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간접흡연과 치주건강의 관련성: 2008~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분석 결과 Th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iodontal Health: Finding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 비영리 CC BY-NC
ABSTRACT
간접흡연과 치주건강의 관련성: 2008~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분석 결과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or second hand smoke or passive smoking has become a well-known risk factor for various health hazards in nonsmoking adults as well as active smokers. In Korea,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cerning about the impact of ETS on periodontal health.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passive smoking and prevalence of periodontitis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 2008 and 2009. The Fourth KNHANES data was employed from 2008∼ 2009. The final sample size was 4,669 adults aged over 18 years, who were never-smoker and had the information about ETS both at home and in the workplace, urine analysis and periodontal examination by 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 Periodontitis was defined as CPI codes ≥3.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0. The sociodemographic and behavioral factors were adjusted as confounders. Overall, 17.1% (male 16.4%, female 83.6%) of the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ETS. The mean concentration of cotinine in those exposed 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unexposed people (46.92 μg/ml versus 19.34 μg/ml, p<0.001). Participants exposed to ETS were more likely to have periodontitis than those unexposed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ETS i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This may suggest that patients with periodontitis or periodontal surgery should be protected from smokers or smoking places.

KEYWOR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 Periodontal health
  • 서 론

    흡연은 전 세계의 주요 사망원인 8가지 중 6가지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2030년에는 흡연에 의한 전체 사망자 수가 한 해 8백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1). 실제 흡연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진 폐암 사망자수는 2012년 16,654명(6.2%)이며, 2002년 대비 26.7%가 증가하였다2). 또한 불량한 구강환경 형성과 양의 상관성을 가지며3,4), 치주낭 형성에 유해한 영향을 끼친다5). 나아가 흡연자 본인뿐 아니라 직ㆍ간접적으로 타인에게 간접흡연의 행태로 유해한 영향을 주게 된다. 간접흡연이란 흡연자가 내뿜지 않는 동안의 무의식적인 흡연 노출로서, 담배 끝에서 뿜어나는 가스 및 입자 단계를 포함하여 결합되거나 희석된 연기를 마시거나 흡연자가 내쉬는 연기를 마시는 것을 말한다6). 이 같은 간접흡연은 흡연의 75% 효과를 가지며6), 성인 비흡 연자에게 있어 건강상 매우 다양한 위해요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간접흡연 노출은 암1), 당뇨7), 심장질환 및 폐암8) 등 전신질환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구강건강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실제, 니코틴 수치가 1 m3 당 1∼10 μg/ml 증가되면 간접흡연에 노출된 비흡연자의 치주질환 위험률은 20% 가량 증가한다9). 