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관련 기존 연구 분석 Review of Studies on Taeumin Yeoldahanso-tang since 2000
ABSTRACT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관련 기존 연구 분석
Objectives

This paper was aimed to review experimantal and clinical articles on Yeoldahanso-tang(YDHS), figuring out the recent tendency and suggesting the future prospects of YDHS-related studies.

Methods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since 2000 were searched, screened, and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or clinical studies. And we structured designs, methods and results of the included studies into each table for the experimental studies or the clinical studies. Especially tools to diagnose constitutions and patterns identified in clinical researches were also summarized in the tables.

Results

28 articles are finally included. 14 experimental studies are mostly in vitro designs to show efficacy of YDHS. There are only 2 studies for the safety. Among 14 clinical studies, 12 case studies target disorders of central nervous system, viral infection, skin ulcer and so on. 2 studies are before and after studies on cerebral infarction and effects on liver fun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efficacy of YDHS on central nervous system, it acquires higher level of evidence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the future. In addition other diseases such as skin ulcer and so on, it needs to be done more specific experimental or clinical studies so that we can ge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KEYWORD
Yeoldahanso-tang , Taeumin ,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Herbal Medicine , Review
  • I. 緖 論

    熱多寒少湯은 『東醫壽世保元 辛丑本』에 나오는 處方으로 葛根 4돈, 黃芩, 藁本 각 2錢, 蘿葍子, 桔梗, 升麻, 白芷 각 1錢으로 구성되어 있다. 熱多寒少湯은 太陰人 裏病證 중 燥熱證에 대한 주 處方으로1 燥熱證은 『內經』 燥病機에서의 ‘澁枯涸皺揭’의 形證과 手指焦黑, 癍瘡, 手足無力, 引飮, 小便多, 大便秘, 虛勞夢泄 및 危亦林의 陰 血耗竭證인 耳聾, 目暗, 脚弱, 腰痛 등이 주 증상이 된다2. 熱多寒少湯은 肝熱과 肺燥의 病理가 함께 있을 때 사용하며 裏部의 肝熱을 除하고 潤肺燥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處方이다1.

    기존에 熱多寒少湯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실험연구, 임상연구 및 문헌연구가 있지만 기존 연구에 대한 전반적 분석 논문은 없는 실정이다. 문헌 연구중에서 熱多寒少湯의 세포활성 물질에 대한 영향을 고찰한 것이 있으나47, 특정 효능에 대한 분석이므로 기존 연구에 대한 분석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에 熱多寒少湯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熱多寒少湯의 효능 및 안정성에 대해 확인하고,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바이다.

    Ⅱ. 硏究方法

       1. 검색방법

    한글 또는 영문으로 출판된 논문 중에서 검색하였다. 한글로 출판된 논문의 경우, 한국 연구 재단에서 승인된 등재학술지 및 등재 후보 학술지 19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Table 1). 각 학회지의 웹사이트에서 ‘熱多寒少湯’을 검색어로 하여 제목, 초록, 주제어의 범위에서 검색하였다. 영문으로 출판된 논문의 경우 Pubmed에서 ‘Yuldahansotang or Yeoldahansotang’ 을 제목, 초록, 주제어의 범위에서 검색하였다. 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Table 1.] List of Selected Journals in the Review

    label

    List of Selected Journals in the Review

       2. 포함기준/제외기준

    검색된 논문의 전문을 읽고 선별작업을 시행하였다. 포함기준은 1) 熱多寒少湯을 중재로 사용한 경우 2) 동물을 사용한 실험연구(in vivo, in vitro) 또는 사람에게서 유래된 물질을 사용한 실험연구(in vitro) 3) 임상연구 4) 熱多寒少湯 이외의 處方(太陰人 他處方, 非體質處方, 他體質 處方)과 혼용하였다 하여도 熱多寒少湯을 사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명확히 제시되어 있으며 熱多寒少湯이 결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친 경우이다.

    제외기준은 1) 논문 전문이 없는 경우 2) 四象體質病證으로 診斷하지 않고 熱多寒少湯을 사용한 경우 3) 加味하여 사용한 약이 太陰人 약이 아닌 경우 4) 熱多寒少湯을 사용한 후에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 5) 熱多寒少湯 이외의 處方(太陰人 他處方, 非體質處方, 他體質 處方)과 혼용하였으며 熱多寒少湯이 결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경우 6) 熱多寒少湯 加減方을 사용하였으며 加減한 약재에 주된 효능이 있는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7) 문헌연구인 경우이다.

