 참여의 열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참여기간수준과 캠핑에 참여하여 소비하는 금전적 액수에 따른 연구가 좀 더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답하였다.

       2. 캠핑 참여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참여의도의 차이

    1) 캠핑 참여자의 지출금액에 따른 가족건강성 과 TPB 요인간의 차이

    지출금액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onw-way MANOVA)을 실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결과를 살펴보면 지출금액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Wilks’ Lambda=.826, F=2.789, p <.001). TPB 요인과 가족 건강성의 하위요인인 통제(F=4.66, p<.01), 가족의사소통(F=9.57, p<.001)에서 지출금액별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인 차이를 살펴보면, 통제요인에서는 200-300만원 사용자(M=3.9, SD= .64)가 100만원 이하 참여자(M=3.4, SD=.61)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었으며, 가족의사소통요인에서는 500만원 이상 사용자(M=4.7, SD=.49)와 300-400만원 사용자(M=4.6, SD=.54)가 100만원 이하 소비자(M=4.2, SD=.74)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었다.

    [표 4.] 캠핑 참여자들의 지출금액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의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label

    캠핑 참여자들의 지출금액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의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2) 캠핑 참여자의 참여기간에 따른 가족건강성 과 TPB 요인간의 차이

    참여기간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onw-way MANOVA)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5>의 결과를 살펴보면, 참여기간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Wilks’ Lambda=.898, F=2.073, p<.003). 변인의 하위요인인 통제(F=2.90, p<.01), 가족의사소통(F=5.97, p<.001), 가족문제해결(F=2.64, p<.05)에서 참여기간별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인 차이를 살펴보면, 통제요인에서는 5년 이상 참여자(M=3.8, SD= .66)가 1년 미만 참여자(M=3.5, SD=.69)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었으며, 가족의사소통요인에서는 1년~3년 미만 참여자(M=4.6, SD=.54)와 3년~5년 미만 참여자(M=4.7, SD=.54), 5년 이상 참여자(M=4.7, SD=.56)가 1년 미만 참여자(M=4.3, SD=.66)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족문제해결에서는5년 이상 참여자(M=5.6, SD=.62)가 1년~3년 미만 참여자(M=4, SD=.62)와 3년~5년 미만 참여자(M=4, SD.62), 그리고 1년 미만 참여자(M=3.9, SD=.61)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으나, 사후 검증결과에서는 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표 5.] 캠핑 참여자들의 참여기간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의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label

    캠핑 참여자들의 참여기간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의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3. 캠핑 참여자의 가족건강성, TPB와 참여의도의 관계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이다.

    <표 6>에 의하면 각 요인 중에서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낸 요인은 활동의도와 가족문제해결 요인간의 상관(r=.659)이 가장 큰 정적상관으로 나타났으며, 가족문제해결 요인은 통제요인(r=.601), 주관적 규준(r=.309)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활동의도 통제요인과(r=.587), 주관적 규준(r=.510)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가족의 의사소통은 정신적 태도요인과 상관관계를(r=.341)나타내고 있었다.