간접흡연에 노출되었다고 스스로 보고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치주질환과 간접흡연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결과를 보면, 간접흡연 노출자는 비노출자보다 치주질환에 대해 1.6배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10). 또한 간접흡연 노출자는 치주염 진행 및 임상적 부착소실(clinical attachment loss, CAL)에 취약하며10), 아동의 경우 치은 열구액의 코티닌 농도가 더 높고, CAL 역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11). 담배를 많이 피우는 남편을 둔 비흡연자 아내가 출산하는 경우 신생아의 체중이 감소할 뿐 아니라12), 비흡연자 아내는 치은염, 치주질환, 구강암 등 구강건강 전반에 걸쳐 유해한 영향을 받게 된다9,10). 이러한 결과는 간접흡연이 치주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대부분의 간접흡연은 집이나 직장에서 유발한다. 가정에서의 간접흡연은 건강상태를 인지하는 데 매우 관련이 높은 요인으로 작용하며, 흡연 정책이 취약하거나 시행되지 않는 직장 근무자의 건강에 있어서도 그 영향이 다르지 않다13). 한국의 사회정책은 대부분 비흡연자인 여성과 아동을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여성 비흡연자의 54%는 남편이 흡연자이며, 이러한 여성들은 한 번도 흡연하지 않은 배우자를 가진 여성보다 폐암에 걸릴 확률이 두 배 높다14). 2006년 연구15)에 따르면 흡연에 의한 사회적 비용은 최소 4조 8,860억, 2005년 기준으로 의료비용은 3,064억 원으로 추산된다. 현재까지 간접흡연에 의한 정확한 사회적 비용 추계가 보고된 바 없으나, 간접흡연의 수준이 같은 공간 내에 흡연자의 숫자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흡연율이 높은 나라일수록 간접흡연율이 높다16)는 사실을 감안할 때 간접흡연에 의한 사회적 비용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담배에는 니코틴, 석탄산, 카드뮴, 벤조피린, 청산화합물, 일산화탄소, 타르, 비소 등 4,000여종의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40가지 정도는 발암물질로 작용한다12). 이러한 화학물질은 흡연 시 인체의 각종 장기 및 전신질환에 악영향을 끼친다. 니코틴의 혈액 내 반감기가 30분 정도인 반면, 니코닌의 주요 대사 물질인 코티닌의 생애 반감기는 19∼30시간 가량17)으로 대부분 흡연의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된다18). 이러한 이유로 코티닌 농도는 흡연 판정기준 및 인체 유해영향 연관성을 밝히는 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코티닌은 다른 대사과정에 의해 숙주 반응을 손상시키고 치주질환 경로에 관여하는 것으로 지목된 바 있으며, 치주질환 원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를 활성화시켜 증상을 심화시킨다18). 또한, 다양한 치 은섬유아세포의 부착 및 성장을 억제하고9,17), 교합성 외상에 의한 치조골 소실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18).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간접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에 관하여 보고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노출에 따른 치주건강과 소변 내 코티닌 농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치주건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조사는 2005년 인구주택 총 조사의 조사구를 기본으로 지역 및 주택유형 등을 고려하여 29개 층을 구성하였고, 비례배분법을 적용하여 200개의 동ㆍ읍ㆍ면을 1차적으로 추출하였다. 2차적으로 선정된 동ㆍ읍ㆍ면에서 주택유형별 특성을 반영하여 하나씩의 조사구를 추출하였으며, 조사구 내에서 3차 추출단위인 가구를 20∼23개씩 계통추출하였다. 이 중 2008년과 2009년에는 4,600가구를 각각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체 대상자는 각각 12,528명과 12,722명이었고, 실제 1개 이상의 검사에 참여한 인원은 2008년 9,744명과 2009년 10,533명이었다. 대상자 표집방법은 2009년 국민건강통계자료의 내용을 인용하였다19).

