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일부 승무원의 구강건강 인식과 심미적 관심 The Study on Oral Health Recognition and Aesthetic Interest of Flight Attendant
ABSTRACT
일부 승무원의 구강건강 인식과 심미적 관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recognition and aesthetic interest of flight attendant. The data was collected 314 flight attendant from June to July 2014 in A Airline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the health & oral health recognition, experience and requirement of oral esthetic therap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ng model by the PASW Statistics 18.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oral health awareness were not healthier than general health. Oral health wa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the external image. The flight attendant received aesthetic dental care to improve the external image. However, self-assessment results that oral health condi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erefore they are required oral care practice with aesthetic dental care.

KEYWORD
Aesthetic dental care , Appearance satisfaction , A flight crew , Oral health
  • 서 론

    건강은 사회생활 유지에 필수조건이며, 개인의 건강과 신체만족도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자신감과 관련된다1). 신체만족도의 외적이미지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미의 기준에 맞지 않다는 외모 콤플렉스와 연관되고, 외모 콤플렉스는 낮은 신체상, 낮은 자아 존중감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개인의 심리사회적인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2). 최근 취업난으로 면접의 중요성이 강화되면서 스펙쌓기와 더불어 외적 이미지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실정이다.

    사람들은 아름다운 외모가 성공과 행복지수를 높이며 더 사교적일 수 있다고 평가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아름다운 외모를 갖고자 얼굴 및 신체, 옷차림, 헤어, 피부, 치아 등에 관리를 위한 투자를 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만족을 느끼고 능동적 삶을 살아가며 사회생활에서도 자신의 능력을 자신감 있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3,4). 특히 서비스업 종사자의 외적이미지는 기관을 대표할 정도로 중요성이 크며, 승무원은 항공사를 대표하는 인적구성원으로 비행업무에 관한 지식, 외국어 능력뿐만 아니라 외적이미지가 채용시 중요 영향요소로 작용된다5,6). 승무원 채용평가항목에서 외모평가 기준을 미소, 치아, 피부 등으로 상세히 제시하고 있으며5) 자연스런 미소와 치아건강은 구강관리에서 비롯된다. 좁은 공간에서 많은 승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적 특징은 전염성 바이러스에 노출될 확률을 높이고, 고객들과 직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심미적 구강관리가 요구되지만, 장기간의 비행은 자가 구강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과 승객의 건강을 위한 구강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직업이다.

    뷰티 라이프스타일 중 활동(activity)영역의 외모관리는 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 그리고 치아관리(교정, 치아미백, 스케일링), 턱 관절 수술 등이 포함되어 있다7). 대표적인 심미 구강관리는 치아 미백술8), 국소적 또는 전체적 치아 결함이나 선천적 변색을 심미적으로 수복하기 위한 라미네이트9), 치열, 안모의 부정교합 개선을 위한 교정처치10) 등이다. 치주의 심미적 개선을 위해 상악 전치부 치은 증식, 치은 퇴축으로 인한 black triangle, gummy smile, 정중이개, 치은위치변화 개선을 위해 심미적 치주성형술, 멜라닌 색소침착의 치료를 위한 잇몸 착색 미백수술 등11)이 시행되고 있다. 아름답고 밝은 이미지, 긍정적인 이미지 연출을 위한 구강의 심미적 관리는 사회생활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행위가 될 수 있다.

