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Nursery Active-wear Uniform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Nursery Active-wear Uniform
KEYWORD
nursery active-wear , character using children's folklore plays , internet active-wear uniform shopping mall
  • 1. 서 론

    저출산 사회에서 가족들의 관심은 자연히 자녀에게 집중되며 내 자식은 더 좋은 교육을 시키고 더 좋은 옷을 입히고 싶어 하는 경향이 만연해지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아동복의 고급화 현상을 유발하였으며 아동들이 교육기관에서 착용하는 단체복도 예외일 수는 없다.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양적, 질적 성장을 위한 국가 지원의 확대와 학부모의 지대한 관심 속에서 유아교육기관은 타 교육기관과의 차별화를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유아교육기관의 단체복은 아동들의 소속 유치원을 나타내는데 필요하며 타 교육기관과 차별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홍보 효과를 지닌 매체가 될 수 있으므로(Moon & Ham, 2011) 현재 아동복 시장의 트렌드를 반영한 차별화한 단체복의 개발은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인 차별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교육기관은 크게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구분되며 유치원에서 착용하는 단체복의 종류로는 통학복인 원복과 활동복, 악세사리가 있으며 규모가 큰 어린이집에서는 유치원과 같이 구분하여 사용하는 곳도 있으나 대부분의 어린이집에서는 간단한 티셔츠와 바지, 혹은 트레이닝복 형태의 활동복을 원복으로 겸하여 착용하고 있다. 활동복은 각종 야외 활동 및 체육 등 활발한 신체 활동 시에 착용하는 단체복으로 아동의 신체적 활동을 배려하여야 할 뿐 아니라 아동의 심리적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하며 원복을 대신하여 단체복의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소속 교육기관의 상징성과 소속감을 키울 수 있어야 하므로 어린이집 활동복의 역할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동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행해지는 각종 놀이지도를 통해 사회성을 기르고 특별한 체험을 하기도 하는데 아동 위주의 민속놀이는 아동들에게 우리나라 전통 문화를 체험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 이외에도 아동의 발달수준에 적합하면서도 아동발달 단계를 촉진 시킬 수 있는 교육적 특징으로 인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프로그램이나 놀이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동의 신체 활동시 착용하는 활동복에 아동민속 놀이를 접목시킨다면 아동들에게 정서적 함양과 더불어 교육적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고 여겨진다.

    현재 대부분의 어린이집에서 착용하는 활동복은 유니폼 업체에서 제안하는 트레이닝복 스타일에 어린이집 로고나 명칭 정도를 적용하고 있어 활동복 디자인의 독특함을 찾아 볼 수 없으며 어린이집 간의 차별성이나 어린이집을 상징하는 차별화된 디자인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단체복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이 원복 중심이며 활동복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어 유아의 놀이복에 관한 Lee and Park(2009)의 연구 정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어린이집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아동들에게 정서적, 신체적 교육 효과가 있는 아동 민속놀이를 활용하여 어린이집 활동복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어린이집 활동복의 개념과 유아교육기관 단체복 디자인의 선호 경향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아동 민속놀이의 개념, 활용과 친숙도 등에 관한 문헌 조사를 한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에 나타난 유아교육기관의 단체복 전문 회사에서 제안되고 있는 활동복의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파악한다. 셋째, 아동 민속놀이 문양을 활용한 활동복을 개발하여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일깨워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별화한 어린이집 단체복으로서의 활동복을 제안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어린이집 활동복