    [표 6.]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의 상관관계

    label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의 상관관계

       4.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이 캠핑 참여의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4개 TPB 요인과 3개의 가족건강성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참여 의도 요인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귀계수(R2)는 .58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이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 요인인 가족문제해결(β=.414)와 TPB 요인인 주관적 규준(β=.295)요인, 통제(β=.232)요인 과 정신태도(β=.079)요인이 캠핑의 참여자들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신체태도, 가족의사소통, 가족유대는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7.]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label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본 연구는 캠핑 참여자들이 캠핑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족 건강성과 그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참여하는지 계획된 행동이론 요인을 사용하여 그들의 캠핑 참여 가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면담 참여자들은 캠핑에 참여하는 이유가 답답한 일상생활에 벗어날 수 있는 기회이며, 친구 및 가족과 같이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어 다른 여가활동보다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대답하였다. 사실 이러한 내용은 기존의 기사에서도 나타나 있다. 즉, 현재 캠핑활동이 각광받는 이유는 경쟁과 속도의 시대를 살아온 현대인들이 지친 몸과 마음의 치유를 위해 자연의 품에 안기고 싶어 하는 것이며 가장들이 성장기 자녀들과의 교감과 가족유대를 위한 수단으로 캠핑문화가 발전하고 있다(영남타임즈, 2010)는 것이다. 이렇듯 아이들에게 좋은 추억을 많이 만들어주는 캠핑활동은 다양한 경험과 추억을 쌓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이 진정 좋아하고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자신이 원하는 삶의 길을 선택할 수 있는 눈을 키워주므로(이철규, 2013. 03. 08), 캠핑은 가족간의 건강성 이외에도 다양한 긍정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지출금액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결과 통제요인과 가족의사소통에서 지출금액별 차이가 나타났다. 금액차이에서는 100만원 이하 소비하는 참여자가 캠핑에 금전적으로 많이 소비하는 캠퍼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많은 사람들은 사회적 교류에 의해 여가 활동과 여가시간을 함께 공유하고 참여하며 지속적인 여가활동의 참여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삶의 가치와 여가를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면서 여가활동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전문화된 여가 및 야외 레크리에이션(outdoor recreation)의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예: 돈, 시간, 노력 등)을 기꺼이 지불하는 여가활동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이수현, 2000). 현재의 우리나라의 아웃도어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은 캠핑 열풍 영향이 크다. 특히 MBC ‘일밤-아빠 어디가’를 비롯한 각종 캠핑 체험 프로그램의 인기와도 결부돼 있어 이러한 상황 속에 캠핑시장 규모는 6천억 원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남자영, 2013, 07. 29), 본 연구에서 결과는 소비에 따라 여러 요인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사실 캠핑참여의 결정은 각 가정이 처한 상황과 가치적 의미이며, 이러한 가치적 의미를 통하여 여가활동 참여자가 어떠한 행동을 선택해서 수행하는지는 선택결과에 의해 예상되는 궁극적 가치를 기대하고 행동하게 된다(유용석, 조미혜,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단순하게 금전적인 측면으로 상황을 판단하는 것은 앞으로의 캠핑연구를 진행하는데 조심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즉, 단순한 참여금액에 따른 결과의 일반화 해석은 앞으로 캠핑활동에 따른 다양한 경험과 욕구가 충족되도록 우리의 캠핑 문화를 발전 정착시켜나가는데 있어 조심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참여기간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 간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제요인과 가족의사소통에서 참여기간별 차이가 나타났다. 즉, 1년 이상 참여자들은 캠핑에 대한 참여를 가족 스스로 통제하며 참여하고 있으며, 1년 이상의 캠퍼들은 캠핑활동이 가족들 간의 의사소통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병학 (2011)은 우리나라에서 캠핑만큼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야외 여가활동은 따로 없으며 어릴 적 야영 때 맡았던 나무 타는 냄새가 그리워 캠핑을 시작했다는 캠핑 참여자나 60주 연속 주말 가족캠핑 기록을 세웠다는 오랜 기간의 참여자들은 한결같이 캠핑의 소중함을 소통해 가족의 소통을 말하고 있다. 많은 가정들은 여가활동을 통해 가족의 단합과 행복을 기원하고 있다. 이는 하루가 다르게 사회가 변모되면서 가족의 모습이 전통사회의 대가족 제도에서 부부중심의 핵가족으로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자녀에게 가족 내에서의 다양한 인간접촉, 사회성 훈련의 부족 현상이 초래하게 됨에 따라(최경원, 2010), 캠핑과 같은 여가활동을 통해 가족간의 소통을 하고 싶은 것이다.

    캠핑은 공기 좋은 곳에서 가족들과 함께 텐트를 치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하루를 보내는 캠핑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야외 취침 경험이 많지 않은 이들에겐 생각만큼 즐겁지 않으며, 딱딱한 잠자리와 큰 일교차는 척추 관절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정도(임정식, 2013, 09, 30)로 큰 불편함을 느낀다. 이렇듯 캠핑의 참여는 본인 스스로 블편함을 감수하는 통제성이 부족하면 참여 할 수 없으며, 다른 여가활동과 달리 가족성원과도 의사소통을 통해 활동의 참여정도를 정한다는 것이다.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에서 가족문제해결 요인이 캠핑의 활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문제해결요인은 통제요인, 주관적 규준요인과도 높은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야외 레크리에이션의 활동인 캠핑은 아름다운 자연속에서 주로 가족(부모)과 함께 일정한 집단의 공동생활을 통하여 인간관계를 꾀하는 교육활동이다. 즉, 캠핑은 교육ㆍ수련 등 집단생활의 훈련이나 심신을 단련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찾기 위해 도시를 벗어난 모험여행을 하는 것으로서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자연과의 일체감을 지니고 인간 본능인 미ㆍ생ㆍ성과 건강을 완성시켜주고(이규하, 2008), 다양한 경험을 시켜주는 복합 여가활동인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기능은 일반적으로 감사함을 표현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가족원들 간과 차별성이 있는 기능을 높여주며, 건강한 가족에서는 적극적으로 감사를 표현함으로써 긍정적인 가정 분위기를 조성하고 서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서정화, 2013; 박수선, 2006) 캠핑 활동이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한상미(2011)의 연구에서 건강한 가족은 가족구성원의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도록 서로 돕고, 가족구성원 간의 사랑, 행복, 개별성의 존중 등의 가족 간 유대와 긍정적인 정서 함양을 위한 질적 시간을 공유하는 것이라 하였으며, 이는 자연과 함께하는 캠핑 활동이 바로 건강한 가족을 만든다는 것이다.

