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유아발레복의 착용 실태 및 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Fit of Children’s Ballet Dancewear
ABSTRACT
유아발레복의 착용 실태 및 치수 맞음새에 관한 연구

This study is aimed to research the actual wearing condition of ballet dancewear of girls aged between 2 and 6 years on its design, size and fit.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71 mothers who have a girl learning ballet danc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with ballet education, ballet dancewear purchasing, preference on design, size selection, and fitt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statistics, χ²-test, ANOVA using the SPSS WIN 2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High rate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purpose of ballet education was for good body balance, leisure activity, and height growth. The main method of purchase was online shopping. The design, price, size and fit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ballet dancewear putes for girls. The most preferred style of ballet dancewear were ‘short sleeve skirted leotard’ and ‘camisole skirted leotard’ which look like dress. The respondents reported slight satisfaction with size and fit, price, convenience in action, sewing and durability. The most preferred sizing system was code by height but any ballet dancewear makers don’t use code by height.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select size. Retailers and manufacturers could potentially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improve the sizing system and fit for children’s ballet dancewear.

KEYWORD
유아동복 , 착용실태 , 발레복 , 맞음새 , 치수체계
  • 1. 서 론

    과거에는 발레 전문 학원에서 전공자 양성을 위해 이루어지던 발레 교육이 최근에는 구립 문화센터,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문화센터, 유치원, 어린이집 등 가까운 곳에서 저렴한 수업료로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유아발레교육의 장이 한층 넓어지고 있다. 오늘날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과 창의성, 사회성이 중요시되는 사회의 요구가 확대되면서 예체능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건강과 신체적 외모에 대한 관심으로 유아의 발레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Kim, 2011). 또한 문화센터에서 제공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발레 프로그램으로 발레의 기본 동작과 함께 기초 체력과 유연성을 기를 수 있는 활동, 창의적 표현과 자세교정, 체형 교정, 스트레칭 활동(Oh & Lee, 2011) 등이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되고 있다. 체계적인 무용교육은 아동으로 하여금 신체의 균형 있는 발달은 물론 자아 개념을 개발하고 사회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과 심미적 감각을 길러줄 뿐만 아니라 창의력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전인적 인간 완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Shin, 2000). 그러나 7세 이전의 유아의 경우 아직 뼈가 매우 부드럽고 연약하여 지나치게 힘든 연습과 노력은 뼈와 근육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 시기의 발레교육은 지나친 부담이 되어서는 안 되고 흥미로운 것이어야 한다(Hong, 2010). 따라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 발레 교육 프로그램은 전문적인 발레동작의 연습이 아니라 발레 동작을 활용하여 유아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을 돕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발레교육 프로그램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유아발레복 산업도 발달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판매업체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초창기에는 수입 브랜드를 위주로 판매하던 업체들이 많았으나 시장이 커짐에 따라 제조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기를 구분하는 연령은 연구자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른데 소아 의학에서는 2세 부터 취학 전까지의 4년간을 유아라고 부르며(Rim, 2005), 아동학에서는 만 2세에서 6세까지를 유아로 정의(Jeong, 2002)하기도 하고, 의류학에서는 유아기를 12개월부터 59개월로 구분(Choi & Lee, 1995)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문화센터에서 유아발레교육의 대상인 24개월부터 7세까지 즉, 만 2세부터 만 6세까지를 유아발레복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유아기는 인간으로서 가장 중요한 성장 발달의 시기로 인지적 발달과 정서적 발달, 사회적 발달과 함께 신체 발달도 왕성한 시기이다. 유아발레복의 경우 유아의 운동시 입는 의복이므로 이러한 유아의 신체적 특성과 발레의 운동 특성이 반영되어 디자인과 치수의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발레복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평상복으로서의 유아동복에 관한 연구(Jung et al., 2014; Kim et al., 2002; Zhang et al., 2013)였으며 유아 운동 시 착용하는 의복으로 유아수영복에 관한 연구(Jung, 2003)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의류학에서는 발레 의상에 관한 연구(Chung, 2013; Kim et al., 2003)가 있었으나 성인을 대상으로 튜튜(tutu)에 관해서만 이루어졌고 교육학에서는 유아 발레 교 육에 관한 연구(Hong, 2010; Kim, 2011; Oh & Lee, 2011; Rim, 2005; Shin, 2000)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유아발레복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발레복의 구매 실태와 착용 실태 및 시판 중인 유아발레복의 치수체계에 대한 조사를 통해 표준화된 치수체계 정립과 유아발레복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2.1. 조사 대상 및 자료 수집