    본 연구에서는 2008년과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중 일생동안 흡연경험이 없고, 지역사회치주지수(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와 간접흡연, 뇨중 코티닌 농도에 대한 정보가 모두 갖춰진 4,669명을 최종분석대상자로 하였다. 현재 흡연자이거나 과거흡연 경험이 있는 자, 치주조직상태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자는 연구에서 제외되었다19-21). 본 조사는 질병관리본부 연구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다(2007-02-CON-04-P, 2008-04EXP-01-C, 2009-01CON-03-2C, 2010-02CON-21-C).

       2. 간접흡연 노출여부 판정기준

    건강설문조사는 검진당일 이동검진센터에 방문하여 면접방법 및 자기기입식 설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흡연 및 간접흡연 상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의 평생흡연여부(현재흡연자, 과거흡연자, 비흡연자)와 직장 및 가정에서의 실내 간접흡연 노출여부(0시간, 1시간 미만, 1시간 이상)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간접흡연 노출자는 평생 흡연경험이 없는 비흡연자 중 직장 또는 가정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로 제한하였다19).

       3. 임상적 치주상태 정의

    CPI는 지역사회 또는 특정집단의 치주치료 필요도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를 위한 구강검사는 질병관리본부 소속 공중보건치과의 2인과 해당 도에서 지원한 공중보건치과의 12인, 총 14인이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검진기준에 근거하여 조사하였다. 대상자를 구강검사의자에 앉도록 한 후 책상용 스탠드와 검진용 펜라이트로 조명을 설정하고 치과의사가 치경과 탐침, 치주탐침 calibrated examination (A.A and S.A)을 이용하여 치주낭 깊이(probing pocket depth, PPD)를 판정하고 기록하였다19). 치아검사는 제3대구치를 포함하여 3분악 단위로 시행하였다. 해당 3분악은 발거대상치아를 제외한 자연치 2개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이며, 자연치가 1개일 경우 인접 3분악에 포함시켜 조사하였다. 검사의 편의를 위하여 2개 대구치와 2개 전치(상악우측중절치와 하악좌측중절치)를 검사대상으로 하였다. 대구치부 2개 중 하나의 치아가 결손된 경우 해당 3분악의 모든 치아를 조사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19). PPD 측정값에 근거한 치주상태 판단은 CPI code 0: 건강 치주낭, 1: 출혈 치주낭, 2: 치석 치주낭, 3: 천치주낭(PPD 4∼5 mm), 4: 심치주낭(PPD 6 mm 이상)으로 하였다. 구강검사 조사자간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이론교육, 사진교육, 모형교육을 포함하는 다단계 교육을 실시하였다. 조사자 내 일치도평균은 0.93, 조사자 간 일치도 평균은 0.88이었다. 모의검진은 초 2회였으며, 표준검사자와 조사자의 판정 일치 도는 평균 0.71이었다20).

       4. 소변검사

    소변 시료는 각 대상자로부터 trace element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container에 최소 5 ml 이상 최대 20 ml 가 수거되었다. 코티닌 수준은 Gas Chromatography- 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Clarus 600T; PerkinElmer,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대조군은 urine metals control (Clinchek and G-EQUAS; Recipe Chemicals, Munich, Germany)이 사용되었다22). 코티닌 농도는 μg/ml로 표기하였다.

       5. 통계분석

    자료의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IBM Co., Armo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과 간접흡연 노출여부에 대해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은 연령(19∼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교육(고졸 이하, 대학교 졸업 이상), 소득(100만원 미만, 100∼199만원, 200∼299만원, 300만원 이상), 하루 칫솔질 횟수(1회 이하, 2회, 3회 이상), 최근 1년간 치과방문여부(없음, 있음), 간접흡연 노출여부(비노출, 노출)에 따라 각각 분류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치주건강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간접흡연을 포함한 여러 설명변수를 혼란변수로하여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여성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치주건강상태도 남성과 여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간접흡연의 노출 비율도 남녀가 달라 이러한 차이를 확인해 보고자 성별을 나누어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치주건강 상태를 CPI 0(건강한 군), CPI 1, 2 (출혈치주조직 및 치석형성조직), CPI 3, 4 (치주낭 형성조직)의 3그룹으로 분류하였고, 0과 1, 2, 0과 3, 4인 군으로 각각 이분화하여 종속변수에 이용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성 판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p<0.05였다.

    결 과

       1.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간접흡연 차이

    전체 대상자의 17.1%는 가정 및 직장 내에서 흡연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흡연 노출자는 성별에 따라 남성 764명, 여성 3,905명으로 분석되어 여성이 월등히 많았다. 연령별 분포에서 남성은 고른 분포를 보였으나, 여성의 경우 19∼29세 470명, 30∼39세 744명, 40∼49세 833명, 50∼59세 807명, 60세 이상 1,051명으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되는 추이를 보였다(p<0.001).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남성의 경우 고졸 이하 472명, 대졸 이상 291명이었으며, 여성의 경우 고졸 이하 3,023명, 대졸 이상 880명으로 나타나, 저학력 군이 고학력군보다 간접흡연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300만원 이상 군에서 남성 340명, 여성 1,471명으로 다른 군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았으며, 남녀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2). 하루 평균 칫솔질 횟수에 따른 차이는 남녀 모두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간접흡연 노출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5). 최근 1년간 치과 방문 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간접흡연 노출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label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은염(CPI 1, 2) 유발위험률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여성의 경우 19∼29세 연령군에 비해 다른 연령군(30∼39, odds ratio [OR]=1.300; 40∼49, OR= 1.717; 50∼59, OR=2.331; 60세 이상, OR=2.102)의 치은염 유발위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최근 일년 간 치과방문 횟수에 따른 차이는 남(OR=0.367), 여 (OR=0.652) 모두 1회 미만 방문한 군이 1회 이상 방문한 군 보다 치은염 유발위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그 외에 교육수준, 월소득, 하루 칫솔질 횟수, 간접흡연 노출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nd Gingival Bleeding (CPI 1) and Dental Calculus Status (CPI 2)

