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치위생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치과위생사의 직무현황 및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asks and Education Needs for Dental Hygienist for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치위생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치과위생사의 직무현황 및 교육요구도 분석

In this study we analysed frequency and importance of tasks, and education needs of 114 people working in dental clinics to be a reference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develop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order of performance frequency is management support, preventive dental treatment, dental treatment assistance and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 order of importance level of tasks and education needs is management support, dental treatment assistance,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nd oral health education.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formance frequency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asks considered most important level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are oral health education in age of 40s (p<0.05), dental treatment assistance in dental hygienists (p<0.05), management support in women (p<0.05), dental hygienists (p<0.05), and more experienced workers (p<0.05). The most need for Education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are oral health education in women (p<0.05), dental treatment assistance in women (p<0.001) and dental hygienists (p<0.001), and management support in Seoul region (p<0.05). The importance of tasks and education needs have correlations. The results showed management support and dental treatment assistance are considered important in dental clinics and most needed job competency for dental hygienists.

KEYWORD
Dental hygiene curriculum , Dental hygienists , Important level , Need for education , Performance frequency
  • 서 론

    치위생 교육과정은 치위생(학)과의 학제 개편과 함께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1977년 전문학사 과정 개설과 1994년 2년에서 3년으로 교육연한 연장, 2002년 학사학위과정 개설을 거쳐 오늘날 석ㆍ박사학위 과정에 이르기까지 치위생 교육과정은 치의학 중심의 단편적인 지식과 기술 교육에서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한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치위생 업무수행 중심으로 발전되었다1-3).

    교육연한이 연장되면서 교과목이 증가되었고 이는 치과위생사의 업무확대와 국가시험의 변화로 이어졌으며, 이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연구가 진행되었다4-8). 특히 학사학위 과정이 개설되면서 이미 치위생 학문체계가 정립되어 있는 미국과 캐나다 등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연구가 실시되었고9-12),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치위생 학문체계와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한 연구3,13,14) 등이 진행되면서 치위생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여러 이론이 적용되고 시행되었다. 그 결과로 치위생 업무수행 과정의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단순한 업무에서 포괄적인 업무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1,8,15).

    그러나 Kohn16)이 교육과정 결정에 지역사회의 영향을 제시한 것과 같이 교육과정은 시대적 변화뿐 아니라 사회적변화에도 반영된다2,17). 우리나라 정부는 전문대학의 교육정책 방침으로 국가역량체계(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NQF)나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을 요구하고 있다. NQF란 교육과 일자리가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NCS를 기반으로 학교교육, 직업훈련, 평생학습제도, 자격제도 등을 현장 중심으로 개편하고 상호 연계하여 노동시장에서 능력중심사회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NCS란 기업이 행하는 데 필요한 직무역량을 나타낸 것이다. 즉, 산업현장의 직무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ㆍ제시하고, 일ㆍ교육ㆍ훈련ㆍ자격을 연계시켜 모든 직무에 요구되는 직무능력을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하려는 것이다18,19).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직무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따른 요구도와 중요도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는 NQF 구축ㆍ운영을 위한 시범사업을 2014년부터 추진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통합적인 NQF를 구축할 것이라고 보도하였다. 현재 보건계열은 NCS의 학습모듈이 적합하지 않아 보건복지부에서 보류하고 있지만 국가 간 인력 이동을 활성화하고 국내 우수한 인재에게 해외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치위생 분야도 직무현황과 요구도 분석을 통해 직무의 역량을 강화하고 치과위생사의 직무능력을 일정 부분 표준화하는데 대비하여야 한다. Choi의 연구2)에서 임상현장 요구에 따른 교육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는 주장과 같이 치위생 교육과정 결정에 임상 치과위생사의 업무영역을 살펴보고 요구되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데 아직 우리나라는 치과위생사의 직무현황 분석과 임상 요구도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와 요구, 치과위생사의 업무확대와 위상 향상 등에 대응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임상에서 수행되고 있는 업무의 빈도와 치과의료 종사자가 생각하는 업무의 중요도 및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전적인 치위생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설문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개인 치과병ㆍ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의료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2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간 진행하였다. 치과병ㆍ의원의 선정은 치위생(학)과 교육에 관심이 있어 신중하게 응답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치위생과의 산학협력 실습기관으로 하였으며, 한 기관에 병원장 또는 가장 선임인 치과위생사 및 직원을 우선으로 최대 2명을 선정하였다. 최대 2명을 선정한 이유는 한 조사기관에서 다수응답자가 있을 경우 전체 응답의 비율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조사는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직접 배부하여 회수하였으며, 자기기입식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조사자는 160명이었으나 응답이 누락된 16부를 제외하고 144부를 최종 자료로 분석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3,13,20-22) 연구목적에 적합하도록 설문문항을 수정ㆍ보완하여 개발하였으며, 설문문항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 6문항을 포함하여 직무현황과 교육요구도 조사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4문항, 예방치과처치 8문항, 치과진료협조 71문항(기본기구사용 3문항, 치과재료혼합 6문항, 방사선진료 5문항, 소아진료 5문항, 치주진료 4문항, 진단 9문항, 보존진료 10문항, 구강외과진료 8문항, 보철진료 9문항, 교정진료 7문항, 응급상황대처 5문항), 경영관리지원 20문항(인력관리 2문항, 감염관리 6문항, 진료자료관리 3문항, 물품관리 3문항, 시설물 2문항, 환자관리 4문항)으로 총 109문항을 조사하였다.