    본 연구는 발레교육을 시킨 경험이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가 발레를 시작한 연령, 발레복의 구매 장소, 발레복의 디자인 선호 유형을 묻고, 발레복을 구매하는데 있어 중요시하는 요인, 사이즈 선택 요인, 맞음새 만족도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발레복 디자인의 유형을 정하기 위하여 발레복 온라인 쇼핑몰과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사전 제품 조사를 실시하였고 예비조사를 거쳐 설문지를 수정, 보완한 후 2014년 4월 21일부터 6월 15일까지 본 조사를 시행 하였다.

       2.2. 조사 방법 및 자료 분석

    조사는 응답자가 직접 온라인에서 기재할 수 있도록 구글 서베이를 이용해서 작성한 후 QR코드와 도메인주소를 인쇄한 설문지 안내문을 제작하여 서울과 수도권 지역 문화센터와 발레교육학원 등에 총 200부를 방문 배포하였다. 187부가 회수되었으며 중복 회수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71부가 분석에 사용되 었다. 설문지는 발레복 구매와 관련된 질문 11문항, 사이즈와 맞음새에 관련된 질문 10문항, 발레교육에 관련된 질문 4문항, 인구통계학적 질문 6문항으로 총 3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3. 결과 및 논의

       3.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 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조사 대상자 자녀의 연령은 만 2세가 15.8%(27명), 만 3세가 21.1%(36명), 만 4세가 25.1%(43명), 만 5세가 23.4%(40명), 만 6세가 14.6%(25명)이었다. 조사 대상자 자녀의 신체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만 2세의 키 평균은 90.7 cm, 만 3세의 키 평균은 96.8 cm, 만 4세의 키 평균은 104.8 cm, 만 5세의 키 평균은 112.3 cm, 만 6세의 키 평균은 118.6 cm로 조사되었다. 한국인 인체 치수 조사(Korean Agency for Technology & Standards[KATS], 2004b) 자료의 만 2~6세의 각 연령별 신장과 몸무게의 평균을 살펴본 결과 신장과 키에 있어서 본 조사의 결과보다 모두 낮았다. 이는 제 5차 한국인 인체 치수조사 자료가 2004년에 측정된 것이라 10년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label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able 2.]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irls

    label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irls

       3.2. 발레 교육 목적과 기간

    발레교육을 하는 목적에 대한 다중응답결과는 Table 3과 같다. ‘좋은 체형을 위해(체형교정)’이 33.2%, ‘취미와 운동을 위해’가 30.9%, ‘키 성장 발달을 위해’가 17.6%, ‘자녀가 원해서’ 가 9.8%로 나타났다. 발레전공자로 키우기 위해 만 2~6세의 자녀에게 발레교육을 시키는 경우는 없었고 대부분 좋은 체형을 위해서와 취미와 운동으로 교육시키고 있었다. 발레 교육 기간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3~6개월이 38%, 1~2개월이 28.1%로 높게 나타났다. 2세, 3세에 시작하는 경우가 많고 5세, 6세에서는 1년 이상 배운 경우가 많았다. 놀이를 통한 유아발레수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Kim (2011)의 선행연구 결과에서도 발레교육의 이유로 ‘균형 있는 신체발달과 아름다운 몸매로 키우기 위하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이가 원해서‘의 대답은 낮게 나타났다. 발레교육기간은 6개월 미만이 60.2%의 비율로 나타나 이번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비슷한 분포를 나타냈다. 이를 통하여 유아발레교육은 자녀들이 직접 원해서 받는 경우보다는 부모들이 발레교육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이루어지며 균형 있는 신체의 발달과 자세교정을 위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Table 3.] Purpose of ballet education