    label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nd Gingival Bleeding (CPI 1) and Dental Calculus Status (CPI 2)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주염(CPI 3, 4) 유발위험률

    연령에 따른 차이는 남녀 두 군 모두 전체 연령군(남성: 30∼39세, OR=2.625; 40∼49세, OR=13.443; 50∼59세, OR=41.173; 60세 이상, OR=34.564/여성: 30∼39세, OR=3.863; 40∼49세, OR=8.368; 50∼59세, OR=19.600; 60세 이상 OR=21.680)에서 19∼29세 연령군보다 치주염 유발위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여성의 경우 대졸 이상인 군(OR=0.635)이 고졸 이하 군에 비해 치주염 유발위험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4). 간접흡연 노출여부에 따른 차이는 여성의 경우 노출군(OR=1.071)이 비노출군에 비해 치주염 유발위험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Table 3).

    [Table 3.]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nd Periodontitis (CPI 3 and CPI 4)

    label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nd Periodontitis (CPI 3 and CPI 4)

       4. 치주상태에 따른 코티닌 농도의 차이

    간접흡연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평균 코티닌 농도는 각각 46.92 μg/ml, 19.34 μg/ml로 조사되었다. 남성의 경우 간접흡연 노출여부에 따른 코티닌 농도는 다음과 같았다. CPI 0군은 노출 14.23 μg/ml, 비노출 15.04 μg/ml , CPI 1군은 노출 14.35 μg/ml, 비노출 9.18 μg/ml, CPI 2군은 노출 23.81 μg/ml, 비노출 23.14 μg/ml, CPI 3군은 노출 13.35 μg/ml, 비노출 18.93 μg/ml, CPI 4군은 노출 12.50 μg/ml, 비노출 4.86 μg/ml로 분석되었으며, 전체 코티닌 농도는 노출군 15.65 μg/ml와 비노출군 14.23 μg/ml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여성의 경우, CPI 0군은 노출 66.2 μg/ml, 비노출 22.75 μg/ml, CPI 1군은 노출 48.97 μg/ml, 비노출 19.49 μg/ml, CPI 2군은 노출 61.68 μg/ml, 비노출 19.76 μg/ml, CPI 3군은 노출 28.73 μg/ml, 비노출 15.41 μg/ml, CPI 4군은 노출 77.70 μg/ml, 비노출 26.62 μg/ml로 분석되었으며, 전체 코티닌 농도는 노출군 54.01 μg/ml와 비노출군 19.49 μg/ml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Fig. 1).

    고 찰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흡연율은 2012년 기준 24.0%로 OECD 평균 흡연율 21.4%와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 44.9%로 OECD 평균인 26%의 두 배에 달하며,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2). 최근 한국의 흡연율이 꾸준한 감소추세임에도 불구하고, 흡연에 의한 폐암 사망률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2). 이에 본 연구는 2008∼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한 한국인의 간접흡연과 치주건강과의 관련 위험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간접흡연이 성인에 있어 치주질환 유발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치주염 유발위험률은 남녀 모두 30대 이후에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의 경우 흡연율이 남성보다 현저히 낮음2)에도 불구하고, 치주염 유발위험률이 높게 나타난 것은 배우자 흡연으로 인한 간접흡연 노출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라 추측할 수 있겠다. 또한,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노출자가 증가되는 현상은 고 연령층에서 간접흡연에 대한 인지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의 경우 30대 이후 치주염 유발위험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직무 스트레스 등 사회활동에서 초래되는 요인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생각된다.