       3. 분류

    최종적으로 선택된 논문을 형식에 따라 분류하였다. 우선 실험연구와 임상연구로 분류하였으며 실험연구는 in vivo, in vitro의 두 종류로 분류하였다. 임상연구는 증례 및 환자군 연구, 전후 연구, 무작위배정비교임상시험, 비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 코호트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단면연구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분류기준은 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개발한 임상연구문헌 분류도구인 DAMI 2.0을 기준으로 하였다.

       4. 구조화

    실험연구는 연구의 목적, 연구 디자인(in vivo, in vitro), 대상 질환 및 효능, 대상 동물 또는 물질, 기간, 처치, 1차 평가도구, 결과에 대해 정리하였다. 임상연구는 연구 디자인, 대상 질환, 四象體質 診斷기준, 體質病證, 대상자 수, 기간, 處方, 기타 치료, 평가도구, 결과에 대해 정리하였다.

    기간에 대해, 실험연구에서 대상에 따라 熱多寒少湯을 처리한 시간이 다른 경우에는 시간을 별도로 적었으며, 임상연구에서 다른 處方과 혼용하여 사용한 경우 熱多寒少湯을 쓴 기간만 계산하여 정리하였다. 단, 熱多寒少湯의 개념의 확장으로 太陰人 裏熱病 범주에서 약을 변경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熱多寒少湯이 아닌 處方 (ex. 葛根解肌湯, 淸血降氣湯, 淸肺瀉肝湯, 加減淸肝湯)을 사용한 기간을 총합쳐서 기간으로 계산하였다. 임상연구에서 증례 별로 치료기간이 다른 경우에는 반올림하여 평균시간을 적었으며, 논문에 평균 기간이 기재되어 있는 것3은 기재된 대로 썼다.

    Ⅲ. 結果

       1. 검색결과

    검색 결과 22개의 학회지에서 52개의 논문이 검색 되었다. 52개의 논문 중에서 24개의 논문이 제외되었다. 다른 處方(太陰人 他處方, 非體質處方, 他體質 處方)과 혼용하였으며 熱多寒少湯이 결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경우4-14가 11개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加味하여 사용한 약이 太陰人약이 아닌 경우15-18가 4개로 많았으며, 熱多寒少湯을 사용한 후에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19-21가 3개, 四象體質 病證으로 診斷하지 않고 약을 사용한 경우가 2개였다. 이 경우 八體質22 또는 氣虛23로 診斷 하였다. 그 밖에 논문 전문이 없는 경우24가 1개, 熱多寒少湯 加減方을 사용하였으며 加減한 약재에 주된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25가 1개, 문헌연구인 경우26,47가 2개였다.

    결과적으로 포함된 논문은 총 28개이다. 최27의 연구는 임상 연구와 인체 유래물을 대상으로 한 in vitro 실험연구가 한 논문에 동시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제목을 고려하여 임상연구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배28의 연구는 in vitro, in vivo 연구가 한 논문에 동시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분류상 실험연구 중 in vitro연구로 포함 하였다. 결과 실험연구 14개, 임상연구 14개가 포함되었다. 실험연구 중에서 in vitro 연구 12개, in vivo 연구 2개가 포함되었으며, 임상연구 중에서 증례연구 12개, 전후 연구 2개가 포함되었다(Figure 1).

       2. 熱多寒少湯 관련 실험연구 분석

    14개의 실험연구 중에서 2개의 연구29,30는 熱多寒少湯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였고 나머지는 효능에 대한 연구였다. 대부분의 논문은 디자인상 in vitro 연구 였으며 2개의 연구만 in vivo 연구였다29,31 (Table 2).

    [Table 2.] Structured Basic Information of Experiment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label

    Structured Basic Information of Experiment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효능에 대한 연구에서 다수의 연구는 독성을 유발한 세포에 대한 熱多寒少湯의 세포활성물질 조절 효과에 대한 연구였다. 결과 熱多寒少湯은 항산화효능, 알츠하이머병의 병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가 유발하는 뇌신경 독성에 대한 보호 효능, UPS(ubiquitin-proteasome system)의 기능 부전을 유발한 신경에 대한 보호 효능, 저산소증에 의해 유발된 신경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능, 항염증 효능, 항 동맥경화 효능, 항 비만 효능이 있었다.

