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데시메이션이 d=2m-2(2m+3)인 비선형 이진수열의 선형스팬 분석 Analysis of Linear Span of Non-linear Binary Sequences with Decimation d=2m-2(2m+3)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데시메이션이 d=2m-2(2m+3)인 비선형 이진수열의 선형스팬 분석

Large linear span makes difficult to predict, so this study is important to the security and code system. It has been studied about the non-linear binary sequences having low correlation values and large linear spa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inear span of where n=2m and d=2m-2(2m+3).

KEYWORD
선형스팬 , 비선형 이진수열 , 데시메이션 , 유한체 , 트레이스
  • Ⅰ. 서 론

    최대 주기를 갖는 수열에 대한 연구는 Niho[1], Helleseth[2], Rosendahl[3] 등 여러 연구자에 의해서 이루어져 왔다[4-7]. 특히 Niho는 주기가 22m−1인 수열에서 d ≡ 1 (mod 2m−1)을 만족하는 데시메이션(decimation) d값을 다루는 방법을 연구했다. 낮은 자기상관함숫값 또는 상호상관함숫값을 가지면서 선형스팬이 큰 비선형 이진수열들은 통신 및 암호시스템에서 활용되고 있다[8,9].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접속간섭(Multiple Access Interference)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낮은 상관함숫값을 갖는 이진 의사난수열의 설계는 중요한 문제이다[10]. 그리고 선형스팬이 클수록 현재의 값으로 다음 값을 알아내기는 어려워지므로 보안 및 암호시스템에서 활용되고 있다. 위성통신의 다원 접속 방식의 하나인 스팩트럼 확산 다원접속(spread-spectrum multiple-access)통신 시스템에서는 낮은 상관함숫값과 선형스팬이 큰 값을 갖는 코드수열을 사용한다[11,12]. Bent 수열[13,14], Gold 수열[15,16], Kasami 수열 [17,18] 등은 낮은 상관함숫값을 가지는 동시에 낮은 수치의 선형스팬을 갖는다. No 수열은 낮은 수치의 선형스팬을 갖는 이진수열을 보완하여 GMW 수열의 선형 스팬보다 큰 값을 갖는다[19]. 이진수열의 최소다항식의 차수를 선형스팬이라고 정의하는데 최소다항식을 구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Key[20]는 선형스팬을 구하는 좀 더 편리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2장에서 유한체를 기반으로 한 배경지식을 소개하고[21] 3장에서 데시메이션이 d=2m-2(2m+3)인 비선형수열 의 선형스팬을 분석한다. 그리고 4장에서는 결론을 맺는다.

    Ⅱ. 배경 지식

    k|l을 만족하는 k,l∈N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함수 를 트레이스(trace) 함수라고 한다.

    트레이스 함수는 이진의사난수열을 생성하는 도구이고 많은 이진수열들이 트레이스 함수에 의해 정의되었다.

    [표 1.] 트레이스 함수에 의해 정의된 수열들

    label

    트레이스 함수에 의해 정의된 수열들

    f(x)가 GF(2)위에서 n차 기약다항식이고 s가 양의 정수라 하자. 수열 (i ≥ 0인 정수, αf(x)의 원시근)와 에 대하여 수열 b는 수열 as-데시메이션이라고 한다.

    <예제 1> 기약다항식 f(x) = x4+x+1에 대한 수열은 a = (000100110101111)이다. 수열 a의 3-데시메이션은 b = (01111)이고, 7-데시메이션은 c = (011110101100100)이다.

    LFSR 수열 a에 대하여 a의 최소다항식의 차수를 선형스팬(linear span)이라고 한다. 그러나 수열 a의 최소다항식을 구하기는 쉽지 않다. Key[20]는 주기가 2n−1인 GF(2)위에서의 수열 a=(ai)의 선형스팬을 구하는 방법을 정리 2와 같이 제시하였다.

    [정리 2] (cjGF(2), α는 GF(2n)의 원시원소)에 대하여 수열 a=(ai)의 선형스팬 L은 다음과 같다.

    <예제 3> GMW 수열 에서 αt = x라 두면

    이다. 따라서 수열 (at)의 선형스팬은 12이다.

    [정리 4] GMW 수열의 선형스팬 LS

    이다. w(r)은 r의 이진표현에서 1의 개수이다.

    <예제 5> αGF(26)의 원시원소일 때, GMW 수열 의 선형스팬은 이다.