    Likert형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실제로 행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업무의 빈도를 나타냈다. 수행빈도는 ‘전혀 하지 않음’ 1점, ‘가끔 시행’ 2점, ‘보통’ 3점, ‘자주 시행’ 4점, ‘매일 시행’ 5점으로 하였으며, 검증된 신뢰도는 Cronbach α=0.960이었다. 각 업무가 치과위생사 역할 수행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나타내는 업무의 중요도는 ‘전혀 중요치 않음’ 1점, ‘중요치 않음’ 2점, ‘보통’ 3점, ‘중요함’ 4점, ‘매우 중요함’ 5점으로 신뢰도 분석 결과는 Cronbach α=0.971이었다. 각 업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또한 ‘전혀 필요 없음’ 1점, ‘필요 없음’ 2점, ‘보통’ 3점, ‘필요함’ 4점, ‘매우 필요함’ 5점으로 조사하였다(Cronbach α=0.975). 치과위생사 본인이 아닌 치과의사나 기타 인력이 응답한 경우 해당기관의 치과위생사 업무수행을 기준으로 작성하게 하였다.

       3. 분석방법 및 통계처리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구하였으며, 직무에 대한 수행빈도, 업무의 중요도 및 교육의 필요성은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성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t-test 및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등분산 검정은 Levene 통계량을 사용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변수들은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다중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으며, 통계처리는 PASW Statistics 18.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여자가 65.3%로 남자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 30대가 47.9%, 20대가 25.7%, 40대가 21.5% 순이었다. 직종은 치과위생사가 52.8%로 가장 많았으며, 치과의사 41.0%, 기타 6.3% 순이었다. 경력은 61~120개월이 35.4%, 121~180개월이 22.9%로 5년 이상 15년 이하의 응답자가 많았다. 진료기관의 진료형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3가지 진료과를 행하고 있다(일반진료)고 답한 응답자가 91.0%로 가장 많았다. 지역은 경기도가 55.6%, 서울이 26.4%, 인천이 13.9%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label

    General Characteristics

       2. 직무별 수행빈도, 업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성 정도

    응답자가 생각하는 직무별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성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빈도는 경영관리지원이 4.14로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예방치과처치는 3.51, 치과진료협조는 3.41, 구강보건교육은 3.28 순을 보였다. 그 중 치과진료협조에서 치과재료혼합(4.43)이 가장 수행빈도가 높았으며, 보철진료(4.08), 보존진료(3.87) 순이었고, 응급상황대체가 1.83으로 가장 낮았다. 경영관리지원을 보면 감염관리가 4.70으로 가장 높았으며, 진료자료관리(4.62), 환자관리(4.36), 물품관리(4.29) 순을 보였다.

    [Table 2.] The Average of Performance Frequency, Importance Level and Need for Education of Task

    label

    The Average of Performance Frequency, Importance Level and Need for Education of Task

    업무의 중요 정도를 질의 응답한 결과 경영관리지원은 4.38, 치과진료협조는 4.05, 예방치과처치는 3.98, 구강보건교육은 3.93 순으로 역시 경원관리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과진료협조 중에서 치과재료혼합이 4.44로 가장 높았으며, 보존진료 4.29, 기본기구사용 4.26, 치주진료 4.24, 구강외과진료 4.17 순이었으며, 소아진료 업무가 3.48로 가장 낮았다. 경원관리지원은 감염관리(4.74), 진료자료관리(4.58), 환자관리(4.57) 순이었다.