    간접흡연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평균 코티닌 농도는 각각 46.92 μg/ml, 19.34 μg/ml로 조사되었다. 이는 간접흡연이 흡연의 75%에 달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3)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흡연 판정에 있어 니코틴 농도기준 은 혈청 또는 타액의 경우 12 μg/ml, 소변의 경우 50 μg/ml이며, 대개 담배 한 개피에 포함된 니코틴 농도는 1.10∼ 3.40 ng/cigarette이다23). 흡인된 니코틴의 70∼80% 가량이 코티닌으로 전환되고, 코티닌의 10∼15%가 소변으로 배출24)되는 것을 감안할 때, 체내 잔류하는 코티닌의 농도는 Liu와 Hwang25)이 보고한 평균 니코닌 농도인 1∼7 μg/ml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치주상태에 따른 코티닌 농도의 차이에 있어서 남성은 노출군과 비노출군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성은 노출군 54.01 μg/ml, 비노출군 19.49 μg/ml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간접흡연 노출자가 여성과 아동이라는 사실13,14)을 감안할 때, 간접흡연의 위험률은 여성과 아동에게 더욱 크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정 내 흡연자가 있는 경우 간접흡연에 의한 니코틴 농도는 17∼500 ng/m3인데13), 실제 본 연구의 간접흡연에 의한 전체 평균 코티닌 농도는 33.13 μg/ml였다. 기존 연구26)에서 직접흡연에 의한 타액 내 코티닌 농도가 3∼ 6.5 μg/ml라는 결과와 비교했을 때, 본 연구와의 검출시료의 상이함을 감안하더라도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하겠다. 이는 간접흡연이 직접흡연에 비해 결코 덜 유해하지 않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치주질환 및 구강암 등의 구강질환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다는 점을 뒷받침한다고 하겠다.