    Ⅲ. 의 선형스팬 분석

    n = 2m, d = 2m−2 (2m+3)일 때 비선형수열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선형스팬 분석을 위해 를 전개하여 항의 개수를 조사한다. α = δγ(δ2m−1 = 1, γ2m+1 = 1)라 두면 (5)가 성립한다.

    δtγ −2m−1t = x γt = y라 두면 (5)는 (6)과 같다.

    여기서 g(y) = y2m+ay2m−1+1+ay2m−1−1+1 이다.

    (6)으로부터 (4)는 (7)과 같다.

    δty−2m−1 = xy−2m−1(2m−1) = x2m−1 가 된다.

    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여기서 clGF(2m)이다.

    [보조정리 6] xr · 2j1[g(y)]r ⋅ 2j1xr · 2j2[g(y)]r ⋅ 2j2의 전개식에서 x의 지수는 다르다. 단, 0 ≤ j1 < j2m−1이다.

    <증명> xr · 2j1[g(y)]r ⋅ 2j1xr · 2j2[g(y)]r ⋅ 2j2의 전개식에서 x의 지수가 같다고 하자. j = j2j1 (0 < jm−1)라 두면 (10)이 성립한다.

    (10)의 양변에 2m(2m+1)을 곱하면

    이고 (2j − 1)r ≡ 0 (mod 2m − 1)이다. gcd(r, 2m − 1)이므로 2j − 1 ≡ 0 (mod 2m − 1)이다. 이것은 모순이므로 xr · 2j1[g(y)]r ⋅ 2j1xr · 2j2[g(y)]r ⋅ 2j2의 전개식에서 x의 지수들은 서로 다르다.

    보조정리 6에 의해서 의 선형스팬은 [g(y)]r의 전개식에서 항들의 개수의 m배이다. 분석의 편의를 위 하여 [g(y)]r 대신 [y3 + ay2 + ay +1]r의 항의 개수를 구하 여 m배를 하면 의 선형스팬의 하한값을 구할 수 있다. 이제는 G(y) = [y3+ay2+ay+1]r라 두고 r을 (12)와 같이 나타내고 (13)을 만족하는 경우로 제한하자.

    · R : r의 이진 전개에서 블록들의 수· Lj : j번째 블록의 길이· ej : j번째 블록에서 가장 낮은 2의 지수

    (12)에 의해서

    이다. 여기서 이다.

    gj(y) = [y3⋅2ej + a2ejy2⋅2ej + a2ejy2ej +1]rj라 두면 gj(y)에서 y의 지수는 2ej의 배수이며 0이상 3⋅2ejrj 이하이다. 이므로 G(y)의 전개식에서 생길 수 있는 y의 지수들은 와 같은 형태이다. 여기서 ajgj(y)에서 선택된 항의 y의 지수이다. (13)에 의해서

    이므로 0 ≤ aj ≤ 3⋅2ejrj < 2ej+1 이다. 2ej | aj 이므로 이다. 라 두고 이면 aj = bj 임을 증명하자. 가정에 의해서

    이다. 0≤ |uivi| ≤ 3rj < 2Lj+2 ≤ 2ej+1ej이므로 (16)이 0이되기 위해서는 먼저 u1 = v1 이다. 같은 방법에 의해서 uj = vj (1 ≤ jR)이어야 한다. 따라서 와 가 같으려면 aj = bj (1 ≤ jR)이어야 한다. 이 결과에 의해서 G(y)의 전개식에서의 y의 서로다른 지수들의 개수를 M이라 하고 gj(y)에서의 y의 서로 다른 지수들의 개수를 Mj라고 하면 이다.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M에 대하여 알아보자.

    (a) a = 0인 경우:

    z = y2ej라 두면 이고 Mj = rj + 1 이므로

    이다. 그러므로 a=0인 경우 의 선형스팬은 m⋅2w(r)이고 GMW 수열의 선형스팬과 같다.

    (b) a = 1인 경우:

    z = y2ej라 두면

    이다. (18)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19)와 같다.

    여 기 서 A0 = 1, , , 이다. (19)의 에서는 모두 Bk = 0이다. 따라서 (18)을 전개했을 때 항의 개수는 rj+1개가 되어 Mj = rj+1 이다. 따라서

    이다. 그러므로 a = 1인 경우 의 선형스팬은 m⋅2w(r)이고 GMW 수열의 선형스팬과 같다.