    교육의 필요성 또한 경원관리지원이 4.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치과진료협조 4.16, 예방치과처치 4.10, 구강보건교육 4.06순이었다. 치과진료협조에서 치과재료혼합이 4.45로 가장 높았으며, 보철진료 4.38, 기본기구사용 4.36, 치주진료 4.32 순이었으며, 소아진료가 3.60으로 가장 낮았다. 경영관리지원 중에서는 감염관리가 4.74로 가장 높았으며, 환자관리(4.55), 진료자료관리(4.51)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수행빈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수행빈도를 살펴본 결과 경력이 높을수록 구강보건교육, 예방치과처치, 경영관리지원의 수행빈도가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able 3).

    [Table 3.] Performance Frequency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label

    Performance Frequency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업무의 중요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업무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구강보건교육 업무의 중요도는 연령에 따라 40대가 4.15로 가장 높았으며, 20대(3.96), 30대(3.87)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치과진료협조 업무의 중요도는 성별에 따라 남자보다 여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p<0.05), 직종에 따라서는 치과위생사가 4.18로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경영관리지원 업무의 중요도는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더 중요하다고 답하였고(p<0.05), 직종에 따라 치과위생사가 4.48로 가장 높았다(p<0.05). 경력에 따라 181개월 이상이 4.55, 121~180개월이 4.48로 경력이 많을수록 경영관리지원이 중요하다고 하였다(p<0.05). 지역에 따라서는 서울이 4.61로 경영관리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그러나 예방치과처치 업무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중요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4.] Importance Level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label

    Importance Level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교육의 필요성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본 결과 예방치과처치 교육의 필요성은 성별에 따라 여자가 4.17로 남자 3.95보다 높았다(p<0.05). 치과진료협조 교육의 필요성은 성별에 따라 여자가 더 필요도가 높았으며(p<0.001), 직종에 따라서 치과위생사가 4.32, 치과의사가 4.01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경영관리지원은 지역에 따라 서울이 4.56, 인천이 4.37, 경기도가 4.24 순이었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Table 5).

    [Table 5.] Need for Education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label

    Need for Education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6.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및 교육의 필요성의 관련성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성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세 변수 모두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은 상관계수가 0.882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able 6.]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

    label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

    고 찰

    치위생학은 행동관리와 예방구강보건의료를 제공하는 기술과학으로 구강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치위생 교육과정은 이를 위해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치과처치, 치과진료협조 및 경영관리지원 등의 이론과 기술을 중심으로14) 여러 복합적인 요소를 절충하여 개발되고 있다. 그 요소를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면 첫째, 치과위생사의 업무와 치위생학의 학문 정립을 위한 통합 치위생 업무수행과정, 둘째, 치과위생사 면허취득을 위한 국가시험 경향, 마지막으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명확하게 하는 임상 현장의 직무내용 분석이다.