    label

    Purpose of ballet education

    [Table 4.] Duration of ballet education

    label

    Duration of ballet education

       3.3. 유아발레복 구매 실태

    3.3.1. 유아발레복 구입 방법

    유아 발레복 구입 방법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Fig. 1과 같다. 온라인 쇼핑몰 구매가 62.6%(107명)로 가장 높았고 오프라인 매장이 15.8%(27명), 기타(물려받거나 선물)가 10.5%(18명)로 조사되어 유아발레복의 경우 일반 유아복 구매와 달리 온라인 쇼핑몰 구매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아동의 의복구매에 관한 선행연구(Zhang et al., 2013)에 따르면 아동복의 주된 구매 장소는 ‘대형할인점’ 이용이 가장 많고 ‘인터넷 홈쇼핑’이 21.6%, 백화점이 21.6% 등 오프라인 매장의 비율이 더 높다. 그러나 유아발레복의 경우 일반 유아동복과 달리 대형할인점이나 백화점에서는 거의 팔지 않고, 전문매장수도 매우 적어 오프라인 매장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있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 구매 비율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3.3.2. 유아발레복 구입 가격

    구입한 유아발레복의 가격대의 결과는 Fig. 2와 같다. ‘3만원 이상~4만원 미만’이 36.3%(62명), ‘4만원 이상~5만원 미만’이 33.3%(57명), ‘2만원 이상~3만원 미만’이 17.9%(29명), ‘5만원 이상~7만원 미만’이 12.3%(21명) 순으로 나타났다.

    3.3.3. 자녀의 의견 반영 정도

    ‘엄마의 의견을 100% 반영한다’는 비율이 39.8%(68명), ‘엄마의 의견을 아이 의견보다 많이 반영한다’는 비율이 26.3%(45 명)으로 전반적으로 자녀의 의견 반영정도는 낮았다. 6세 자녀를 둔 어머니 3.5%만이 ‘자녀 의견을 100% 반영한다’고 답했다. 연령에 따라 자녀의 의견을 반영하는 비율에서 유의수준 p< .001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 그 결과는 Table 5와 같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의견 반영 비율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Table 5.] Reflection of daughter’s opinion by girl’s age

    label

    Reflection of daughter’s opinion by girl’s age

    3.3.4. 유아발레복 구매 시 고려 요인

    유아발레복 구매 시 고려하는 9가지 요인에 대한 다중응답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디자인’이 37.9%로 가장 높았고 ‘가격’이 19.5%, ‘사이즈’가 15.7%, ‘활동성’이 8.1%, ‘소재’가 8.1%, ‘색상’이 4.9%, ‘촉감’이 2.2%, ‘세탁 및 관리’가 2.2%, ‘브랜드’가 1.4%로 조사되었다. 유아동 수영복에 관한 선행연 구(Jung, 2003)에서는 ‘활동의 편안함, 기능성’과 ‘적절한 사이즈, 맞음새’, ‘수영복의 디자인’, ‘수영복의 색상’, ‘수영복의 가격’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영복 회사의 인지도’, ‘수영복의 유행성’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아동의 의복구매에 관한 선행연구(Zhang et al., 2013)에서는 ‘치수 맞음새’가 가장 높고 ‘색상이나 무늬’, ‘디자인’, ‘착용 시 활동의 편안함’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명상표’, ‘유행의 정도’에 대하여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운동이나 수업을 위한 수영복, 발레복뿐만 아니라 일반 유아동복의 경우도 브랜드 인지도나 유행보다는 디자인, 활동의 편안함, 치수 맞음새, 가격을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고, 수영복의 경우는 활동의 편안함, 기능성 등이 더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발레복의 경우는 디자인이 높은 점수를 얻어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발레보다는 수영이 훨씬 운동 강도가 높으며 물속에서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기능성을 더 중요시하는 반면 발레의 경우 여아들의 놀이학습의 경향이 더 커서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3.5. 유아발레복 구매 시 치수 선택 방법

    유아발레복 구매 시 치수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다중응답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신체치수를 기준으로’가 48.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품 구입 후기를 참고하여’가 15.4%, ‘나이를 기준으로’가 14.2%, ‘온라인 문의 또는 전화 문의’가 9.1%, ‘ 직접 방문’이 7.1%, ‘제품 실측 길이를 기준으로’가 5.5%로 나타났다.