    세포활성 물질 조절 작용과 관련하여 熱多寒少湯이 독성물질이 유발된 뇌신경세포에 대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것을 알고, 궁극적으로는 뇌신경계 질환의 치료 효능을 밝히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다32-37. 이외에 in vivo 연구에서 Allergy성 접촉피부염에 대해 면역과민반응 억제효능과 항 염증 효능, 파킨슨에 대한 신경 보호 효능이 있음을 밝혔다.

    안정성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熱多寒少湯이 약물의 대사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CYP450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결과 CYP2D6 및 CYP2E1에 의해 대사되는 양약과 熱多寒少湯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30. 또 다른 연구에서 熱多寒少湯을 쥐에게 경구 투여한 결과 어떠한 독성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29. 평가 방법과 결과는 표에 요약되어 있다(Table 3).

    [Table 3.] Summaries of Main Outcomes in Experiment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label

    Summaries of Main Outcomes in Experiment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3. 熱多寒少湯 관련 임상연구 분석

    1) 증례보고

    12개의 증례연구가 포함되었다. 體質診斷 방법으로 QSCCII, 體形氣像, 容貌詞氣, 性質才幹, 素證, 病證藥理, 전문가의 診斷 등의 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病證 診斷으로는 太陰人 燥熱證으로 診斷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太陰人癍瘡病으로 診斷한 경우도 있었다38,39,40. 증례연구에서는 1-2명을 대상으로, 짧게는 10일에서 길게는 397일까지 치료하였다. 대상 질환으로는 뇌경색, 부신백질이영양증, 뇌경색 후 무도병, 파킨슨병과 같은 중추신경계 뇌질환과, Ramsay Hunt Syndrome, 대상포진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질환, 망상 청피반, 당뇨병성 족부병변 같은 피부궤양 질환, 기타 안면마비, 만성기침, 역류성 식도염이 있었다. 기타 치료로 양약병행, 침치료, 뜸치료, 약침, 이침, 부항, 물리치료를 시행한 경우도 있었다 (Table 4).

    [Table 4.] Structured Method of Clinic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label

    Structured Method of Clinic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결과는 대부분 증상의 호전으로 표현하였으며, 평가 도구로 VAS1,41-45, DITI38,44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질환 특이적으로 EGG43, 안면마비 평가 점수41,46를 사용한 경우가 있었다. 대부분의 경우 증세가 호전되었다. 평가 방법과 결과는 표에 요약되어 있다(Table 5).

    2) 전후연구

    2개의 전후 연구가 포함되었다. 이 중 최27의 연구내에는 전후 연구와 in vitro 연구가 동시에 있었으나 형식별 분류 기준에서 언급하였듯이 제목에 비중을 두어 전후 연구로 분류하였다. 전후 연구에서 대상질환은 각각 뇌 경색과 熱多寒少湯의 간 기능에 대한 영향이었다. 세포활성물질, 간 기능검사로 결과를 평가하였으며, 결과 熱多寒少湯은 급성기 뇌경색증 환자의 세포활성물질의 불균형을 조절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 熱多寒少湯 복용 후 대부분의 경우 간 기능 검사 수치가 정상범위 또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평가 방법과 결과는 표에 요약되어 있다 (Table 5).

    [Table 5.] Summaries of Main Outcomes in Clinic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label

    Summaries of Main Outcomes in Clinic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Ⅳ. 考 察