    기존 외모 관련 연구에서는 외모관리행동, 취업관련 요인 등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12,13), 외적이미지에 중요한 영향요소로 작용하는 구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생활에서 외적이미지의 영향이 높은 직종인 승무원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과 삶의 질, 구강건강과 심미적 관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상호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연구는 2014년 6∼7월 기간 중 국내 A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350명을 편의표본 추출하였다. 건양대학교병원 연구윤리위원회 승인 후(IRB FILE No. 2014-06-005),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자발적 동의가 있는 대상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14명을 최종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설문지 구성은 일반적 특성 6문항(연령, 성, 경력, 월 소득, 교육수준, 결혼여부), 건강, 구강건강관련 8문항(건강과 구강건강 만족도,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이었다.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은 OHIP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14)에서 외적이미지 및 사회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영향요인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심미치과처치 경험과 요구도 6문항(미백, 심미보철, 교정, 잇몸성형, 안면비대칭, 심미양악)을 조사하였으며, 외모와 사회생활 6문항(외적이미지 만족도, 직무영향, 외적관리 사유, 지출) 총 32문항이었다. 측정문항 중 인식도에 관한 응답은 리커트 5점 척도(Likert scale)를 이용하였다.

       3. 자료분석

    PASW Statistics 18.0 (SPSS Inc., Chicago, IL, USA)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설계 후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외적이미지, 스트레스 요인은 t-test, ANOVA분석을 하였고 건강과 구강건강 인지도, 구강관련 외적이미지 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도 등 각 요인은 상관분석을 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으로 하였다.

    결 과

       1. 일반적 특성

    성별분포는 여성이 289명(92.0%)이었고, 연령분포는 30∼39세가 143명(45.5%), 20∼29세는 124명(39.5%)이었다. 경력은 3년 이하 근무자가 99명(31.5%), 4∼9년 근무자가 97명(30.9%)이었다. 가계 월소득은 300만원 미만이 125명(39.9%), 300∼500만원이 112명(35.8%)이었다. 학력은 학사 학력자가 248명(79.0%)이었고, 독신인 대상자가 182명(58.0%)이었다(Table 1).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

    label

    Demographic Characteristic

       2. 일반적 특성별 건강과 구강건강 인식, 삶의 질

    일반적 특성별 건강 인식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구강건강 인식은 20∼29세 연령층, 3년 이하 경력자에서 높게 조사되었고 연령별, 근무경력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일반적 특성별 삶의 질 인식은 석사학위자 이상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교육수준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Table 2).

    [Table 2.]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Awareness, OHIP by General Characteristics

    labe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Awareness, OHIP by General Characteristics

       3. 외모와 사회생활

    외모 만족도는 40∼49세 연령층, 남성에서 높게 나타났고, 외적이미지가 직장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은 20∼29세 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외모 관리 연간 지출비는 30∼39세 연령층, 여성, 10년 이상 경력자, 월소득 300∼500만원에서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 심미처치 연간 지출비는 20∼29세, 여성, 3년 이하 경력자, 월소득 300만원 미만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Table 3).

    [Table 3.] Difference of External Image Fact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label

    Difference of External Image Fact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4. 심미 치과처치 경험과 요구도

    심미 치과처치 경험 다증응답 조사결과 치아미백 경험이 4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치아교정, 심미 보철 순서였다. 심미 치과처치 요구도 조사결과 양악수술과 잇몸성형이 높게 조사되었으며, 잇몸성형과 안면비대칭 치료는 경력이 높을수록 요구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Table 4).

    [Table 4.] Experience and Requirement of Oral Esthetic Therapy

    label

    Experience and Requirement of Oral Esthetic Therapy

       5. 외모, 구강건강, 외모관리비 상관성

    외모, 구강건강, 외모관리비의 상관성 분석결과 구강 심미의 외적영향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직장에서 외적이미지영향이 높다고 인식하였다(r=0.750; p<0.01). 경력(r=0.127), 월소득(r=0.173)이 높을수록 외모관리 지출이 높게 조사되었고,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이 높을수록 외모관리 지출이 높게 조사되었다(r=0.129; p<0.05). 구강 심미치료 지출은 외모관리비 지출과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r=0.236, p<0.01; Table 5).

