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우리나라 잔디 생산과 재배 관리실태 Sod Production and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Management in Korea
ABSTRACT
우리나라 잔디 생산과 재배 관리실태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sod, a questionnaire was ask to 57 farmers in major cultivated areas of turf sod in Korea in 2010 and 2011. The results of the turfgrass management situation analysis showed a mixed farming where the ratio of the principal work and the side work progress similarly, and for the landholding type depending on the management scale, the rental ratio was high for a scale over 0.5 ha. Sod production farmers has high-profile in new varieties of turfgrass,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fertilization and soil or disease and insect pest however the future of the turfgrass industry does not seem optimistic due to the problems such as market stability or scarcity of worker. Obtaining of information on culture methods depended neighbor’s experience (81.8%). Concerning the varieties preference analysis, the 32.1% of farmer answered that the reproductive rate was a key factor for the new variety. Sod production farmers want to receive financial support (28.1%),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tructure of sod (26.6%), and spread of good variety turfgrass (23.4%).

KEYWORD
재배 , 농가 , 관리 , 뗏장 , 잔디
  • 잔디 재배 관리 조사

    조사는 잔디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는데 경기도 이천과 경남 남해, 사천, 산청, 진주, 합천, 경북 고령, 군위, 전남 장성, 함평, 충북 청원과 충주의 56 농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 다. 설문의 문항은 32항목으로 작성하였는데 재배자의 연령과 성별, 종사경력, 주 업종, 재배면적 등의 일반 현황 과 관련된 문항과 문제 병해충의 종류, 방제작업의 횟수, 토양관리 방법, 시비와 관수방법과 같은 잔디 생육 관리 와 관련된 문항, 수확방법이나 비용, 소득 등 경영과 관련된 문항, 애로사항이나 건의사항 등과 관련된 문항으로 구 성하였다. 결과는 설문 문항에 따라 백분율로 계산하거나 평균값으로 산출하였다.

    뗏장 잔디 생산 농가 일반 현황

    설문에 응대한 잔디 재배 농가의 평균 연령은 66.1±11.0 세였었고, 잔디재배 경력은 5년 미만이 5.4%였으며 5-10 년이 19.6%, 10-20년이 41%, 20년 이상이 34%로 Choi and Yang (2006)의 조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잔디재배의 경우 신규 참여 농가의 확대보다 기존 재배 농가가 꾸준히 뗏장 생산을 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잔디만 생산 하는 전업농은 응답자의 37%를 차지하였으며, 농업이나 축산업을 겸하는 농가가 33.3%였고, 상업이나 유통업을 겸하는 경우는 16.7%이었으며, 임업이나 임산업 겸업 농가는 3.7%였다. 잔디 재배농가의 경영규모별 토지 소유 형태는 0.5 ha이하에서는 자가 경작지 비율이 높았으나 0.5 ha 이상면적에서는 임차비율이 높았다(Fig. 1).