    2.1.1. 어린이집 활동복의 개념

    학령기전 아이들이 처음으로 또래들과 집단을 형성하고 사회성을 습득하는 곳이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이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인 영유아들의 보육과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영유아법」과「유아교육법」에 따르면 어린이집은 영유아의 보호와 교육, 보호자의 활동지원을 통한 가족복지증진을 제시하고 있으며, 유치원은 유아교육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운영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Choi(2011)의 조사에 의하면 어린이집은 수요자의 욕구에 따라 교육기능이 추가되고 있고 유치원은 종일제운영, 돌봄 교실 운영 등을 실시하며 기본적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두 기관이 서로의 장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각 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고 있어 서로의 성격이 비슷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유아들이 기관의 소속감과 함께 실외 활동 시 통제의 원활함, 그리고 아동들의 자유로운 신체적 활동 등을 위해 대부분이 단체복을 착용하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의 단체복으로는 원복, 활동복, 액세서리 등이 있으며 계절에 따라 하계와 동계로 구분되어 하계에는 동계에 비해 아이템의 수가 적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유치원에서는 등하원시에는 일반적으로 정장이나 세미정장 형태의 옷을 원복으로 착용하고 체육 등 신체적 활동을 자유로이 하기 위해서는 주로 트레이닝복 형태의 옷인 활동복을 착용한다. 유치원에 비해 소규모가 많은 어린이집에서는 간단한 티셔츠와 바지 형태의 옷이나 트레이닝복 형태의 단체복인 활동복이 원복의 역할을 겸하여 착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유치원에 비해 활동복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유아는 체형이 영아티를 벗어나 격렬한 신체적 활동과 주변환경에 대한 탐구로 정신적 발달이 두드러지는 시기이고, 인간개체에 있어 성장 발육이 아주 왕성한 시기이다. 신체의 형태 또한 성인에 비해 앞, 뒤가 두꺼운 체형으로 상반신이 뒤로 젖혀져 있으며 앞면은 배가 뒷면은 엉덩이가 돌출되어 있어 옆면에서 본 형상은 활모양을 하고 있다(三吉, 2000).

    만 3~6세에 속한 유아는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을 이루어지는 동시에 특히 운동능력의 발달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영아기는 기어 다니든가 걸음마를 배우던 것이 달리, 도약, 기어오르기, 미끄럼타기, 세발자전거 타기 등으로 발달하게 된다(Lee et al., 2009). 또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친구를 사귀는 시기로 활동성과 호기심이 많아진다(Her & Seo, 2001). 따라서 영아와는 달리 아동들의 특성에 적합한 의복이 요구되며 연령에 따른 운동기능 특성을 파악하여 움직임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의복을 설계해야 한다.

    어린이집 활동복은 원복의 상징성과 소속감을 키우는 역할과 함께 움직임이 많이 요구되는 놀이 및 교육 활동에 적합하여야 하며 유아의 심리적 안정감, 만족감, 자아형성 등에 긍정적 영향을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어린이집 활동복은 어린이집을 홍보할 수 있는 상징성을 잘 표현하고 아동의 신체적 활동에도 불편함이 없어야 하는 기능성도 갖추어야 하며 아동들의 정서적 함양에도 적절히 기여할 수 있는 의복이어야 한다.

    2.1.2. 유아교육기관 단체복의 디자인 선호 경향

    유아교육기관의 단체복에 대한 학부모, 아동, 교사들의 디자인 선호 경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Kim(1993), You(2008), Lee and Park(2009), Moon and Ham(2011), Ham and Moon(2012) 등의 연구들이 있다. Kim(1993), You(2008), Moon and Ham(2011), Ham and Moon(2012)의 연구들은 유치원의 통학복을 다루었으며 Lee and Park(2009)은 유아교육기관의 놀이복을 다루었다. 아동의 선호도를 직접 조사한 것은 Kim(1993)의 연구뿐으로 유아복은 성인복과 달리 구매 결정자는 부모이며 단체복의 관리자는 교사이므로 주로 부모와 교사의 선호도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Lee and Park(2009)의 연구에서 다루었던 놀이복은 활동복으로 볼 수 있으며, 유치원의 통학복에 관한 연구들은 유아교육기관의 단체복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형태를 제외한 색상, 문양, 소재, 스타일, 실루엣 등에 관한 선호 경향의 견해들은 활동복의 디자인에 참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선호 경향은 다음과 같다.

    아동은 색채에 대하여 관심이 많으며 자발적으로 민감한 반응을 보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의복 디자인을 하는 경우 색채를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단체복과 같은 형태적으로 단순한 경우에는 아동이 선호하는 색상 위주의 다양한 배색을 통하여 그 단순함을 극복하고 세련미를 추구할 수 있다. Lee and Park(2009)의 연구에서 유아교육기관 놀이복의 경우, 실내, 외복 모두 튀는 색 즉 원색톤을 선호하였으며 유치원복의 경우, Kim(1993)의 연구에서는 교사들은 파스텔톤을 가장 선호하였으나 Ham and Moon(2012)의 연구에서는 교사 및 학부모 모두 유치원복으로 원색톤을 선호하였으며 노란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유아교육기관 단체복의 배색 수에 대하여 Ham and Moon(2012)의 연구에서 교사 및 학부모 모두 두 가지색의 배색을 선호하였다.