    [Table 7.] The way of selecting size

    label

    The way of selecting size

    3.3.6. 자녀 의복 구매 시 치수 선택

    자녀의 실제와 비교하여 어떤 것을 구입하는 지 묻는 문항에는 ‘한 치수 큰 것’이 55%, ‘딱 맞는 치수’가 40.9%였다. 학령 전기 아동복 치수 선택과 관련한 선행연구(Kim et al., 2002)에서는 ‘한 치수 큰 것’을 선택하는 비율이 59.2%, ‘두 치수 큰 것’을 선택하는 비율이 23.4%로 나타났고, 유치원 아동복 치수 선택과 관련한 선행연구(Zhang et al., 2013)에서는 ‘한 치수 큰 것’을 선택하는 비율이 72.1%, ‘딱 맞는 치수’를 선택하는 비율이 24.7%로 나타나 예전보다는 ‘딱 맞는 치수’를 구입하는 비율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고 이번 연구 결과에서는 딱 맞는 치수 선택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평상복과 달리 발레 운동의 특성상 유아발레복은 몸에 잘 맞아야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가구 월소득별 구입 치수의 교차분석 결과는 Table 8과 같다. p< .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딱 맞는 치수’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Table 8.] Purchasing size by monthly household income

    label

    Purchasing size by monthly household income

    3.3.7. 자녀 의복 구매 시 선호하는 치수체계

    자녀의 의복 구매 시 선호하는 치수체계를 조사한 결과는 Fig. 3과 같다. 시판 유아동복 치수체계에 관한 선행연구(Jung et al., 2014)에 따르면 현재 시판되고 있는 유아동 브랜드의 호칭 표기 방식은 신체치수를 기본으로 하는 호칭(70~180), 연령을 기본으로 하는 호칭, 단순 호칭(3~17호), 문자 호칭(XS/S/M/L/XL), 이들 중 두 가지 항목을 병기하는 호칭으로 나누어 지는데 신체치수를 기본으로 하는 경우 일부 내의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키를 기준으로 하고 있었고 숫자 호칭은 신체치수나 연령 등과 전혀 관련이 없는 단순 호칭으로 분류하였다. 이번 설문 결과에서는 선호하는 치수 체계가 ‘키 기준(ex: 100, 110, 120)’ 호칭이 54.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 기준 (ex: 4Y, 5Y)’ 호칭이 26.9%, ‘숫자 호칭(ex: 5호, 7호, 9호)’ 이 11.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칭을 선택하는 기준에서 신 체 치수인 키나 몸무게를 기준으로 한다는 응답이 높았던 것과 같은 경향을 보인다.

    3.3.8 유아발레복의 사용 치수 체계

    실제로 구매하여 착용하고 있는 발레복 제품에 표기된 치수에 대하여 주관식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는데 일반 유아복에서도 나타나는 5호, 7호, 9호, 11호 등의 숫자호칭과 발레복쇼핑몰에서만 나타나는 20호, 22호, 24호, 26호 등의 숫자호칭이 나타났고 5~6세, 7~8세, 9~10세와 같은 연령 표기 호칭과 S, M, L 등의 문자호칭으로 응답하기도 하였다. 또한 해외 브랜드의 경우 6x~7, I 등이 표기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유아발레복 판매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치수 표기 방식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Table 9와 같다. 제조 및 판매업체별로 표기 방식은 다양했으며 표기 방식이 같더라도 분류기준이 다른 경우도 있었다. 5호, 7호, 9호, 11호 등의 숫자호칭을 사용하는 업체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신체치수나 연령 등과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에 사이즈 안내에서 참고 치수를 제시하고 있었다. 키를 참고 치수로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연령과 몸무게만을 참고치수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같은 호칭이라도 기준이 되는 연령이 다른 경우도 있고 참고 치수인 키의 경우는 업체마다 범위가 모두 달랐다.

    [Table 9.] Comparison of size guide

    label

    Comparison of size guide

    여자아동복의 치수체계를 정하고 있는 KS 치수규격에서는 운동복 중에서 전신용에 관한 규격이 있고, 예시에 전신용 운동복, 전신용 수영복, 체조복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호칭표기순서는 ‘키’를 기준으로 하도록(KATS, 2004a) 되어 있지만 실제로 키를 호칭이나 참고치수로 사용하는 업체의 비율은 낮았다.