    치주상태에 대한 평가는 주로 PPD와 CAL로 이루어진다.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PPD 또는 CAL이 3.5 mm 이상인 경우를 치주질환 상태로 분류하고 있다27,28). 이 연구에서는 CPI를 이용하여 치주상태를 분류하였고, CPI 3 또는 4인 경우를 치주질환 상태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접흡연자를 제외한 간접흡연자만을 분석에 이용하였기 때문에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치주상태를 치은염과 치주질환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을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은염(CPI 1, CPI 2) 유발위험률의 차이는 여성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0∼59세(OR=2.331), 60세 이상(OR=2.102)군에서 특이적으로 높았다. 남성의 경우 연령 증가에 따른 치은염 유발위험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28).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은염이 심화되어 치주염 유발위험률이 높아지는 특성과 관계가 있다고 추측해 볼 수 있겠다. Kang 등29)은 50대 이상(5.4 ng/ml) 집단에 비해 30∼40대에서 소변 내 코티닌 농도가 2배(10.4 ng/ml, 16.8 ng/ ml) 가량 높게 검출되었으며, 이 연령대의 사람들이 치주질환에 더 취약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Lee와 Ha30)는 비흡연자 중 간접흡연 노출 위험률은 직장보다 가정에서 더 높아, 20대는 2.13배, 30ㆍ40대는 각각 1.78배, 1.70배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여성의 경우 연령증가에 따라 간접흡연 노출 위험률이 증가한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교육수준 및 가구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Lee와 Ha30)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수입이 낮을수록 간접흡연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상이하였다. 칫솔질 횟수에 따른 차이는 남성의 경우 1회 이하 군에 비해 2회군(OR=1.259)과 3회 이상군(OR=1.463)의 치은염 유발위험률이 높았으나 집단 간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555). 그러나 치은염 유발위험률이 다소 높게 조사된 것은 남성의 경우 세정능력의 정교함 부족에서 초래된 것이라 생각된다. 반면, 여성은 칫솔질 횟수 증가에 따라 치은염 유발 위험률이 다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39). 치과방문 횟수에 따른 치은염 유발위험률의 차이는 남ㆍ여 모두 1회 미만 방문한 군과 1회 이상 방문한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이는 구강위생관리 영향요인에 따른 결과라 추측된다. 간접흡연 노출여부에 따른 치은염 유발위험률의 차이는 남ㆍ여 모두 노출군과 비노출군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은염 유발에 있어 흡연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겠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주염(CPI 3, CPI 4) 유발위험률의 차이는 남ㆍ여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치주염 유발위험률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특히, 남성은 40∼49세(OR=13.443), 50∼59세(OR=41.173), 60세 이상(OR=34.564)에서 매우 높았으며, 여성은 50∼59세(OR=19.600), 60세 이상(OR=21.680)에서 높았다. 이는 치주염 유발 및 심화과정에 있어 흡연의 영향력이 크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성별 간 치주염 유발률은 남성이 월등히 높았다. 이는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중 남성에서 간접흡연 노출비율이 높게 나타났고(52.4%),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우 직장 내에서 흡연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해 봤을 때 간접흡연 노출이 치주염 유발 및 심화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겠다. 50세 이상에서의 치주염 유발위험률 증가는 앞서 나타난 치은염 유발위험률을 바탕으로 볼 때 예상 가능한 결과라 할 것이며, 치은염을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치주염 유발위험률의 증가는 필연적인 결과라 하겠다.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여성의 경우 대졸 이상 군이 고졸 이하군보다 치주염 유발 위험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4). 이는 일반적으로 교육수준이 구강위생관리능력 및 구강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선행연구30)에서도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간접흡연 노출 정도가 낮게 조사되어(p<0.001) 본 연구와 일치하였다. 치과방문 횟수에 따른 차이는 여성의 경우 1회 미만 군이 1회 이상군보다 치주염 유발위험률이 높았으며(p=0.009), 구강위생관리 영향요인 중 정기적인 구강검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 생각된다. 간접흡연 노출여부에 따른 차이는 여성의 경우 노출군이 비노출군에 비해 치주염 유발위험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의 금연 정책은 공공시설을 위주로 시행되고 있으며, 가정 내에서는 그 시행여부가 불투명하고 강제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여성 대부분이 가정 내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된다고 응답한 것에 근거할 때, 위 같은 결과는 타당 성을 가지는 것이라 고려된다.