    인터넷 카페 ‘캠핑 & 바베큐’에서 아이디 ‘희주아빠’로 활동 중인 류진기씨는 23일 “여덟 살 때부터 같이 캠핑하러 다니던 딸 희주가 벌써 열한 살이 됐다.”며 “함께 캠핑을 하면서 얻은 즐거움은 딸과의 대화”라고 말했다. 솔바람이 불어오는 숲과 시원한 강변, 별이 반짝이는 밤하늘을 마주하면 가슴 속에 묻어 두었던 이야기를 하며 이에 아이는 캠핑 생활을 통해 독립정신을 키우고 사회성도 기를 수 있다(윤창수, 2010)고 말하고 있다. 그밖에 캠핑의 장점으로 사람들과 상호교류에 의한 파트너쉽 강화, 자아 완성, 도전 의식, 성취감, 시간과 공간으로부터의 해방감, 자연과의 일체감, 그리고 캠핑경험에 대한 몰입 등이 포함된 내재적인 즐거움 등에 따라(김건철, 1999) 캠핑의 참여가 다른 여가활동에 비해 가족 건강성 요인의 강화에 캠핑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가족 캠핑 활동을 계획된 행동이론과 가족건강성 요인을 이용하여 참여에 따른 효과를 제시하여, 가족 캠핑이 하나의 여가 연구의 분야로 자리 잡는데 조그만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바람으로 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측정 절차와 일련의 분석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캠핑 참여자들은 지출금액과 참여기간에 따라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통제요인과 가족의사소통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관계성의 결과에서는 가족문제해결이 참여자들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여가 활동 관련 연구자들과 학생들에게 야외형 여가활동의 하나인 캠핑에 대한 후속연구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좀 더 다양한 캠핑의 형태와 가족간의 구성원의 구분을 통하여 캠핑활동 참여시 느끼는 다양한 사회-심리적 현상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할 수 있도록 연구를 좀 더 세분화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학, 가정학, 아동 복지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사용되고, 이미 검증받은 가족건강성(family strength)요인을 캠핑활동과 관계를 밝힘으로써 사회학, 가정학등과 여가학에서 학문의 통합적 연구를 제시했지만 앞으로 계속되는 연구를 통해 이러한 학문분야를 종합하는 이론적 모델을 만드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좀 더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기존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족의 건강성 개념 인식에 있어서 일반인들과 가족치료자간에 차이를 보인다고 했다. 따라서 일반인과 치료자간의 가족 건강성을 캠핑을 통해 비교해보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즉,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가족의 캠핑활동을 규칙적이고 계획성 있는 프로그램과 같이 제공하는 건전한 캠핑활동 평가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캠핑의 이득과 장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전 국민이 건전한 여가활동의 하나로써 캠핑의 참여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참고문헌
  • 1. 구 경모 (2006) 자연을 즐기자! 오토캠핑(Auto Camping). [스포츠 과학] Vol.96 P.60-69 google
  • 2. 김 건철 (1999) 청소년 야외 등산 수련활동의 산행체험: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 접근. google
  • 3. 김 영재 (2001) 여가 스포츠 지속행동 모형의 타당화 검증. google
  • 4. 김 은희 (2007) 소비자의 재활용 태도 및 행동의 이해: 제안모형과 경쟁모형의 적용. [한국행정논집] Vol.19 P.501-525 google
  • 5. 남 자영 과소비와 신종향락으로 캠핑문화 조장하는 아웃도어 `책임의식은?`. google
  • 6. 박 수선 (2006) 가족건강성과 건강가정정책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가족개념 및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google
  • 7. 박 태정 2012 한강공원에 시민 친환경농장-가족캠핑장 들어선다. google
  • 8. 박 희량, 한 덕웅 (2006) 한국 여성의 명품 구매행동을 설명하는 통합모형.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 광고] Vol.7 P.195-226 google
  • 9. 서 응철, 김 세천, 김 영표, 이 주희 (2008) 자연휴양림 캠핑장 현황과 문제점.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P.7-16 google
  • 10. 서 정화 (2013) 기혼여성의 가족건강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1. 어 은주, 유 영주 (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13 P.145-156 google
  • 12. 어 은주, 유 영주 (1997) 한국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 자녀교육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15 P.269-285 google
  • 13. 2010 내년 울릉에 국민여가 캠핑장 조성 서면 남서리 폐교 20억 들여 캠퍼유치. google
  • 14. 오 해섭 (2005) 미국의 4-H 캠핑지도자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청소년개발원] Vol.12 P.45-56 google
  • 15. 유 영주 (2001) 건강가족연구. google
  • 16. 유 영주 (2002) 건강가족의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논집] Vol.6 P.1-24 google
  • 17. 유 용석, 조 미혜 오토캠핑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한국관광학회 2009년 제66차 학술연구 발표집] Vol.379 google
  • 18. 유 주현 2012 국민 여가캠핑장 만든다. google
  • 19. 윤 창수 2010 가족과 함께 떠나는 캠핑 따라잡기 엄마 아빠, 바람도 나무도 나랑 친구하쟤요. google
  • 20. 이 군희 (2007)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google
  • 21. 이 규하 (2008) 동해시 망상 오토캠핑리조트의 운영 실태분석 및 관리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google