    이러한 치수표기법에서 오는 혼동에 소비자들은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치수안내 또한 업체마다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표준화된 치수 체계와 표기법 개발이 필요하다.

       3.4. 유아발레복 착용 실태

    3.4.1. 소유한 유아발레복 수

    소유하고 있는 발레복의 수에 대한 응답은 ‘1벌’이 53.8%(92명), ‘2벌’이 33.3%(57명), ‘3벌’이 9.4%(16명) 순으로 나타났다. 발레 교육 기간별로 소유한 발레복 수를 교차분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유의수준 p< .001에서 서로 유의하게 나타나 이는 교육 기간이 늘어날수록 소유한 발레복 수도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Table 10.] Number of owned ballet dancewear by duration

    label

    Number of owned ballet dancewear by duration

    3.4.2. 시판중인 유아발레복의 형태

    현재 착용중인 유아발레복의 형태와 색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전에 인터넷 쇼핑몰과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시판중인 발레복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을 위하여 유아발레복의 형태를 9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는데 그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레오타드(Leotard)는 19세기 프랑스의 곡예사 레오타드의 이름을 딴 것으로 무용전공자들이 착용하는 아래위가 붙어서 몸에 착 달라붙는 원피스 형태의 의복을 말하며, 형태는 소매가 없는 형과 반소매, 긴소매형이 있다(Rim et al., 2003). 그 위에 튜튜(Tutu) 스커트나 쉬폰 스커트를 착용하는데 유아발레복의 경우 스커트가 붙은 형태로 일체형의 판매비중이 높았다. 유아발레복에서도 기본 형태는 레오타드이나 전공발레 보다는 취미발레로 배우는 여아들이 많아 소재, 색상, 디자인, 장식 등이 다양한 발레복들이 시판되고 있다.

    [Table 11.] Type of ballet dancewear

    label

    Type of ballet dancewear

    3.4.3. 착용중인 유아발레복과 선호하는 유아 발레복의 형태

    현재 착용중인 발레복의 형태와 재구매시 선호하는 형태를 조사한 결과와 현재 유아발레복 상품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고 유아발레복 쇼핑몰 A업체의 상품 148개를 9가지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Table 12.] Owned and preferred type of ballet dancewear

    label

    Owned and preferred type of ballet dancewear

    현재 착용중인 발레복의 형태로 ‘반소매 튜튜 일체형(short sleeve tutu leotard)’이 48.5%(83명)로 가장 높았고 ‘어깨끈 튜튜 일체형(camisole tutu leotard)’이 29.8%(51명)로 이 두 가지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런데 재구매시 선호하는 발레복의 형태에서는 ‘반소매 튜튜 일체형’이 37.4%(64명), ‘어깨끈 튜튜 일체형’이 20.5%(35명)로 여전히 높지만 ‘엠파이어 드레스형’과 ‘레오타드+튜튜스커트’와 ‘상하분리형’이 높아졌다.

    3.4.4. 착용중인 발레복의 색상

    착용중인 발레복의 색상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분홍색(pink)’이 75.4%(129명)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흰색(white)’이 9.9%(17명), ‘하늘색(sky blue)’가 8.2%(14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업체에서는 기본색으로 검정(black) 색상을 구비해놓고 있지만 착용중인 발레복의 비중에서는 매우 낮았다. 유아발레복의 경우 시판중인 발레복이 대부분 분홍색을 기본색으로 하고 나머지 색상을 추가로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구 매 시 고려 요인에서 색상의 비중이 낮았다.