    치주상태에 따른 코티닌 농도의 차이는 남성의 경우 CPI 1과 CPI 4인 경우에만 노출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CPI 1군은 노출군 14.32 μg/ml, 비노출군 9.18 μg/ml였으며, CPI 4군은 노출군 12.52 μg/ml, 비노출군 4.86 μg/ml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경우 모든 CPI군에서 노출여부에 의한 큰 차이를 보였다. CPI 1군은 노출군 48.97 μg/ml, 비노출군 19.49 μg/ml, CPI 2군은 노출군 61.68 μg/ml, 비노출군 19.76 μg/ml, CPI 3군은 노출군 28.73 μg/ml, 비노출군 15.41 μg/ml, CPI 4군은 노출군 77.70 μg/ml, 비노출군 26.62 μg/ml로 나타났다. 2010년 하반기 성인 흡연실태조사에서 남성은 40.9%, 여성은 4.1%로31) 남성 흡연율이 10배 가량 많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코티닌 농도가 훨씬 높다는 것은 예상외의 결과임에 분명하다. 이는 대부분의 여성이 간접흡연을 통해 담배 유해물질에 여과 없이 노출되고 있으며, 그 빈도 또한 높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물론, 최근 우리나라는 간접흡연 유해성 인식의 확대 및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정책 시행을 통한 비흡연자 보호에 노력하고 있으나, 간접흡연을 경험하는 여성 중 과반수이상이 배우자를 통해 노출14)되고 있으며, 실질적인 여성 간접흡연자를 보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예상된다. Lee와 Ha30) 역시 여성 비흡연자는 직장에서보다 가정에서의 간접흡연 노출정도가 빈번하며, 코티닌 농도 또한 월등히 높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이 외에 다수의 연구31-33)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흡연이 고위험 요인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연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한 치주질환 유발률 및 그에 따른 구강관리 비용이 증가하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간접흡연 노출은 직장, 음식점 혹은 길거리보다 가정에서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효과적인 치주치료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해서는 흡연뿐 아니라 간접흡연의 위해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알리고, 가정 내 금연교육정책 수립 및 실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코티닌 농도는 소변 시료를 통하여 검출하였으며, 비교적 정확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10). 그러나 몇 가지 제한점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첫째, 간접흡연 원인 제공자의 흡연량이나 간접흡연 노출시간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는 담배 한 개피 당 유해성분의 양 및 그에 따른 위해 작용을 고려하였을 때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는 요인이라 생각된다. 둘째, 직장 및 가정의 간접흡연 노출자를 포함하였으나, 다른 장소나 불특정 흡연자로부터의 간접흡연 노출여부 정도는 포함되지 않았다. 셋째, 소변 시료의 채취 시간 및 채취 전 일정 시간 동안 흡연을 제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종합하여 볼 때, 간접흡연은 우리나라 성인의 치주질환 유병률에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사실은 치주질환 또는 치주수술 환자는 흡연 장소나 흡연자로부터 전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향후 치주치료 환자에게 간접흡연 노출을 제한하였을 경우, 구강건강상태 개선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 1. Mathers CD, Loncar D 2006 Projection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from 2002 to 2030 [PLos Med] Vol.3 P.e442-442 google
  • 2. 2012 Causes of mortality google
  • 3. Yang JY, Park KS 2001 The effects of smoking on oral environment [J Korean Soc Dent Hyg] Vol.1 P.60-66 google
  • 4. Park LS, Lee SH, Youn HJ 2008 A comparative study on oral environm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J Korean Soc Dent Hyg] Vol.8 P.139-146 google
  • 5. Jang BJ, Nam LS 2010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drinking and periodontal pocket formation of patient was visited at College Scaling Center [J Korean Soc Dent Hyg] Vol.10 P.117-122 google
  • 6. Nelson E 2001 The miseries of passive smoking [Hum Exp Toxicol] Vol.20 P.61-83 google
  • 7. Hayashino Y, Fukuhara S, Okamura T 2008 A prospective study of passive smoking and risk is diabetes in a cohort of workers: the High-Risk and Population Strategy for Occupational Health Promotion (HIPOP-OHP) study [Diabetes Care] Vol.31 P.732-734 google
  • 8. Ruiling L, David LB, Lara AG, Martha JH, Michael GA, Hammond SK 2013 Assessment of risk for asthma initiation and cancer and heart disease deaths among patrons and servers due to secondhand smoke exposure in restaurants and bars [J tobacco control] Vol.0 P.1-7 google
  • 9. Lahmouzi J, Simain-Sato F, Defresne MP 2000 Effect of nicotine on rat gingival fibroblast in vitro [Connect Tissue Res] Vol.41 P.69-80 google
  • 10. Arbes Jr SJ, Agustsdottir H, Slade GD 2001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iodontal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Am J Public Health] Vol.91 P.253-257 google
  • 11. Erdemir EO, Sonmez IS, Oba AA, Bergstrom J, Caglayan O 2010 Periodontal health in children exposed to passive smoking [J Clin Periodontol] Vol.37 P.160-164 google
  • 12. Rylander E, Pershagen G, Ericsson M, Bermman G 1995 Parental smoking, urinary cotinine, and wheezing bronchitis in children [Epidemiology] Vol.6 P.289-293 google