    Moon and Ham(2011), Ham and Moon(2012)의 연구에서 현재 착용하고 있는 유치원복의 문양은 유치원 로고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교사가 가장 선호하는 문양 역시 유치원 로고였으며 소속 유치원을 유치원 로고로 확연하게 나타내는 홍보의 중요성을 매우 강조한 반면 학부모들은 유치원 로고보다는 체크무늬를 선호하였다. Lee and Park(2009)의 연구에서 놀이복의 문양으로 교사와 학부모는 캐릭터를 선호하였다. 캐릭터는 전달 내용이나 목적을 시각화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보다 창조적인 표현에 공감할 수 있는 상상의 세계를 열어 줄 수 있어야 하며(Lee, 2005) 어린이의 성장 발달 측면에서 볼 때 캐릭터는 창의적인 시각을 학습시키며 동시에 상상력을 높여주고 조형감각의 이해를 향상시켜 준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유아교육기관 단체복의 문양으로 캐릭터를 활용하는 것은 단체복 착용의 목적을 상징적, 창조적으로 표현하여 착용하는 아동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유아교육기관 단체복의 소재는 Moon and Ham(2011), Ham and Moon(2012)에 의하면 아동의 활동에 편하며 위생적이고 세탁하기 수월하며 오염이 안타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Lee and Park(2009)에 의하면 실내 놀이에서는 소매단>앞가슴>무릎>팔꿈치>엉덩이 순으로, 실외 놀이에서는 엉덩이>소매단, 무릎>바짓단 순으로 오염이 잘된다고 하였는데 오염이 많이 타는 부위에 오염이 잘 안 되는 소재를 사용하는 배려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유아교육기관의 단체복은 통학복, 놀이복 모두 상하 분리되는 투피스형태를 선호하였으며 Ham and Moon(2012) 연구에 의하면 현재 어린이집 활동복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후드달린 점퍼와 트레이닝바지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선호도가 높았다. 여밈의 형태에 대해서 Kim(1993)의 연구에서 교사들은 여밈이 없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Lee and Park(2009)의 놀이복 연구에서는 트임이 없거나 앞트임을 선호하였으며 여미는 방법으로는 지퍼와 벨크로를 선호하였으며 놀이복에는 주머니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유아교육기관 단체복에 관한 학부모, 교사, 아동들의 선호 경향 연구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어린이집 활동복의 색상은 아동의 단체복의 색상으로 선호도가 높았던 노란색을 사용하고 문양은 유아교육기관 로고, 캐릭터 등을 활용하여 단체복의 상징성과 아동의 창조성을 표현하며 소재는 아동의 활동에 편한 기능성을 배려하여야 하고 상하 분리되는 투피스 형태의 캐쥬얼하면서도 단정한 느낌으로 개발하여야 한다고 여겨진다.

       2.2. 아동 민속놀이

    2.2.1. 아동 민속놀이의 개념

    민속놀이는 흔히 민속오락, 민속경기, 민속유희, 민속예능, 전승놀이, 향토오락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사람들이 민족의 전통적인 기질에 맞게 창조하고 지능과 체력을 향상하며 정서적이고 낙천적인 생활을 위하여 여럿이 모여 재미있게 노는 것을 말한다. Kim(1996)은 민속놀이를 전통놀이라고도 하는데 전통놀이는 시대적 상황과 풍속에 영향을 받으며 놀이 주체들에 의해 끊임없이 수정, 보완되고 새롭게 만들어지나 전통놀이는 시대를 통틀어 남아 있기 때문에 그 놀이의 본질은 민속놀이에 그대로 담겨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민속놀이는 일정한 역사성을 가진 전통놀이가 계승 변모한 형태로 전통놀이는 민속놀이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아동민속놀이는 우리나라의 전통놀이가 계승 변모한 놀이들 중 아이들이 주체가 되는 민속놀이로서 협동심과 자율성, 엄격한 규칙성을 지닌 특징이 있으며 Kim(1996)은 성별에 관계없이 혼자서 놀 수 있는 놀이, 두 서너 명이 함께 노는 놀이, 여럿이 함께 노는 놀이로 분류하였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성장, 발달하고 세상을 이해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데, 아동 민속놀이는 아동의 정서적 발달과 체력단련 및 지능 발전에 유익한 놀이들로 구성되어 있어 아동의 발달수준에 적합하면서 발달 단계에 맞는 신체적, 지적, 정서적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특징을 지닌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기의 아동들은 자아 정체감의 발달에 있어 매우 민감하고 결정적인 시기(Seo et al., 2010)이며 모든 분야의 선호가 결정되는 시기(Lee et al., 2003)이므로 세계화의 환경에서 자기 문화를 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기부터 우리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소중히 여길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직접적인 교육과 체험을 통한 방법 외에도 전통문화를 가까이서 느끼고 접할 수 있도록 아동들이 어린이집에서 장시간 착용하는 활동복에 아동 민속놀이를 활용함으로써 전통문화에 대한 친근함을 좀 더 가깝게 느끼도록 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즉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체성 확립 뿐 아니라 신체적, 지적, 정서적 발달과 사회성을 함께 할 수 있는 훌륭한 매개체가 될 수 있는 아동 민속놀이를 어린이집 활동복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2.2. 아동 민속놀이의 친숙도 및 활용