    熱多寒少湯은 肝熱熱證溫病, 燥熱病, 手指焦黑癍瘡病, 虛勞夢泄 등을 主治로 한다1. 연구 경향을 보면 실험연구 중에는 in vitro 연구가 대부분이며, 주로 독성을 유발한 세포에 대해 熱多寒少湯이 세포활성물질을 조절하는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熱多寒少湯의 뇌신경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 임상연구에서도 뇌신경질환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있었으며, 문헌에 근거하여 癍瘡病으로 診斷하여 피부궤양에 적용한 경우도 있었다. 한편 熱多寒少湯의 안정성과 관련한 실험연구에서 熱多寒少湯이 CYP2D6 및 CYP2E1에 의해 대사되는 양약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결과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양약과 동시에 熱多寒少湯을 處方 시 주의해야 한다고 하였다. 쥐에게 熱多寒少湯을 경구 투여한 경우 어떠한 독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임상연구에서 안정성과 관련하여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간 기능 검사 수치는 정상 또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정리해보면, 현재까지 熱多寒少湯과 관련하여 in vivo 연구가 적은 편이며 기존의 안정성 및 효능에 대한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은 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과 같은 좀 더 근거 수준이 높은 연구가 진행된 적이 없다. 따라서 현재까지 실험 및 임상연구로 밝혀진 熱多寒少湯의 뇌신경질환에 대한 효과를 근거로 향후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시험과 같은 근거수준이 높은 연구가 진행되고, 기타 피부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 및 안정성에 대한 실험연구 및 임상연구가 더욱 진행된다면 熱多寒少湯의 효능 및 안정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1. Lee JW, Jang HS, Kim YH, Lee JH, Lee EJ, Koh BH. 2009 A Case Study of 1 Taeeumin Patient Experiencing Hand Tremor, Heat Flash, and Dysarthria Treated Successfully with Yeo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Vol.21 P.254-262 google
  • 2. Lee JH, Lee EJ, Koh BH. 2012 The Study on the Energy and Fluid Metabolism and the Pathology and Symptomatology of Taeeumin based on The Discourse on Viscera and Bowels of Donguisusebowon [J Sasang Constitut Med.] Vol.24 P.1-16 google cross ref
  • 3. Kim TH, Hong SY, Han DN, Lim EC. 2007 The Effects of Constant Use of Yeoldahanso-tang on Liver Function [J Sasang Constitut Med.] Vol.19 P.217-226 google
  • 4. Kim TY, Lee BJ, Jeon JH, Lew JH. 2000 A Cas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21 P.661-665 google
  • 5. Roh GH, Choi DJ, CHo KH, Kim YS. 2000 The Clinical Report about Two Stroke Patients who Developed Hiccups after Purgation Therapy [Journal of Korean Medicine] Vol.21 P.109-113 google
  • 6. Kim CH, Kim HG. 2001 The Clinical case study of facial palsy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Vol.14 P.262-270 google
  • 7. Kim HS, Lee SW, Park HS, Kim KY. 2001 A Case Study about Treatment of Taeumin Patient diagnosed as Lateral medullary syndrome(wallenberg syndrome) [J Sasang Constitut Med.] Vol.13 P.182-189 google
  • 8. Ko JC, Park JY, Jun CY, Han YH. 2001 A Case of paralytic ileus and Urinary Tract Infection with cerebral infarction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22 P.471-476 google
  • 9. Lee JH, Kim SB, Park GS, Jeong YJ, Lee SK, Lee EJ 2001 A Case Report on 'fever of unknown origin, abdominal distension and diarrhea' of Taeumin [J Sasang Constitut Med] Vol.13 P.121-125 google
  • 10. Shin JA, Son DH, Yu KS, Lee JG, Lee YG. 2001 2 Cases of Lower Limb Monoplegia due to Brain Cortical Infarction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22 P.263-269 google
  • 11. Yun BH, Lim CW, Kim KH, Park YJ, Park JH. 2001 The Clinical Study on a Abnormal Liver Function Patients Caused by Obesity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22 P.547-555 google
  • 12. CHoi WJ, Kim DW, Shin SH, Lee UJ, Choi JY, Shin HS. 2003 Effects of the Renal Function of Complex Herbal Medication in 20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Vol.17 P.580-584 google
  • 13. Ock MK, Lim WK, Yoon HS, Sun YJ, Moon JH, Kim CH. 2004 Four Cases of Stroke Patients with Defective Vision Treated with Venesection on Palpebral Conjunctiva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Vol.17 P.107-113 google
  • 14. Oh KM, Yang DH, Kim BK. 2007 A Clinical report of cerebral infarction patient with schizophrenia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18 P.209-224 google
  • 15. Jung HS, Lee JY 2001 A Study on the alter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apeutic effect of Gami Yeoldahansotang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ol.15 P.177-188 google