    뗏장 생산용 잔디의 재배 관리 및 문제점

    잔디 재배 시 가장 문제시되는 해충은 25%가 풍뎅이류라고 하였으며 바구미라고 응답한 농가는 21.2%였고, 응 애류와 나방류라고 응답한 농가는 각각 17.3%였으며, 5.6%농가는 지렁이가 문제 시 된다고 하였다. 풍뎅이류는 골프장 잔디에서는 가장 문제되는 해충의 하나인데 성충은 주로 초본류나 활엽수의 잎을 가해하고, 유충은 잔디의 뿌리를 가해하여 피해를 준다(Choo et al., 2000). 잔디 이식 후 주변 산림이나 농경지로부터 유충의 먹이가 풍부하고, 서식 조건이 좋은 골프장이나 공원지의 잔디밭으로 유입되어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재배지의 잔디에 발생하여 골프장이나 경기장 이식 잔디에 유입 될 경우 단기간에 밀도가 증가되어 잔디나 조경수에 피해를 조장할 수 있고, 소비지에 서식치 않던 종이 유입되어 인위적 피해 확산을 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잔디에 피해를 주는 바구미는 잔디왕바구미(Sphenophorus venatus vestitus)가 알려져 있는데(Yang et al., 2009) 이 종의 경우 도입종이고, 2009년 최초 발생보고 이래 국내 확산발생에 관한 보고가 없는 점, 최초 발생 당시 전남 장성 등 잔디재배지 조사에서 발견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면 농가에서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응애류의 경우 잔디혹응애(Aceria zoysia)가 최근 문제시 되고 있는데(Park et al., 2012) 이 종에 의한 피해가 만연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실제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일 부 농가에서는 지렁이가 문제를 일으킨다고 하였는데 골프장의 경우 지렁이의 과다 발생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점 들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Potter, 1998) 재배농가에서의 지렁이 문제는 잔디 재배 시에 문제를 일으키기보다는 판 매 시에 지렁이가 많은 뗏장을 골프장에서 꺼려하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잔디 재배지에서 지렁이가 어떤 피해를 주 는지에 대해서도 현장 실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잔디재배 시 문제되는 병은 갈색퍼짐병이 53.8%였으며 녹병이 32.7%, 기타가 13.5%였다. 갈색퍼짐병은 난지형 잔디인 들잔디류에서 가장 문제되는 병으로 이병 부분이 원형의 패취를 이루면서 고사되기 때문에(Shim et al., 1994) 골프장에서도 관리에 가장 중점을 두는 병의 하나로 잔디재배지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방안에 대한 종합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병해충 방제를 위한 방제작업의 횟수는 1-3회가 61.8%로 가장 많았고, 25.5%는 전혀 하지 않는다고 하였 으며, 4-5회가 9.1%, 6회 이상이 3.6%였다. 재배지에서 병해충의 발생 종류나 피해 정도에 대한 정보가 없어 방제 제 처리 횟수를 산정 할 수 없지만 골프장이나 정원의 잔디 관리보다 적은 횟수의 방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관리는 비료를 시비한다고 하는 농가가 60.0%였으며 전혀 관리를 하지 않는 농가도 21.7%나 되었다(Table 1).사용하는 비료의 종류는 61.6%가 화학비료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질소와 석회비료, 퇴비 사용 농가가 각각 13.7, 12.3, 6.8%였고, 기타 의견이 5.5%였다. 비료살포 횟수는 4-5회가 71.7%로 가장 많았으며 년간 제초작업의 횟수는 4-5회가 40.0%로 가장 많았다(Table 2).

    [Table 1.] Proportion of soil management methods for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label

    Proportion of soil management methods for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Table 2.] Frequency of fertilization and weed control in sod production per year in Korea at 2010 and 2011.

    label

    Frequency of fertilization and weed control in sod production per year in Korea at 2010 and 2011.

    관수방법은 스프링쿨러를 이용하는 농가가 44.6%로 가장 많았으나 기상에 의존하는 농가도 37.5%였고, 점적관 수 농가가 7.1%, 기타가 10.7%였다.

    잔디수확의 방법은 69.6%가 밭떼기 형태로 처분하였으며 자가 수확 농가는 30.4%였다.

    잔디재배면적은 81.8%가 매년 비슷한 규모라고 하였으며, 소득은 전년대비 비슷하다는 농가가 79.2%였다(Table 3). 잔디의 재배면적이 매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잔디재배를 하는 농가가 타 작물로 전환하기보다 잔디를 지속 적으로 재배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되는데 Choi and Yang (2006)의 실태조사 때에도 잔디재배를 계속하겠다는 응답자가 86.4%로 나타났었다. 그리고 잔디재배를 통한 소득도 79.2%가 매년 비슷하다고 응답하였는데 소 득의 일정하게 유지됨으로 인해 잔디재배를 지속적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3.] Variation of cultivation area of sod and income from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label