  • 22. 이 병학 2011 이렇게 하면 초보 겨울캠핑 완벽 준비. google
  • 23. 이 상규, 이 희관 (2005) 경기도 오토캠핑장의 타당성 및 조성방안. [정책연구] Vol.12 P.3-6 google
  • 24. 이 수 (2000) 자연친화적 스포츠 활동 참여와 환경의식 및 환경보호행위의 관계. google
  • 25. 이 철규 캠핑을 떠나야만 하는 이유. google
  • 26. 임 정식 캠핑의 계절, 야외취침 시 근육통-요통 방지하는 법. google
  • 27. 임 정아, 이 인수 (2006) 청소년기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연구. [유아교육] Vol.15 P.37-62 google
  • 28. 최 경원 (2010)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9. 한 상미 (2011) 가족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정체감. google
  • 30. 허 진영, 최 헌혁 (2008) 계획행동 이론을 적용한 모험스포츠 참여의도와 지속행동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학회지] Vol.17 P.355-367 google
  • 31. 황 인실 (2004) 가족건강성과 중장년기 성인남녀의 자아정체감. google
  • 32. Ajzen I. (1985) From intention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J. Beckman(Eds.), Action-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P.11-39 google
  • 33. Ajzen I. (2002) Constructing a TPB Questionnai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google
  • 34. Beavers W. R., Hampson R. B. (1993) Successful familie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google
  • 35. Courneya K. S. (1995) Understanding readiness for regular physical activity in older individual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ealth Psychology] Vol.14 P.80-87 google cross ref
  • 36. Fishbein M.,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google
  • 37. Godin G., Shepard J. J., Colantonio A. (1986) The cognitive profile of those who intend to exercise but do not. [Public Health Reports] Vol.101 P.521-526 google
  • 38. Iso-Ahola S. E. (1983) Toward a social psychology of recreational travel. [Leisure Studies] Vol.2 P.45-56 google cross ref
  • 39. Medinnus G. R. (1970) Adolescents self-Acceptance and Perceptions of Their Disturbed Adolescent Child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75 P.98-105 google cross ref
  • 40. Moos R. H., Moos B. S. (1986) Family environment scale manual google
  • 41. Offer D., Sabshin M. (1966) Normality: Theoretical and clinical concepts of mental health(1st & 2nd eds.). google
  • 42.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arsen A., Muxen M., Wilson M. A. (1989)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 google
  • 43. Povey R., Conner M., Sparks P., James R., Shepherd R. (2000)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healthy eating: Extending additive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influence variables. [Psychology and Health] Vol.14 P.991-1006 google cross ref
  • 44. Stinnett N., Defrain J. (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google
  • 45. Tonglet M., Philips P., Read A. (2004)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recycling behaviour: A case study from Brixworth, UK. [Resources Conservation & Recycling] Vol.41 P.191-214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 표 2. ]  TPB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TPB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 [ 표 3. ]  가족건강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가족건강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 [ 표 4. ]  캠핑 참여자들의 지출금액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의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캠핑 참여자들의 지출금액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의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 [ 표 5. ]  캠핑 참여자들의 참여기간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의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캠핑 참여자들의 참여기간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의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 [ 표 6. ]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의 상관관계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간의 상관관계
  • [ 표 7. ]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캠핑 참여자들의 가족건강성과 TPB 요인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