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소음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소음병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o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Lesser Yin Symptomatology
ABSTRACT
소음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소음병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CPG) for Lesser Yin Symptomatology of Soeumin disease.

Methods

Dongeui suse bowon(sinchuk edition), textbook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linical guidebook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standardization reports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papers concerning symptomatology of Soeumin Disease, especially Lesser Yin Symptomatology was collected and classified. Additionally experts' conference was held to make agreement on the conflicting issues on a regular basis.

Results & Conclusions

There was no concerning paper on Lesser Yin Symptomatology. Experts' agreement was needed to establish the CPG. Lesser Yin pattern can be classified into 2 groups; Lesser Yin severe pattern and Lesser Yin critical pattern. There are Lesser Yin pattern accompanied abdominal pain and bowel irritability pattern and Lesser Yin pattern accompanied green tinged watery diarrhea pattern in Lesser Yin severe pattern. There are Visceral syncope pattern and Exuberant yin repelling yang pattern in Lesser Yin critical pattern.

Lesser Yin symptomatology has several symptoms like abdominal pain and diarrhea, thirst, oral discomfort, chest discomfort, whole body pain, articular pain and coldness of hands and feet. Additionally there are abdominal pain and diarrhea in Lesser Yin symptomatology accompanied abdominal pain and bowel irritability pattern, there is green tinged watery diarrhea in Lesser Yin pattern accompanied green tinged watery diarrhea pattern and if this symptoms exacerbate, delirious speech and constipation can occur. There are restlessness and coldness on hands and feet in Visceral syncope pattern and severe restlessness and coldness on hands and feet and symptom which the patient cannot drink water in Exuberant yin repelling yang.

KEYWOR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Soeumin , Lesser Yin symptomatology
  • I. 緖 論

    소음인 병증은 腎受熱表熱病과 胃受寒裏寒病이라 하여, 表病과 裏病을 구별하고 있으며, 주로 소화기질환에 관계된 증상이 나타날 때 裏病에 배속된다. 특히 소화기질환중 설사를 위주로 설명되는 裏病중에서 복통 설사의 공통증상이 있으나, 口乾, 身體痛, 心煩躁 등의 인체의 正氣가 많이 소모된 逆證으로 少陰病을 설정하고 있다. 이는 胃中溫氣 뿐 아니라, 脾局의 陽氣까지 손상된 상태로 太陰病에 비해서 심한 병이라 할 수 있다.

    소음병의 병증분류 및 정의에 관해서는 여러 선행연구가 있었으며1-4, 병증진단 알고리즘 개발연구5 및 표준증후개발에 관한 연구6가 있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바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진료지침은 개발되지 않아서 이에 대한 작업이 필요하다고 여겨져, 2012년부터 국내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의 사상체질과 교수들을 중심으로 임상진료지침 개발작업을 시행하게 되었다.

    사상체질병증의 임상진료지침(CPG : Clinical Practice Guideline)을 개발중에 있으며, 그 중 소음인 병증중 소음병에 대한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소음병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한 과정 및 소음병의 분류,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의 결과를 제시하는 바이다.

    II. 硏究對象 및 方法

       1. 문헌검색

    본 연구에서는 소음인의 소음병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기존의 발간자료인 『東醫壽世保元⋅辛丑本』, 사상의학 교과서7, 사상체질과 임상편람8,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9 및 소음인 소음병 관련 논문 등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정리하였다. 논문 검색방법은 김 등10의 선행연구 방법을 따랐다. 국내의 한의학관련 학회지1)를 창간호부터 수기검색 및 온라인 검색이 가능한 경우는 온라인검색을 이용하였다. 한의학연구원의 논문검색시스템인 전통의학정보포털(http://oasis.kiom.re.kr)을 활용하였다. 국외논문인 경우는 pubmed, Chochrane library를 통하여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임상시험 혹은 임상연구(clinical trial or Human complementary medicine) and 임상 혹은 인간(Clinical or Human)을 사용하였다.

       2. 문헌평가 및 자료추출

    문헌의 1차 선택은 김 등10의 연구에 따라 총 17종의 한의학 학술지에서 온라인과 수기로 검색한 논문 12,694편과 국외 database를 검색한 논문 41편에 대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중 In vivo, In vitro, 문헌고찰 논문을 제외한 1,004편의 임상논문을 1차적 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그 후 임상진료지침 각각의 위원들이 신뢰성 있고, 학문적 가치가 높은 논문을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사상체질과 관련된 논문 25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5편의 논문 중 소음인 병증과 관련 없는 논문 17편을 제외하였다. 나머지 8편의 논문 중 소음병과 관련 없는 논문 8편을 제외하였더니 소음병 임상시험연구논문은 0편이 되었다 (Figure 1).