  • 16. Cho GI, Han MA, Lee JY, Choi JY, Kim DW, Jung DY. 2002 Case Reports about Brainstem Infarctio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Vol.16 P.1291-1296 google
  • 17. Kim JJ, Kim MG, Choi JR, Park SS. 2004 A Clinical Study about Treatment of a Abdominal Distention in Stroke [J Sasang Constitut Med] Vol.16 P.148-154 google
  • 18. Cho JS, Yim CH, Kim HS, Kwon SM, Kim S, Kim IH 2008 The Clinical Study on 2 Case of Patient with Tremor [J Sasang Constitut Med.] Vol.20 P.208-217 google
  • 19. Son DH, Jang IS, Yu KS, Lee JG, Yun HS, Lee YG 2000 A Clinical Study on the Patients Admitted at the Acute Stage of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21 P.203-212 google
  • 20. Koh KH, Park SY, Choi HG, So KS, Hwang WJ, Lee KM 2002 Clinical Study on treatment of HIVD of lumbar spine using Scolopendrid herbal acupuncture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19 P.192-206 google
  • 21. Kwon EM, Jung YH, Kim EH, Seo YK, Lee SK, Kim DR 2009 A Clinical Case of Liver Injury with Administration of Yeoldahanso-tang plus Rheum rhabarbarum [J Sasang Constitut Med.] Vol.23 P.209-215 google
  • 22. Cho SH, Jee SY. 2001 A Clinical Study on Allergic rhinitis [Journal of Pharmacoacupuncture] Vol.14 P.173-182 google
  • 23. Choi YS, Park SJ, Lee HK, Cho MY, Yu JY, Baek DG 2012 A Case Report of Fever of Unknown Origin Treated with Yeoldahansotang-gamibang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10 P.316-323 google
  • 24. Lee YJ, Rhim EK, Hwang SI, Baek DG, Yun JM, Hong SH 2003 A case report of facial palsy and eyeball movement disturbances with Yuldahansotang, Jungmyung and Jium acupuncture point in modified lateral inferior pontine syndrome resulting from pontine infarction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24 P.681-687 google
  • 25. Kim MG, Choi JR, Bae HS, Park SS. 2003 A Case study of multiple myositis [J Sasang Constitut Med.] Vol.15 P.117-123 google
  • 26. Kim DJ, Kim JR, Kim DR. 2003 A Bibliographical Research of the Correlation Among Sasang Constitutional Disease and the Pulse Diagnosis [Journal of Pharmacoacupuncture] Vol.6 P.23-37 google cross ref
  • 27. Choi YK, Kim KY. 2000 Studies on the Regulatory Effect of Cytokine Produc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by Yu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Vol.12 P.201-201 google
  • 28. Bae N, Ahn T, Chung S, Oh MS, Ko H, Oh H 2011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modified Yeoldahansotang via autophagy enhancement in models of Parkinson's disease [J Ethnopharmacol] Vol.134 P.313-322 google
  • 29. Ma JY, Huang DS, Lee SW, Kim JY, Shin HK. 2009 Acute Toxicity Study on Yeoldahanso-tang in Mice [J Sasang Constitut Med.] Vol.21 P.247-253 google
  • 30. Jin SE, Ha HK, Shin HK. 2012 Effects of Yuldahanso-tang and Chungsimyonja-tang on Cytochrome P450 Activities [J Sasang Constitut Med.] Vol.24 P.84-91 google cross ref
  • 31. Kim MS, Park SS. 2002 Effects of Yuldahansotang on rat skin occured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Sasang Constitut Med.] Vol.14 P.97-113 google
  • 32. Choi JS, Kim KY, Kim HM, Ju JC 2001 Studies on the Cytokine Production Regulation in Human Astrocytes by Yu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Vol.13 P.61-69 google
  • 33. Hong JA, Kim KY, Yu DG, Park HS, Kim HS. 2001 Effects of Yuldahansotang water extract on Cultured Spinal Sensory Neurons Damaged by Xanthine Oxidase/Hypoxanthine [J Sasang Constitut Med.] Vol.13 P.88-96 google
  • 34. Park SJ, Kim HS, Bae YC, Lee SM, Kim KY, Won KS 2003 Influence of Yeoldahanso-tang on the Hypoxic Damage of Cultured Cerebral Neurons from mouse and SK-N-MC cells [J Sasang Constitut Med.] Vol.15 P.72-89 google
  • 35. Lee JH, Park HS, Kim KY, Kho KD, Kim IH. 2002 Effects of Yuldahansotang water extract on Cultured Primary Hippocampal Cell Culture Damaged by Hydrogen Peroxide [J Sasang Constitut Med.] Vol.14 P.79-89 google
  • 36. Bae NY, Yang HO, Ahn TW. 2009 Protection effect of New-Yeolda-Hanso tang against β-Amyloid Induced Cytotoxicity in NGF-differentiated PC12 Cells [J Sasang Constitut Med.] Vol.21 P.138-153 google