    민속놀이의 친숙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Lee(2003), Liu(1999), Moon et al.(2009), Sin(2003) 등이 있다. Liu(1999)는 아동의 발달과 문화에 적절한 교육활동을 위한 민속놀이로 윷놀이, 연놀이, 제기놀이, 팽이놀이, 비석놀이, 풀각시놀이, 고누놀이, 투호놀이, 돌차기놀이, 구슬치기 등 10가지를 선정하였으며, Lee et al.(2003)은 유아의 지각-운동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아동이 즐길 수 있는 민속놀이로 윷놀이, 칠교놀이, 농악놀이, 구슬치기, 고무줄놀이, 투호놀이, 씨름, 굴렁쇠놀이 등 10가지를 선정하였다. Sin(2003)은 문화상품 개발을 위하여 34개의 민속놀이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였는데 공기놀이, 윷놀이, 널뛰기는 100%, 제기차기, 술래잡기, 줄다리기, 씨름, 강강술래, 연날리기 등은 97% 이상의 높은 인지도를 보였으며 자치기, 달맞이, 비석차기, 가마싸움, 그림자놀이, 땅재먹기 등도 52% 이상의 인지도를 보였다. Moon et al.(2009)은 육아 경험이 있는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아동복에 사용할 민속놀이 캐릭터를 개발하기 위하여 적합한 민속놀이를 조사하였으며 제기차기, 그네뛰기, 공기놀이, 연날리기, 농악놀이, 널뛰기, 윷놀이 등을 선정하였다. 이들 선행연구에서 높은 친숙도를 보인 민속놀이 중 달맞이를 제외한 모든 민속놀이가 아동 민속놀이였으며 제기차기와 윷놀이는 모든 선행연구에서, 공기놀이와 연날리기가 3편의 선행연구에서, 그리고 널뛰기와 씨름은 2편의 선행연구에서 인지도가 높고 친숙한 민속놀이로 나타났다.

    아동민속놀이는 한국적 이미지를 알리는 다양한 제품들에 활용되고 있으며 문화상품이나 액자 등의 인테리어 소품들이 주를 이룬다. 그 외 민속놀이를 캐릭터로 개발하여 티셔츠 등의 의류나 게임용 화투 등에 활용하고 있다.

    아동민속놀이는 아동의 발달수준에 적합하면서도 다음 단계의 발달을 촉진 시킬 수 있는 교육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Nam(2010)의 연구에 따르면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프로그램이나 놀이에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교사들의 전통놀이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유아교사들은 ‘유아전통놀이 교육활동 지도 자료’ 등을 참조한 교육과정에 놀이로서 적용시키고 있다. 사회적 유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이나 문제 행동 아동의 행동 수정을 위한 교육에도 상당한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어 유아교육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아동 민속놀이 중 아동들과 친숙도가 높고 어린이집 활동복에 어울리는 놀이를 선택하여 활동복에 활용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정서적 함양과 더불어 우리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 아니라 천편일률적인 트레이닝복 스타일에 비하여 교육적 의미를 지닌 차별화한 활동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3. 인터넷 쇼핑몰에 나타난 어린이집 활동복 현황 조사

       3.1. 조사 방법 및 절차

    대부분의 어린이집은 영유아교육기관 단체복 전문 회사에서 제안하고 있는 디자인 중에서 어린이집을 상징하는 로고나 문양 정도를 바꾸어서 활동복을 주문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어린이집 활동복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6월 2주간 국내 포털사이트 중 다음, 네이버, 구글에서 유치원복, 어린이원복, 유치원 활동복, 어린이집 활동복으로 검색하였다. 이에 해당하는 인터넷 쇼핑몰 업체 중에서 중복되거나 조사에 부적합한 업체를 제외하고 원복과 활동복을 분류하여 판매하고 있는 총 34개 업체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34개 업체 중에서 디자인 보유수가 많은 업체를 대상으로 전화 확인을 통해 주문 및 판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위 6개 업체(I, MK, IT, MI, AK, S)를 최종 조사대상 업체로 선정하였다.