       3. 임상진료지침 작성

    『東醫壽世保元⋅辛丑本』에 실린 내용 가운데 소음병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표준증후2)를 작성하였으며, 사상의학 교과서,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 및 소음인 태음병 관련 논문 등을 참조하여 임상진료지침(CPG) 표준보고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작성하였다. 근거수준과 권고수준은 2013년 한의학연구원(KIOM) 한의임상진료지침 개발팀 권고안을 따랐다.

    III. 結 果

       1. 소음병 (Lesser Yin symptomatology)

    개론

    口渴, 口中不和, 身寒/ 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而心煩/ 手足寒, 身體痛, 骨節痛을 동반하는 복만, 설사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강력해진 대장국의 한사가 위국의 온기를 손상시키고, 이어 비국양기 또한 손상되어 발생한다.

    1.1 소음병험증 (Lesser-Yin sever pattern)

    개론

    소음병험증으로 소음병자리증과 소음병하리청수 증가 해당된다.

    1.1.1 소음병자리증 (Lesser-Yin accompanied by abdominal pain and bowel irritability pattern)

    서론

    소음병에서 自利가 심해지고, 腹痛을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대장국의 한사로 인해 위국의 온기가 손상되고, 비국양기 또한 손상된 상태에서, 강성해진 대장국의 한사로 인해 발생하는 대장국의 병증이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소음병자리증의 진단은 리병의 주요증상인 腹滿, 泄瀉3), 소음병의 주요증상인 口渴, 口中不和, 身寒/ 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 心煩/ 手足寒, 身體痛, 骨節痛4), 腹痛을 동반한 심한 泄瀉가 필수적이다. 腹痛泄瀉하면서 口渴, 口中不和가 없으면 태음병이고 腹痛泄瀉하면서 口渴, 口中不和가 있으면 소음병이다5)6). 치료는 健脾而降陰을 원칙으로 하여 官桂附子理中湯을 활용한다7). 소음병 초증이라도 麻黃을 써서 발한을 시키면 안 된다8). 그외에 소음병자리증을 치료하기 위해 健脾而降陰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성정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소음병자리증은 口渴, 口中不和, 身寒/ 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 心煩/ 手足寒, 身體痛, 骨節痛, 腹痛을 동반한 심한 泄瀉를 주 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2. 腹痛泄瀉하면서 갈증이 없으면 태음병이고 갈증이 있으면 소음병이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치료는 官桂附子理中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그 외에 소음병자리증을 치료하기 위해 健脾而降陰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성정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4. 소음병은 초기에 병을 얻을 때부터 험증이고 이어서 위증이 되는 것이니 초중에 일찍이 병증을 잘 관찰하여 조치하지 않으면 나중에 위험한 처지에 빠질 수 있다. 비록 2, 3일 되는 초증이라도 麻黃을 써서 발한을 시키면 안 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1.1.2. 소음병하리청수증 (Lesser-Yin pattern accompanied green tinged watery diarrhea pattern)

    서론

    소음병에서 下利靑水, 복통을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대장국의 한사로 인해 위국의 온기가 손상되고, 비국양기 또한 손상된 상태에서, 대장국의 강성해진 한사로 인해 발생하는 설사가 극도로 심해져 발생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소음병하리청수증의 진단은 소음병의 주요증상인 口渴, 口中不和, 身寒/ 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 心煩/ 手足寒, 身體痛, 骨節痛, 腹痛을 동반한 심한 물설사가 필수적이다9)10). 그리고 下利靑水가 진행되어 便閉가 나타날 수 있다11)12). 下利靑水證의 치료는 健脾而降陰을 원칙으로 하며, 巴豆와 官桂附子理中湯을 활용한다. 下利靑水가 진행되어 변폐에 이르면 巴豆를 먼저 사용하고 薑朮寬中湯을 이어서 사용한다12). 그 외에 소음병하리청수증을 치료하기 위해 健脾而降陰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성정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소음병하리청수증은 口渴, 口中不和, 身寒/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 心煩/ 手足寒, 身體痛, 骨節痛, 腹痛을 동반한 심한 물설사를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2. 下利靑水가 진행되어 변폐가 나타날 수 있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치료는 巴豆와 官桂附子理中湯 등을 활용한다. 下利靑水가 진행되어 변폐에 이르면 巴豆(巴豆)를 먼저 사용하고 薑朮寬中湯 등을 이어서 사용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4. 소음병하리청수증을 치료하기 위해 健脾而降陰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성정의 조절을 위해 정신요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1.2. 소음병위증 (Lesser-Yin critical pattern)

    개론

    소음병 위증의 경우 단순한 手足厥冷보다 심화된 全身冷症을 포함하는 厥證과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나는 2개의 병증, 藏厥證과 陰盛格陽證으로 분류한다.