    현행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업무는 역할에 충실하고 수행에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위주로 습득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대한 발전적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신규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수행능력’을 교육목표로 제시하여 치위생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가에서 치위생 교육과정 인정기준을 제정하고 세부전공을 통합교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다8,23,24). 임상의 직무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현재 치과에서 수행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의 업무와 요구도를 파악하여야 한다. Choi2)는 교육과정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으로 임상현장의 요구에 따른 학과 교육목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이는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임상 현장의 치과위생사 직무 수행과 교육의 요구도의 반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세 가지 요소 중 마지막인 임상현장의 직무내용 분석을 중점으로 치과위생사의 업무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성을 조사함으로써 치위생교육과정 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그 결과 직무별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성 정도를 알아본 결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빈도는 경영관리지원, 예방치과처치, 치과진료협조, 구강보건교육 순이었다. Park 등20)의 연구에서 치과위생사가 수행하고 있는 업무 중 진료협조업무가 가장 높은 것과 차이가 있었으나 경영관리지원 변수 중 감염관리가 가장 높고 치과진료협조에서 응급상황대체가 가장 낮은 것은 Park 등20)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업무의 중요 정도를 조사한 결과 경영관리지원, 치과진료협조, 예방치과처치, 구강보건교육 순이었으며, 교육의 필요성 또한 경원관리지원이 가장 높고 치과진료협조, 예방치과처치, 구강보건교육 순이었다.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 모두 경영관리지원이 높게 나타난 것은 치과위생사가 치과경영 및 관리의 전반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행정적 제반 사항이 복잡해지고 체계화 되면서 그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경영관리지원 중 감염관리와 환자관리가 높게 나타난 것은 환자의 케어와 구강건강 향상 서비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치과위생사의 중요한 업무로 환자의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수행빈도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직무별 업무의 중요도는 구강보건교육이 연령에 따라 40대가 가장 높다. 치과진료협조 업무와 경영관리지원 업무 모두 여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직종에 따라 치과위생사가 가장 높았다. 치과진료협조와 경영관리지원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치과위생사가 원활한 구강진료와 병원 운영을 위해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의 필요성은 예방치과처치가 성별에 따라 여자가 높았으며, 치과진료 협조는 여자가 또한 치과위생사가 높아 업무의 중요도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및 교육의 필요성이 모두 여자와 치과위생사에서 높게 나타난 것은 남자는 치과의사가, 여자는 치과위생사가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및 교육의 필요성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이 높은 상관성을 보여 수행빈도보다 업무가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교육의 필요성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아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에서 치과진료협조가 높게 나타난 이유는 임상구강위생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미국과 달리 아직 우리나라는 예방진료 업무가 아닌 치과진료협조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기 때문이다9,10). 향후 치과위생사 업무는 구강병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 중재하는데 초점을 맞춰 점진적으로 통합적인 치위생 업무수행 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재 임상에서 요구하고 있는 경영관리지원과 치과진료협조에 대한 교육도 적절히 안배되고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정된 지역에서 임의표본추출하여 일반화하기에 제한적이며, 직종 간 이견을 비교하기에 표본수가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살펴봄으로써 치위생 교육과정 개발에 다각도의 의견을 수렴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현재 전문대학 교육에서 요구하는 NQF와 NCS에 대비하기 위해 치위생 교육과정은 치과위생사의 업무와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이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위원회를 결성하여 치과위생사의 직무현황과 요구도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점이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고령사회를 대비하고, 특수계층 인구집단의 구강건강을 책임지기 위해서 임상의 직무분석을 바탕으로 단순 진료협조업무에서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능력을 배양하는 치위생 업무 수행과정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Cho YS, Lee SY 2005 Developing a integrated curriculum for a clinical dental hygiene [J Dent Hyg Sci] Vol.5 P.33-38 google
  • 2. Choi GY 2010 Analysis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system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3. Chung WG, Kim EG, Choi EM 2009 A study on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dental hygiene discipline in Korea google
  • 4. Hwang MY 2002 Dental hygienist integration curriculum module development for investig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5. Kwun HS, Choe BO 2000 An analysi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in three countrie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Vol.17 P.185-213 google
  • 6. Kwun HS 1999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model for dental hygienist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7. Cho PK 1999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ajor curriculum in Dept. of dental hygie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8. Cho YS 2005 Comparison of curriculum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for B. S, degree [J Dent Hyg Sci] Vol.5 P.251-258 google
  • 9. Won BY, Hwang MY, Chun SY 2010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dental hygiene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America [J Korean Soc Dent Hyg] Vol.10 P.1061-1071 google
  • 10. Cho YS, Kim YJ, Ahn GS 2006 An analysis of pre-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programs in USA and in Canada [J Dent Hyg Sci] Vol.6 P.41-45 google
  • 11. Kim C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f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2. Jeong HJ, Aiko H 2010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and comparison of some curriculums in Korea and Japan [JKAIS] Vol.11 P.4896-4906 google
  • 13. Kim EG, Kim YJ, Kim CH 2005 Dental hygiene standardize curriculum and development google
  • 14. Won BY, Jang GW, Hwang MY, Kim SA, Jang JH 2013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J Korean Soc Dent Hyg] Vol.13 P.1-12 google
  • 15. Hwang MY, Kim YN, Kim YS 2007 A study of accreditation standard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 google
  • 16. Kohn E 2008 The impact of community on curriculum decision making: a case study from a North American Jewish day school [Curric Teach] Vol.23 P.89-98 google
  • 17. Yang SK 2011 Curricul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J Dent Hyg Sci] Vol.11 P.455-462 google
  • 18. 2014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google
  • 19. 201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google
  • 20. 2004 A study on business extension of dental hygienists google
  • 21. Yang JH, Lee HY 2010 Task analysis and education need of dietitians in the contracted business & industry food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 Vol.15 P.124-136 google
  • 22. Kwon SB 2010 The effects of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curriculum on the progessional roles improvement of dental hygienis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23. 2001 Competencies for entry the profession of dental hygiene [J Dent Educ] Vol.65 P.662-666 google
  • 24. DeWald JP, McCann AL 1999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a dental hygiene program [J Dent Educ] Vol.63 P.793-804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General Characteristics
  • [ Table 2. ]  The Average of Performance Frequency, Importance Level and Need for Education of Task
    The Average of Performance Frequency, Importance Level and Need for Education of Task
  • [ Table 3. ]  Performance Frequency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Frequency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 [ Table 4. ]  Importance Level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Importance Level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 [ Table 5. ]  Need for Education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Need for Education of Task by General Characteristics
  • [ Table 6. ]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