  • 13. Shelley D, Yerneni R, Hung D, Das D, Fahs M 2007 The relative effect of household and workplace smoking restriction on health status among Chinese Americans living in New York City [J Urban Health] Vol.84 P.360-371 google
  • 14. Jee SH, Ohrr H, Kim IS 1999 Effect of husbands’ smoking on the incidence of lung cancer in Korean women [Int J Epidemiol] Vol.28 P.824-828 google
  • 15. Kim SJ, Kwon SM 2008 Social cost analysis of smoking from 2006 data [J Policy Anal Eval] Vol.18 P.119-140 google
  • 16. Benowitz NL 1986 Phamacology of nicotine: addition and therapeutics [Ann Rev Phamacol Toxicol] Vol.36 P.597-600 google
  • 17. Scott DA, Palmer RM, Stapleton JA 2001 Validation of smoking status in clinical research into inflammatory periodontal disease [J Clin Periodontol] Vol.28 P.715-722 google
  • 18. Benowitz NL 1996 Cotinine as a biomarker of enviro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Epidemiol Rev] Vol.18 P.188-204 google
  • 19. Nogueira-Filho GR, Froes Neto EB, Casati MZ 2004 Nicotine effects on alveolar bone changes induced by occlusal trauma: a histometric study in rats [J Periodontol] Vol.75 P.348-352 google
  • 20.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raw data guideline the 4th 1st, 2009 google
  • 21.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reports 4th 1st, 2009 google
  • 22.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4th 1st, 2009 google
  • 23. Connolly GN, Alpert HR, Wayne GF, Koh H 2007 Trends in nicotine yield in smoke and its relationship with design characteristics among popular US cigarette brands, 1997-2005 [Tob Control] Vol.16 P.e5-5 google
  • 24. Benowiz NL, Jacob P 3rd, Fong I, Gupta S 1994 Nicotine metabolic profile in man: comparision of cigarette smoking and transdermal nicotine [J Pharmacol Exp Ther] Vol.268 P.296-301 google
  • 25. Liu KH, Hwang SJ 2012 The change of nicotine and cotinine concentrations in the saliva of participants in the quitsmoking clinic in Daejeon [J Korean Acad of Oral Health] Vol.36 P.228-237 google
  • 26. Nakata A, Takahashi M, Haratani T 2008 Association of active and passive smoking with sleep disturbances and short sleep duration among Japanese working population [Int J Behav Med] Vol.15 P.81-91 google
  • 27. Yamamoto Y, Nishida N, Tanaka M 2005 Association between passive and acctive smoking evaluated bysalivary cotinine and 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al] Vol.32 P.1041-1046 google
  • 28. Nishida N, Yamamoto Y, Tanaka M 2006 Association between passive smoking and salivary markers related to periodontitis [J Clin Peridontol] Vol.33 P.717-723 google
  • 29. Kang JM, Cha KS, Kim SJ, Bin JH 2004 A study on urinary nicotine & cotinine levels of smokers, non-smokers [Rep Busan Inst Health and Environ] Vol.14 P.63-74 google
  • 30. Lee BE, Ha EH 2011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mong South Korean adults: a cross sectional study of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Enviro Health] Vol.10 P.1186-1195 google
  • 31. 2013 Smoking state survey [Internet]. Naver google
  • 32. Gu D, Wu X, Reynolds K 2004 Cigarette smoking and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in China: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sia [Am J Public Health] Vol.94 P.1972-1976 google
  • 33. Jousilahti P, Helakorpi S 2002 Prevalence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t work and at home-15 year trends in Finland [Scand J Work Environ Health] Vol.28 P.16-20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 [ Table 2. ]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nd Gingival Bleeding (CPI 1) and Dental Calculus Status (CPI 2)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nd Gingival Bleeding (CPI 1) and Dental Calculus Status (CPI 2)
  • [ Table 3. ]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nd Periodontitis (CPI 3 and CPI 4)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and Periodontitis (CPI 3 and CPI 4)
  • [ Fig. 1. ]  Cotinine concentration and Clinical Periodontal Index (CPI) levels. The mean cotinine level for each CPI level, for male and female. ETS: environmental tobacco smoke.
    Cotinine concentration and Clinical Periodontal Index (CPI) levels. The mean cotinine level for each CPI level, for male and female. ETS: environmental tobacco smok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