  • 37. Han BS, Bae YC, Song SY, Park HS, Lee JH, Kim KY. 2004 Antioxidant effects and its mechanism of Cheongsimyeonjatang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Vol.16 P.130-147 google
  • 38. Yoo JS, Yang SM, Kim SH, Kim DR. 2001 A Case Report on the Ban-Chang-Byung of Taeumin [J Sasang Constitut Med.] Vol.13 P.190-193 google
  • 39. Go WS, Kim KS, Lim EC. 2002 A Case Report on a patient diagnosed as Diabetic Foot [J Sasang Constitut Med.] Vol.14 P.169-174 google
  • 40. Kim YJ, Kim BO, Kim HJ, Kwack JJ, Jeon SY, Hong S. 2003 A Clinical Report of CVA with Diabetic Foot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24 P.727-734 google
  • 41. Kim HS, Kim IH. 2004 Clinical Cases about Facial Palsy by Using Yeo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Vol.16 P.133-138 google
  • 42. Han DY, Jung WK, Kim EY, Lee SM, Shin MR, Choi JW 2005 A Case of Taeumin Chorea originated after Cerebral infarction [J Sasang Constitut Med.] Vol.17 P.128-134 google
  • 43. Kim YH, Kim SY, Hwang MW. 2011 A Case Study of Taeumin Patient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GERD) who Treated Successfully with Yeo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Vol.23 P.132-138 google
  • 44. Choi JS, Jang MH, Ahn TW. 2012 A Case Study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 Treated with Yuldahanso-tang gagam [J Sasang Constitut Med.] Vol.24 P.104-113 google
  • 45. Kim ST, Choi AR, Koo DM. 2012 A Case Report of Herpes Zoster in Tae-eumin Improved with Yeo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Vol.24 P.71-77 google cross ref
  • 46. Kwon K, Park YH. 2001 Two case studies of Ramsay Hunt syndrom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 Otorhinolaryngology & Dermatology] Vol.14 P.183-193 google
  • 47. Burns JJ, Zhao L, Taylor EW, Spelman K. 2010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herbal formulas on cytokine activity [Toxicology] Vol.278 P.140-159 google
  • 48. Choi JS, Jung SW, Ju JC, Lee SW, Kim KY, Kim HM. 2002 Cytokine Production Regulation in human astrocytes by a herbal combination(Yuldahansotang) [Immunopharmacology and immunotoxicology] Vol.24 P.55-67 google
  • 49. Lee JA, Ha HK, Lee HY, Jung DY, Lee JK, Huang DS 2010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Herbal Formula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Vol.22 P.56-64 google
  • 50. Kim OS, Kim YJ, Shin HK. 2012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Herbal Formula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P.51-61 google cross ref
  • 51. Yoo SR, Jeong SJ, Shin HK. 2012 Effects of Yeoldahanso-tang, a Sasang Constitutional Herbal Prescription for Taeeumin, on th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Sasang Constitut Med.] Vol.24 P.75-83 google cross ref
  • 52. Lee KR, Lee SG, Song JM. 2004 A Case Study of Chronic Cough of Taeumin through the Change Process of Sweating [J Sasang Constitut Med] Vol.16 P.139-142 google
  • 53. Lim JH, Hwang MW, Ham TI, Lee SK, Koh BH, Song IB. 2004 A Case of Treatment of a Taeumin patient diagnosed to Adrenoleukodystrophy [J Sasang Constitut Med] Vol.16 P.155-161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List of Selected Journals in the Review
    List of Selected Journals in the Review
  • [ Figure 1. ]  Screening and classification of identified publications
    Screening and classification of identified publications
  • [ Table 2. ]  Structured Basic Information of Experiment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Structured Basic Information of Experiment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 [ Table 3. ]  Summaries of Main Outcomes in Experiment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Summaries of Main Outcomes in Experiment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 [ Table 4. ]  Structured Method of Clinic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Structured Method of Clinic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 [ Table 5. ]  Summaries of Main Outcomes in Clinic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Summaries of Main Outcomes in Clinical Studies on Yeoldahanso-tang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