    [Table 5.] Relationship of Health, Stress, External Image

    label

    Relationship of Health, Stress, External Image

    고 찰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미지를 대표하고 사회생활에서 외적이미지의 영향이 높은 직종인 승무원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과 삶의 질, 구강건강과 심미적 관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건강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은 전신건강이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집단이 구강건강도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전신건강에 비해 구강건강의 건강도 평점이 낮게 조사되었다. 연령과 경력이 증가될수록 구강이 건강하지 않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경험이 높을수록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이 높게 조사되었다. 연령 증가시 질병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되고, 만성 유병률이 높아져 삶의 질도 감소되며, 일반적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 분석결과 연령과는 부적관계, 교육수준과 가정 소득과는 정적관계로 조사되었다15).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행위실천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수는 낮고 운동회수와 시간이 높으며, 외적이미지의 만족도는 높아진다는 연구16)와 같이 구강건강관리 역시 행위 실천이 높을수록 구강 외적이미지 만족도가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외모 만족도는 40∼49세 연령층, 남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년 승무원의 외모 만족도가 높게 조사된 결과는 일반인에 비해 오랜 시간 외모를 관리하여 중년에 접어들면서 동년배에 비해 확연한 차이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고, 사회활동에 꾸준히 참여하는 자신감에서 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직장생활에서 외모의 영향은 20대 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나 사회 초년생의 경우 외모 영향력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외모는 성공적 사회생활을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여 여성들은 외모관리 정보나 관련 상품 광고에 관심을 갖고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지만, 직업, 연령 등에 의해 차이가 존재한다12). 기혼의 경우 미혼보다 인생을 완성하는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아 외모만족도가 높게 조사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외모에 만족도는 개인적인 발전을 도모할 욕구와도 밀접하기 때문에 가정과 자신에 대한 투자의 방향도 지적인 부분까지 할애한다고 할 수 있다.

    외적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의 핵심은 외모관심도에 따른 전략적 접근이다. 외모관리는 타고난 외모변화가 가능하다는 사고에 기초하며 타인에게 어떻게 보일 것인가를 고려하는 자기연출이다17). 외모를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압박감과 동시에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을 통해 후천적으로 미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통해3) 현대사회에서 외모란 개인의 정체성의 표현물이자 개인적 자산으로 생각되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외모를 관리하고 투자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4). 본 연구에서 외모 관리 연간소요비용은 30∼39세 연령층, 여성, 10년 이상 경력자, 월소득 300∼500만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30대의 여성들의 경우 회사 혹은 경제적으로 안정된 시기이고, 소비에 대한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3년 이하 승무원 소비는 원하는 직종의 근무와 승무원의 특성인 해외 체류시 개인적인 소비성향의 증가와 연관된 결과로 생각된다.

    구강심미 관리비용은 20∼29세, 여성, 3년 이하 경력자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특이한 사항은 외모관리는 연령층이 높은 대상에서 관리비용 지출이 높았으나 구강 심미적 관리는 20대 연령층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는 것이다. 인간의 외적 아름다움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얼굴의 미소라 할 수 있으며, 가장 자연스러운 미소를 창출하는 데 노출되는 치아의 수가 중요하다는 연구 등으로 미루어볼 때, 치아의 건강상태 및 구강의 위생이 미소에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1). 뷰티 라이프 스타일 중 활동(activity)영역은 외모관리 활동, 체형관리 활동, 성형 활동, 식이요법 활동의 4가지 활동영역이 도출되었으며. 외모관리 활동에는 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 그리고 치아관리(교정, 치아미백, 스케일링)가 포함되어 있고11) 치과심미처치의 경우 치아와 잇몸 미백, 라미네이트, 치아교정 등의 처치가 주가 되어 전신 외모 관리에 비해 연령이 낮은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구강 심미처치에 대한 부분은 치아미백 경험이 4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치아교정, 심미 보철이 높았다. 20대 여성의 양악수술과 잇몸성형이 높게 조사되었으며, 잇몸성형과 안면비대칭 치료는 경력이 높을수록 요구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악수술의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높기 때문에 취업으로 인한 수입증가로 경제적인 문제가 해결됨과 동시에 본인들의 콤플렉스를 극복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잇몸치료, 치아미맥 부분이 구강심미처치에서 높은 부분을 차지하는 이유는 서비스를 담당하며 계속적으로 고객을 응대하는 과정, 불규칙한 식사와 수면상태, 기압과 기온의 특수한 근무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강상태에 대한 점검과 고객에게 불쾌함을 줄 수 있는 상태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모관리행동은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외모가 자신이 기대하는 바와 같이 타인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행동으로 사람들은 이를 위해 관심을 갖고 노력하며 여성 86.9%는 외모관리를 위해 투자하고 있다는 연구18)를 토대로 구강심미처치 요구자 증대가 대상자에게 적합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료기관의 경영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일부 승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단면조사로 인해 삶의 질과 외적 이미지 관리 등에 관한 선후관계를 분석하지는 못했다. 추후 사회생활의 구강건강과 심미적 영향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생각된다.