    Variation of cultivation area of sod and income from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잔디 재배와 관련된 기술의 주요 습득처는 81.8%가 이웃의 경험을 토대로 재배한다고 하여(Table 4) 전문적인 지식보다 경험적 지식에 의해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재배의 애로사항은 노동력 부족이 28.8%로 가장 높았으며, 안정적 판로 확보, 판매대금 회수가 각각 19.3% 와 17.5%를 차지하였다(Table 5). Choi and Yang (2006)의 실태조사 때에는 판매처 확보가 가장 큰 애로사항이었으며, 기술과 자본 부족이 애로사항이었는데 본 조사에서는 노동력 확보를 가장 문제점으로 답하였다. 잔디의 경우 다른 작물과 마찬가지로 소비시기가 편중되어 잔디 뗏장을 생산하는 시기가 농가별로 겹쳐 일손을 구하기가 어렵기때문에 이러한 응답을 한 것으로 생각되며, 직접판매보다 중간상을 통한 판매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Choi and Yang, 2006) 판매대금을 제때 받지 못하는 일들이 빈번하여 판매대금 회수에 대한 애로사항이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중간도매업자에게 위탁판매에 치중하고 있는 유통 구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4.] Sources of obtaining information on culture methods of sod in Korea at 2010 and 2011.

    label

    Sources of obtaining information on culture methods of sod in Korea at 2010 and 2011.

    [Table 5.] Bottleneck of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label

    Bottleneck of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뗏장 생산용 잔디 산업 현황과 전망

    잔디생산업의 장래에 대해서는 51.8%가 나쁘다고 하여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농가가 60.7%였으며 현상이 유지 될 것이라고 응답한 농가는 30.4%였다(Table 6).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 건의하고 싶은 사항은 재정적 지원과 유통구조 개선, 품질이 우수한 품종보급이 각각 28.1%, 26.6%, 23.4%를 차지하였다(Table 7). 이외에도 14.1%는 재배와 관련 된 자문기관 신설을 요구하고 있었다. 현재 재배하고 있는 품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 69.6%로 가장 많았으며, 불만족 16.1%, 만족 8.9%, 매우 불만족 3.6%, 매우 만족 1.8%였다. 새로운 잔디 품 종을 도입하여 재배할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번식력이 높은 품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농가가 32.1%로 가장 많았으며 녹색이 짙고, 녹색기간이 긴 품종 이라고 응답한 농가와 초장이 짧은 특성을 가진 품종이라고 응답한 농가가 각각 19.6%와 17.9%였다(Table 8). 잔디 재배를 계속할 것이라고 응답한 농가가 80%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잔디 생산업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농가가 많았다.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중지와 들잔디 위주의 획일적 품종 재배에서 탈피하여 소비처의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잔디품종의 도입과 고품질, 브랜드 잔디를 생산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처럼(Jang et al., 2011) 품질이 우수한 잔디를 생산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잔디의 품질에 관련 된 요소들은 병해충의 발생과 잡초의 유입, 잔디의 균일성, 질감, 색 등 다양한 인자들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에 대한 표준화 작업도 병행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병해충 및 관리 실태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병해충에 대한 판별 능력의 부족이나 관리 매뉴얼의 부재를 보완하기 위해 재배자들을 상대로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건전하게 관리되지 못하여 뗏장을 통해 유입 된 병, 해충, 잡초의 경우 소비처에서 관리비용의 증가를 유발하기 때문에 생산지에서의 관리가 매우 중요한 예방책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잔디 재배지의 병, 해충, 잡초에 대한 실태 조사도 시급히 수행되어야 할 중요 연구로 생각된다.

    [Table 6.] Prospects for the sod cultiva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label

    Prospects for the sod cultiva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Table 7.] Request for sod cultivation against the Government in Korea at 2010 and 2011.

    label

    Request for sod cultivation against the Government in Korea at 2010 and 2011.