    (c) a≠0, a≠1인 경우:

    z = y2ej, η = a2ej라 두면

    이다. (21)을 인수분해하면

    단, δ+δ−1 = ƞ+1이다. (22)를 전개하여 정리하면 (23)과 같다.

    여기서 A0 = 1, , , 이다. Ak를 계산하면 (24)와 같다.

    (24)의 분자를 정리하면 이다. Ak = 0이기 위해서는 δk+1 = 1 또는 δk+2 = 1이다. 따라서 Ak = 0가 되는 개수는

    이다. 이제는 Bk = 0가 되는 k의 개수의 최댓값을 알아보자. Cu = Cv라고 하면 (26)과 같다.

    (26)을 인수분해하면 (δu+δv)(δuv−2+1) = 0이다. u+v=ri−1이면 δu+ v+2 ≠ 1이다. 따라서 δu=δv 이고 u=v이다. Bk = Bk+1+Ck+Crj−1−k이고 CkC = 0 rj−1−k이므로 Bk = 0 이면 Bk+1 ≠ 0이다.

    따라서 는 연속해서 0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23)의 Bk = 0이 되는 개수를 최대로 계산하면 개이다. (27)을 Pj라 두면

    gj(z)에서 없어지는 항들의 개수는 2Pj을 넘지않는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보조정리 7][22] 다음 두 집합은 일대일대응 이다.

    여기서 αGF(2n)의 원시원소이다.

    보조정리 7에서 γ=0인 경우는 a=1인 경우에 해당되고 γ=1인 경우는 a=0인 경우에 해당되므로 (20)과 (17)에 의해서 GMW 수열의 선형스팬과 같다. 따라서 γ≠0, γ≠1인 γ에 대하여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선형스팬을 생각하자.

    (a) y2+γy+1 = 0(γGR(2m)∖{0,1})가 GF(2m)에서 해를 가지는 경우 : 보조정리 7에 의해서 해는 δ=αh(2m+1) (1 ≤ h ≤ 2m−1−1)의 형태이다. 먼저 (31)을 구해보자.

    δk+1 = (αh(2m+1))k+1 = αh(k+1)(2m+1) = 1 이므로 h(k+1)≡0 (mod2m−1)이다. g=gcd(h, 2m−1)라 두면 이다. 그러면 자연수 l이 존재하여 (32)를 만족한다.

    그런데 k+1≤rj+1 이므로 이다. l은 자연수이므로

    이다. 같은 방법으로 (34)도 구할 수 있다.

    rj=2Lj−1이므로 (27), (28), (33), (34)에 의해서 의 선형스팬 lspan은 (35)를 만족한다.

    (b) y2+γy+1=0(γGF(2m)∖{0,1})가 GF(2m)에서 해를 가지지 않는 경우 : 보조정리 7에 의해서는 해는 δ=αh(2m−1)(1 ≤ h ≤ 2m−1)의 형태이다. (a)와 같은 방법으로 선형스팬 lspan은 (36)을 만족한다.

    지금까지의 결과로 정리 8을 얻는다.

    [정리 8] γiGF(2m∖{0}에 대하여 y2+γiy+1=0가 GF(2m)에서 해를 가지면 i =−1라 하고 해를 가지지 않으면 i =+1이라고 하자. 그리고 γi에 대하여 δi를 (30)의 집합 K에 있는 y2+γiy+1=0의 근이라고 하자. 그러면 (37)이 성립하고

    gi = gcd(hi, 2m+i)라 두면 의 선형스팬 lspan은 (38)을 만족한다.

    지금부터는 의 선형스팬과 GMW 수열의 선형스팬을 비교해보자.

    먼저 (35)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a) m이 짝수인 경우:

    이다. 이라고 하자.

    이 때, h ≤ 2m−1−1 < 2m−1 이므로 이다. y2+γy+1 = 0(γGR(2m)∖{0,1})가 GF(2m)에서 해를 가지므로 δ=αh(2m+1)이고 δ3 = 1이다. 그러면 γ = 1이 된다. 따라서 이다. 이므로 이다. 따라서 (39), (40)이 성립한다.

    (39), (40), (41)에 의해서 (42)가 성립한다.

    (b) m이 홀수인 경우:

    이므로 (39), (40), (41)이 성립하고 따라서 (42)가 성립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36)의 경우도 (42)가 성립한다.

    이상으로 의 선형스팬은 a≠0, a≠1인 경우에 GMW 수열의 선형스팬보다 크다는 것을 보였다.