    [Table 13.] Color of ballet dancewear

    label

    Color of ballet dancewear

    3.4.5. 유아발레복의 맞음새

    Table 14는 유아발레복 착용 시 연령별로 부위별 치수 맞음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문항에 대하여 5점 척도를 실시하고 ANOVA를 실시하여 연령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이다. 치수 맞음새 문항은 ‘매우 작다(1점)-약간 작다(2점)-잘 맞는다(3점)-약간 크다(4점)-매우 크다(5점)’의 척도로 평균점수가 작을수록 작다고 평가한 것이다. 어깨부위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작다고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고 만 6세의 경우 대부분의 부위에서 다른 연령보다 평균값이 작게 나오는 경향을 보였다. ‘앞판부분의 네크라인과 가슴’ 부위에서 p<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소매와 암홀’ 부위에서는 p< .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기는 신체적 발육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고 치수 선택도 성장여유분을 고려해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 치수 맞음새는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동복의 치수 인지도와 맞음새를 조사한 선행연구(Kim et al., 2002)에서 맞음새에 대한 인식이 성인복과 다르고 소비자들이 치수가 한, 두 호칭 큰 것을 보통 크기 정도의 맞음새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며 성장기임을 고려해 나이에 맞추어 꼭 맞는 옷을 입기보다는 여유가 있는 옷을 선호하고 이를 맞음새에 있어 보통 크기로 인식하고 있다고 하였 는데 유아발레복에 있어서도 소비자인 어머니들의 맞음새에 대한 평가가 선호하는 맞음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Table 14.] Differences in fit by girl’s age

    label

    Differences in fit by girl’s age

    3.4.6. 유아발레복의 불만족 사항

    자녀의 발레복 구매 및 착용 후 불만족 사항에 대한 다중응답분석결과는 Table 15와 같다. ‘사이즈 및 맞음새’가 20.8%로 가장 높았고 ‘가격’이 15.7%, ‘활동의 편안함’과 ‘봉제 및 내구성’이 11.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촉감’이 10.6%, ‘디자인’이 9.8%, ‘세탁 및 관리’가 6.3%, ‘색상’이 3.5%로 조사되었다. ‘사이즈 및 맞음새’, ‘활동의 편안함’ 등은 패턴 설계 시 고려해야할 부분이며 판매 시에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는 표준화된 치수체계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able 15.] Dissatisfaction factors

    label

    Dissatisfaction factors

    4. 결 론

    본 연구는 발레교육을 시킨 경험이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발레복에 대한 구매실태와 착용 실태를 설문조사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레교육을 하는 목적으로는 ‘좋은 체형을 위해(체형 교정)’, ‘취미와 운동을 위해’, ‘키 성장 발달을 위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공을 위한 전문발레를 배우기보다는 가벼운 운동과 놀이로서 발레교육을 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발레복 구입 방법은 온라인 쇼핑몰이 62.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유아복과 달리 백화점과 대형할인점에서 판매하지 않고 오프라인 매장이 많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구입 시 가장 고려하는 요인은 디자인, 가격, 사이즈 순이었다. 구입했거나 선호하는 유아발레복의 형태에서는 발레전공자들의 기본연습복인 레오타드와 별도 스커트 구입보다는 튜튜스커트가 레오타드에 붙어 있는 일체형의 비중이 높았다. 구입 및 착용 발레복의 색상에 있어서는 분홍색이 매우 높았다.

    셋째, 유아발레복 구입 시 치수 선택에 있어서는 한 치수 큰것을 선택한다는 응답이 55%, 딱 맞는 치수를 선택한다는 응답이 40.9%로 나타나 평상복의 치수 선택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의복 구매 시 선택기준은 신체치수를 기준으로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선호하는 치수 체계도 키를 기준으로 하는 호칭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착용중인 발레복의 치수체계에 대한 응답은 다양한 치수표기법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재 시판되고 있는 유아발레복의 치수 체계를 조사한 결과 숫자로 표시하는 단순 호칭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키를 기준으로 하는 호칭을 사용하는 곳은 없었다.