    1.2.1 장궐증 (Visceral syncope pattern)

    개론

    소음인 소음병에서 험증의 단계에서 심화된 위증단계로서, 장궐증은 가슴속이 달아오르면서 답답하고 편치 않아 손발을 버둥거리는 증상 혹은 조바심으로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도 안정되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며, 주관적 혹은 객관적으로 수족궐냉이나, 범위가 전신까지 넓은 냉증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장궐증이나 음성격양증은 매우 위급한 증상이므로, 미리 병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한계상황이 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 없음

    근거

    소음병 장궐증의 진단은 소음병의 주요 증상인 腹滿, 自利, 口渴, 口中不和, 身寒/ 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 心煩/ 手足寒, 身體痛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개별증상인 躁無暫定과 厥證을 가지고 있다13)14)15). 치료는 建脾降陰을 원칙으로 하며, 官桂附子理中湯, 吳茱萸附子理中湯, 蔘萸湯, 四逆湯을 활용한다16). 그 외에 소음병장궐증을 치료하기 위해 建脾降陰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 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소음병장궐증은 腹滿, 自利, 口渴, 口中不和, 身寒/ 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 心煩/手足寒, 身體痛, 躁無暫定과 厥證을 주증상으로 한다.(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2. 치료는 官桂附子理中湯, 吳茱萸附子理中湯을 활용한다.(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소음병장궐증을 치료하기 위해 建脾降陰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 할수 있다.(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1.2.2. 음성격양증 (Exuberant yin repelling yang pattern)

    개론

    소음인 소음병에서 장궐증과 매우 유사하여 증상이 대동소이하다. 다만 한사가 위국까지 침범하여 매우 위중한 상태로 변화되어 물을 마실 수 없는 상태까지 도달하게 된다.

    외국의 권고사항 : 없음

    근거

    소음병 음성격양증의 진단은 소음병의 주요 증상인 腹滿, 自利, 口渴, 口中不和, 身寒/ 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 心煩/ 手足寒, 身體痛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개별증상인 煩躁, 厥證, 不能飮 水의 증상을 가지고 있다17)18)19). 치료는 建脾降陰을 원칙으로 하며, 官桂附子理中湯, 吳茱萸附子理中湯, 霹靂散을 활용한다20). 蔘萸湯, 四逆湯을 활용한다16). 그 외에 소음병음성격양증을 치료하기 위해 建脾降陰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의 권고사항

    1. 소음병 음성격양증은 腹滿, 自利, 口渴, 口中不和, 身寒/ 性情偏急證(悗亂), 平居泄瀉, 心煩/手足寒, 身體痛, 煩躁, 厥證, 不能飮水를 주증상 으로 한다.(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2. 치료는 官桂附子理中湯, 吳茱萸附子理中湯을 활용한다.(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소음병음성격양증을 치료하기 위해 建脾降陰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IV. 考察 및 結論

    소음병의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을 만드는데 있어서 『東醫壽世保元 辛丑本』, 사상의학 교과서,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연구(KIOM보고서) 및 관련논문을 참고하였고, 집필위원 내부 회의에서 초안을 만들고 이후 전체 집필위원 회의를 거쳐 의견을 반영하고, 합의, 수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 자문위원의 승인을 거쳐 결정되었다.

    태음병과 소음병은 모두 胃氣虛弱 즉 胃中溫氣의 약화로부터 시작된 裏寒의 증후를 공통으로 가지는데, 泄瀉(또는 軟便)를 주된 증후로 한다. 順證과 逆證의 차이점은 소음병은 胃氣虛弱에 脾局陽氣의 손상을 겸하게 되어 표열의 병리가 가동하게 된다. 즉, 태음병은 裏寒이 중심이 되는 병증이며, 소음병은 表裏俱病으로 裏寒에 表熱을 겸한 병증이다. 표열의 동반으로 인해 소음병에는 표증을 동반하게 되는데, 口渴, 口中不和, 身體痛, 心煩 증후가 출현하고 심해지면 리한과 표한이 모두 심해져 手足厥冷, 心煩躁 등의 증상이 출현한다 (Table 1).

    [Table 1.]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Lesser Yin Symptomatology in Soeumin Disease

    label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Lesser Yin Symptomatology in Soeumin Disease

    본 임상진료지침에서는 병증의 경중을 輕重險危라는 4단계로 구성하여, 裏證중 태음병의 세부분류를 輕重으로 구분하고, 소음병의 세부분류를 險危로 구분하였다. 少陰病險證에는 少陰病自利證, 少陰病下利靑水證 등이 있고, 少陰病危證에는 少陰病臟厥證, 少陰病陰盛格陽證 등이 있다. 소음병험증은 주로 위장관내 증후가 주증상이 되니 腹痛 과 泄瀉가 위주가 되는 단계인 소음병자리증, 泄瀉가 극심해져 靑水 양상의 설사를 하게 되는 소음병하리청수증 등으로 분류된다. 소음병위증은 裏寒이 전신에 파급되어 심화되고 동반되는 表熱이 극심해져 陰盛格陽의 양상이 출현하는 증후가 주증상이 되니, 주된 증후인 心煩躁의 양상과 厥逆症의 강도에 따라 소음병장궐증과 소음병음성격양증 등으로 분류된다.