    [Table 8.] Essential factors of selection of new variety turfgrass for sod cultiva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label

    Essential factors of selection of new variety turfgrass for sod cultiva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참고문헌
  • 1. Choi J.S., Yang G.M. 2006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Kor. Turfgrass Sci.] Vol.20 P.237-251 google
  • 2. Choo H.Y., Lee D.W., Lee S.M., Lee T.W., Choi W.G. 2000 Turfgrass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golf courses [Korean J. Appl. Entomol.] Vol.39 P.171-179 google
  • 3. 2012 Production survey of forest products in 2011 P.588 google
  • 4. Kim H.K. 1991 Turfgrass science P.545 google
  • 5. Jang D.H., Park N.I., Yang. S.W., Shim G.Y. 2011 Present situation of zoysiagrass (Zoysia spp.) culture, sod production, and bland by prefecture in Japan [Asian J. Turfgrass Sci.] Vol.25 P.229-236 google
  • 6. Lee J.P., Kim S.J., Seo H.Y., Lee S.J., Jeong J.I. 2001 Contribution of turfgrass industry to the economy in Florida state and present and future of Korea turfgrass industry [Kor. Turfgrass Sci.] Vol.15 P.187-198 google
  • 7. Park D.S., Lee J.H., Cho M.R., Kim Y.S., Kim K.D. 2012 Damage of zoysiagrass by zoysiagrass mite, Aceria zoysiae in Korean golf courses [Weed Turf. Sci.] Vol.1 P.76-79 google cross ref
  • 8. Potter D.A. 1998 Destructive turfgrass insects biology, diagnosis, and control google
  • 9. Shim G.Y., Kim J.W., Kim H.K. 1994 Occurrence of Rhizoctonia bright of zoysiagrasses in golf courses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 Vol.10 P.54-60 google
  • 10. Yang S.W., Shim G.Y., Kim J.H., Hong K.J., Jeong Y.G. 2009 Exotic pest, hunting billbug, 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 (Coleoptera, Dryophthoridae) in Korea [Kor. Turfgrass Sci.] Vol.23 P.265-270 google
  • 11. Yonn J.H., Lee J.P., Kim D.H. 2005 The present situation of patented technology on turfgrass cultivar in domestic and foreign [Kor. Turfgrass Sci.] Vol.19 P.141-149 google
  • 12. Yonn J.H., Lee J.P., Kim D.H. 2006 Commercialization of patented technology on turfgrass production in Korea [Kor. Turfgrass Sci.] Vol.20 P.107-118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Fig. 1. ]  Landholding type of sod production farmer depending on management scale of land in Korea at 2010 and 2011. Survey targeting was 56 sod production farmers.
    Landholding type of sod production farmer depending on management scale of land in Korea at 2010 and 2011. Survey targeting was 56 sod production farmers.
  • [ Table 1. ]  Proportion of soil management methods for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Proportion of soil management methods for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 [ Table 2. ]  Frequency of fertilization and weed control in sod production per year in Korea at 2010 and 2011.
    Frequency of fertilization and weed control in sod production per year in Korea at 2010 and 2011.
  • [ Table 3. ]  Variation of cultivation area of sod and income from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Variation of cultivation area of sod and income from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 [ Table 4. ]  Sources of obtaining information on culture methods of sod in Korea at 2010 and 2011.
    Sources of obtaining information on culture methods of sod in Korea at 2010 and 2011.
  • [ Table 5. ]  Bottleneck of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Bottleneck of sod produc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 [ Table 6. ]  Prospects for the sod cultiva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Prospects for the sod cultiva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 [ Table 7. ]  Request for sod cultivation against the Government in Korea at 2010 and 2011.
    Request for sod cultivation against the Government in Korea at 2010 and 2011.
  • [ Table 8. ]  Essential factors of selection of new variety turfgrass for sod cultiva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Essential factors of selection of new variety turfgrass for sod cultivation in Korea at 2010 and 2011.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