    다섯째, 치수 맞음새에 있어서는 연령별로 부위별 맞음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앞판 부분의 네크라인과 가슴’ 부위에서 p<.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소매와 암홀’ 부위에서는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구입 및 착용한 유아발레복의 불만족 요인으로는 사이즈 맞음새가 20.8%로 가장 높았고 가격, 활동의 편안함, 봉제 및 내구성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발레복의 구매와 치수 맞음새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유아발레복은 소비자들이 성장 여유분을 고려하여 한 치수 더 큰 넉넉한 치수를 선택하는 비율이 더 높지만 딱 맞게 입히고자 하는 비율도 높기 때문에 패턴 설계 시에 성장 여유분을 가산하기 보다는 판매 시에 정확한 치수와 커버율을 제시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치수를 제대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비자들은 신체치수인 키를 기준으로 하는 치수표기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아동복의 KS 치수규격에도 전신용 운동복의 경우 키를 기준으로 할 것을 정하고 있으므로 연령을 기준으로 하는 것보다는 키를 기준으로 하는 호칭을 사용하고 참고치수로 연령과 몸무게를 함께 표기하는 것이 소비자 혼동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연령과 키, 몸무게와 둘레항목 등 패턴 제작 및 판매에 필요한 신체치수의 분포와 상관관계를 통해 소비자들이 인지하기 쉽고 치수 불만족 사항이 줄어들 수 있는 표준화된 치수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Choi Y. K., Lee S. Y. 1995 A study of the body development of infant and chi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9 P.790-800 google
  • 2. Chung H. A. 2013 A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ballet costume ‘TUTU’.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3. Hong H. R. 2010 Influence of the RAD ballet program on physical self-concept and physical creativity among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4. Jeong O. B. 2002 아동발달의 이해 [Understanding of children’s development] google
  • 5. Jung H. S. 2003 Study on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sizing systems of infants and children’s swimwe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6. Jung M. S., Kang H. J., Jang I. S.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izing system for infants’ & children’s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4 P.70-83 google cross ref
  • 7. Kim H. J. 2011 The effect on children ballet training through children pl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8. Kim I. S., Seok H. J., Bang E. Y., Kim Y. M., Sung E. J., Kim D. H., Lee E. J. 2002 A study on fitness and awareness of sizing system of kids’ clothes - Focusing on a first to third year kid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0 P.119-229 google
  • 9. Kim S. Y., Choi Y. S., Lee B. H. 2003 A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TUTU on the Korean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3 P.63-74 google
  • 10. 2004 Sizing systems for girl’s garments google
  • 11. 2004 The 5th Size Korea Survey final report google
  • 12. Oh Y. J., Lee K. S. 2011 Tendency in movement activity programs for children-culture centers in department stores-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Vol.12 P.23-44 google
  • 13. Rim Y. J., Lee B. H., Choi Y. S., Kim S. Y. 2003 특수의복구성?발레의상 중심- [Special clothing construction -ballet costume-] google
  • 14. Rim Y. S. 2005 An affection of the early dance education on infants’ growth and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5. Shin H. K. 2000 A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 of early education in ball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6. Zhang M. N., Lee Y. S., Kim S. B. 2013 A study on clothes purchase and size fit for kindergarte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5 P.116-129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 [ Table 2. ]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irl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irls
  • [ Table 3. ]  Purpose of ballet education
    Purpose of ballet education
  • [ Table 4. ]  Duration of ballet education
    Duration of ballet education
  • [ Fig. 1. ]  Method of purchase.
    Method of purchase.
  • [ Fig. 2. ]  Price of ballet dancewear.
    Price of ballet dancewear.
  • [ Table 5. ]  Reflection of daughter’s opinion by girl’s age
    Reflection of daughter’s opinion by girl’s age
  • [ Table 6. ]  Purchase factors
    Purchase factors
  • [ Table 7. ]  The way of selecting size
    The way of selecting size
  • [ Table 8. ]  Purchasing size by monthly household income
    Purchasing size by monthly household income
  • [ Fig. 3. ]  Sizing system preference.
    Sizing system preference.
  • [ Table 9. ]  Comparison of size guide
    Comparison of size guide
  • [ Table 10. ]  Number of owned ballet dancewear by duration
    Number of owned ballet dancewear by duration
  • [ Table 11. ]  Type of ballet dancewear
    Type of ballet dancewear
  • [ Table 12. ]  Owned and preferred type of ballet dancewear
    Owned and preferred type of ballet dancewear
  • [ Table 13. ]  Color of ballet dancewear
    Color of ballet dancewear
  • [ Table 14. ]  Differences in fit by girl’s age
    Differences in fit by girl’s age
  • [ Table 15. ]  Dissatisfaction factors
    Dissatisfaction factors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