    소음병은 공통증상으로 腹滿自利, 口渴, 口中不和, 身體痛, 骨節痛, 手足寒 등을 가지며, 소증상에서 성정편급증(문란), 평거설사, 심번 등의 증상이 있다. 이에 더하여 소음병자리증은 腹痛과 泄瀉를, 소음병하리청수증은 위장관내 삼출물이 배출되는 靑水양상의 설사를 띠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下利靑水가 심해지면 譫語便閉까지 올수도 있는 것으로 下利靑水에 포함된 것으로 설정했다. 소음병장궐증은 휴지기 없는 躁症과 手足厥冷을, 소음병음성격양증은 극심한 躁症과 手足厥冷, 不能飮水 등을 개별증상으로 가진다 (Table 1).

    표준증후를 설정하면서, 현대적 의미로 임상현장에서 사용하는데 보다 정확한 정의를 위해서 몇 가지를 정의하였다. 예를 들면, 복만, 복창, 장명 등의 증상이 있는 것은 복부불편감 또는 팽만감이 있는 것으로 봤고, 軟便이나 설사는 총괄적으로 대변이 무르고 횟수가 잦은 것으로 봤으며, 自利가 심하다고 하는 것은 하루에 3~4회이상 설사를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표준증후를 만들면서, 관련된 식욕, 소화, 대변, 口乾, 飮水, 汗, 小便 관련된 증후를 표기하였다. 기타 寒熱, 성정이나 수면상태, 맥진, 복진 등의 상태를 문헌적 혹은 병리적으로 분석하여 각 병증에 어떠한 상태에 있을 것이라 표기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한계점은 기존의 임상연구(Clinical trial)이 소음병에 관련하여 전무하다는 점으로 인해서 임상지침을 만들 때 관련서적에 근간한 전문가 합의를 주로 기반하였다. 또한 치료법을 서술하는 경우에도 처방 위주가 많았고, 실제 임상에서 일어나는 침, 뜸, 부항, 기공, 약침 등 다양한 시술이 있지만 현재까지 관련 임상연구가 논문화되지 못한 점으로 인해서 간략한 언급에 그칠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다만 이 연구가 초보적이기는 하지만, 이 임상지침이 향후에 있을 임상연구나 실제 임상에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객관적 임상지침이 되기를 바라며, 여러 임상연구가 진행되어 지속적인 개정작업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Lee EJ, Song IB 1996 Research on Exterior & Interior disease of Soeumin & Soyangin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Vol.8 P.43-56 google
  • 2. Song IB 1998 A Study on the Symptomatic-pharmacology of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Vol.10 P.1-14 google
  • 3. Lee SK, Song IB 1999 The Study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of Sasangin on the 『Dongyi Suse Bowon』. [J Sasang Constitut Med.] Vol.11 P.1-26 google
  • 4. Hwang MW, Koh BH 2009 The Study on the Pathology of Soeum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J Sasang Constitut. Med.] Vol.21 P.27-41 google
  • 5. Shin SW, Lee EJ, Koh BH, Lee JH 2011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is Algorithm of Soeumin Symptomology [J Sasang Constitut Med.] Vol.23 P.33-43 google
  • 6. Song EY, Park BJ, Song AN, Lee EJ, Koh BH, Lee JH 2011 The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of Soeumin Symptomatology and the Standardized Symptom [J Sasang Constitut Med.] Vol.23 P.429-444 google
  • 7. 2012 The revised and enlarge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oogle
  • 8. 2010 The Clinical Guide Book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The Literature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oogle
  • 9. Koh BH 2008 Fundamental research to standardize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oogle
  • 10. Kim JS, Hwang MW, Lee JH, Lee EJ, Koh BH, Yoo JH 2013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ymptomatology - Purpose, Development Strategy and Procedure [J Sasang Constitut Med.] Vol.25 P.23-33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Figure 1. ]  Selection of articles included in clinical guidelines for lessor yin symptomatology of stomach cold-based interior cold disease in Soeumin disease
    Selection of articles included in clinical guidelines for lessor yin symptomatology of stomach cold-based interior cold disease in Soeumin disease
  • [ Table 1. ]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Lesser Yin Symptomatology in Soeumin Disease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Lesser Yin Symptomatology in Soeumin Diseas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