참고문헌
  • 1. Sheen CY 2013 The effect of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its actual oral condition on smile [J Korea Contents Soc] Vol.13 P.258-265 google cross ref
  • 2. Lee IS, Yang YM 2015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sychosoci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s [J Korea Contents Soc] Vol.15 P.301-312 google cross ref
  • 3. Park JH 2010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the patterns of female lifesty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4. Jeon JG 2008 Usage of appearance management service and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5. Yang YK, Lee JH, Lee DH 2013 The evaluation of cabin crew recruitment [AMSOK] Vol.11 P.3-26 google
  • 6. Choi H 2010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images of flight attendant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IJTHR] Vol.24 P.51-66 google
  • 7. Kim HJ, Nam MW 2015 Development of beauty lifestyle scales for 20's-30's female adults-focusing on the life style activities area [KDK Journal] Vol.34 P.419-427 google
  • 8. Goo HJ, Kwun HS, Park JH 2015 Tooth color reduction and consequent patient satisfaction after office and home bleaching: a 6-month follow-up study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9 P.3-8 google cross ref
  • 9. Kim SK, Kang HK, Kim YK 2010 Conservative dentistry P.120-123 google
  • 10. Jung HK, Kuck SH, Kim JG, Kim DK 1997 The improvement of dental aesthetic index(DAI) on orthodontic patient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21 P.363-378 google
  • 11. Lee IK, Han SB 2003 Melanin pigmentation in gingiva [J Periodontal Implant Sci] Vol.33 P.271-276 google
  • 12. Park OL, Park JH 2009 A study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appearance by women’s lifestyle group [Korean J Human Ecol] Vol.18 P.1257-1266 google cross ref
  • 13. Jeon MJ, Jung SE, Cho SH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employment, appeara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some regions [J Dent Hyg Sci] Vol.15 P.518-526 google
  • 14. Kim SH, Lim SA, Park SJ, Kim DK 2004 Assessmen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28 P.559-569 google
  • 15. Park ES, Choi JS 2012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general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adults [J Dent Hyg Sci] Vol.12 P.624-633 google
  • 16. Lee JH, Kim SH 2014 Study of the health recognition and health behavior practice of flight attendants [JKAIS] Vol.15 P.7204-7213 google
  • 17. Yoo H, Choi SH 2010 The professional image and strategic appearance management in workpla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18. Lee JY, Park KS 2012 Study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lied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focused on skin care, makeup, apparel, hair and weight management behaviors [Korean J Human Ecol] Vol.21 P.331-347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emographic Characteristic
    Demographic Characteristic
  • [ Table 2. ]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Awareness, OHIP by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Awareness, OHIP by General Characteristics
  • [ Table 3. ]  Difference of External Image Fact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 of External Image Factor by General Characteristics
  • [ Table 4. ]  Experience and Requirement of Oral Esthetic Therapy
    Experience and Requirement of Oral Esthetic Therapy
  • [ Table 5. ]  Relationship of Health, Stress, External Image
    Relationship of Health, Stress, External Imag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