    표 2는 의 선형스팬 및 발생빈도 실험결과이다. 실제 결과는 a≠0,인 모든 경우에 GMW 수열의 선형스팬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 의 선형스팬 및 발생빈도

    label

    의 선형스팬 및 발생빈도

    Ⅳ.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데시메이션이 d=2m−2(2m+3)인 비선형수열 의 선형스팬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y2m+ay2m−1+1+ay2m−1−1+1]r 대신 [y3+ay2+ay+1]r을 전개하였고 rej+1ej+Lj+2을 만족하도록 제한하였다. 그 결과 a=0 또는 a=1인 경우를 제외한 a에 대하여 GMW 수열의 선형스팬보다 크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제로 의 선형스팬을 구한 결과는 a=0을 제외한 모든 경우에 대하여 GMW 수열의 선형스팬보다 크다. 앞으로 선형스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참고문헌
  • 1. Niho Y. 1972 “Multi-valued cross-correlation functions between two maximal linear recursive sequences”, Ph.D thesis google
  • 2. Helleseth T. 1976 “Some results about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between two maximal linear sequences” [Discrete Mathematics] Vol.16 P.209-232 google cross ref
  • 3. Rosendahl P. 2004 “Niho type cross-correlation functions and related equations”, Ph.D thesis google
  • 4. Tang X.H., Helleseth T., Hu L., Jiang W. 2009 “Two new families of optimal binary sequences obtained from quaternary sequences” [IEEE Trans. Inf. Theory] Vol.55 P.433-436 google cross ref
  • 5. Zeng F.X., Zhang Z.Y. 2008 “Several Families of Sequences with Low Correlation and Large Linear Span” [IEEE Trans. Fundamentals] Vol.E91-A P.2263-2268 google cross ref
  • 6. Schmidt K.-U. 2009 “Z4-valued quadratic forms and quaternary sequence families” [IEEE. Trans. Inf. Theory] Vol.55 P.5803-5810 google cross ref
  • 7. Udaya P., Tang X.H. 2013 “On the Construction of Binary Sequence Families With Low Correlation and Large Sizes” [IEEE. Trans. Inf. Theory] Vol.59 P.1082-1089 google cross ref
  • 8. Helleseth T., Kumar P.V., Pless V., Huffman C. 1998 “Sequences with low correlation” google
  • 9. Simon M.K., Omura J.K., Scholtz R.A., Levitt B.K. 1985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google
  • 10. Fazel K., Kaiser S. 2003 “Multi-carrier and spread spectrum system” google
  • 11. Sarwarte D.V., Pursley M.B. 1980 “Crosscorrelation properties of pseudorandom and related sequences” [Proc. IEEE] Vol.68 P.593-620 google cross ref
  • 12. Scholtz R.A. 1982 “The origins of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IEEE Trans. Commun.] Vol.COM-30 P.822-854 google
  • 13. Kumar P.V., Scholtz R.A. 1983 “Bounds on the linear span of bent sequence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IT-29 P.854-862 google
  • 14. Olsen J.D., Scholtz R.A., Welch L. R. 1982 “Bent-function sequence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IT-28 P.858-864 google
  • 15. Gold R. 1968 “Maximal recursive sequences with 3-valued recursive crosscorrelation function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IT-14 P.154-156 google
  • 16. Gold R. 1967 “Optimal binary sequences for spread spectrum multiplexing” [IEEE Trans. Inform. Theory] Vol.IT-13 P.619-621 google
  • 17. Kasami T. 1966 “Weight distribution formula for some class of cyclic codes” google
  • 18. Kasami T. 1969 “Weight distribution of Bose-Chaudhuri-Hocquenghem codes in Combinatorial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google
  • 19. No J.S., Kumar P.V. 1989 “A New Family of Binary Pseudorandom Sequences Having Optimal Periodic Correlation Properties and Large Linear Span” [IEEE Trans. Inform. Theory] Vol.35 P.371-379 google cross ref
  • 20. Key E.L. 1976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omplexity of non-linear binary sequence generator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IT-22 P.732-736 google
  • 21. Lidl R., Niederreiter H. 1997 “Finite fields” google
  • 22. Cho S.J., Yim J.M. 2011 “Analysis of binary sequences generated by GMW sequences and No sequenc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15 P.2181-2187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트레이스 함수에 의해 정의된 수열들
    트레이스 함수에 의해 정의된 수열들
  • [ 표 2. ]  의 선형스팬 및 발생빈도
    의 선형스팬 및 발생빈도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