    어린이집 활동복은 동복과 하복으로 제안되고 있었으나 동복은 하복에 비해 아이템의 수가 많고 업체가 제안하는 디자인의 수도 많아서 활동복의 현황을 조사하기 적합하여 동복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6개 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동복 활동복의 신상품, 인기판매 상품을 중심으로 상, 하의로 구성된 100개 제품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100개의 제품에 대하여 가격 표시, 사이즈 표시, 소재 정보 제공 등 일반적인 사항과 상의와 하의의 형태, 색상, 문양 등 활동복의 세부사항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18.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3.2. 조사결과 및 분석

    3.2.1. 활동복의 일반적 사항

    Table 1은 동복 활동복의 일반적 사항인 가격 표시와 사이즈 표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동복 활동복의 가격 표시가 있는 제품은 전체 100개 중 67개였으며 나머지 33개는 가격 표시가 없이 전화 상담만 가능하였다. 동복 활동복 상하의의 가격은 5만원대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4만원대, 6만원대 순으로 나타났다. 7만원 이상의 고가 활동복 5개 중에는 특수소재인 고어텍스를 사용한 점퍼도 2개 있었다. 동복 활동복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제공은 전체 100개 제품 중 90개의 제품에는 사이즈가 표시되어 있었고 나머지 10개는 표시되어 있지 않았다. 사이즈 표시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90개의 제품 중에서 사이즈의 개수가 5개인 것이 70%였으며 6개인 것은 23.3%, 7개인 것은 6.7%였다. 사이즈는 작은 것은 2세부터 적용하는 것도 있었으나 대부분 3세부터 7세까지 전개하고 있었다. 사이즈의 세부사항은 7(4세), 9(5세), 11(6세), 13(7세), 15(8세 또는 통통7세)로 표기하거나 S(3세), M(4세), L(5세), XL(6세), XXL(7세), XXXL(8세)로 표기하기도 하고 90, 100,

    [Table 1.] Declaration of value and size

    label

    Declaration of value and size

    110, 120, 130, 140으로 표기하기도 하며 3, 5, 7, 9, 11, 13, 15로 표기하고 있었다. 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사이즈 표기와 사이즈 규격을 각각 적용하고 있어 통일된 치수 개념이 부족하며 이로 인해 사이즈 선택 시 어려움이 따르므로 어떤 연령층보다 의복 적합성이 요구되는 유아를 위한 표준화된 치수체계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동복 활동복의 소재에 관한 정보는 전체 100개 제품 중 13개만 표시되어 있었고 나머지는 표시되어 있지 않았으며 소재 표시가 있어도 면 100% 정도의 간단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업체가 소재의 세부적인 혼용률이나 세탁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생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2.2. 활동복의 디자인 특성

    3.2.2.1. 활동복의 형태

    동복 활동복 상의로서 조사한 100개 제품 중 티셔츠 형태는

    [Table 2.] Front opening and neckline style of active-wear top

    label

    Front opening and neckline style of active-wear top

    70개, 점퍼 형태는 30개였으며, Table 2는 동복 활동복의 상의 종류별로 앞여밈과 칼라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이다.

    티셔츠와 점퍼 간에는 앞여밈 형태에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셔츠는 앞여밈의 형태가 여밈 없음(70%), 반오픈(30%)이며 풀오픈은 없는 반면, 점퍼는 모두 풀오픈으로 나타났다.

    티셔츠와 점퍼 간에는 여밈 종류에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밈 종류는 티셔츠는 지퍼(76.2%), 단추(23.8%)로, 점퍼는 지퍼(93.3%), 단추(6.7%)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여밈 종류는 지퍼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반지퍼, 반단추, 전체단추 순으로 나타났다.

    티셔츠와 점퍼 간에는 칼라 형태에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셔츠의 칼라 형태는 칼라가 없는 네크라인 형태인 것이 라운드 네크라인(64.3%), 브이 네크라인(4.3%)이며 폴로셔츠칼라(11.4%), 스탠드칼라(10.0%), 후드(10%)순으로 형태가 다양하였다. 이에 비해 점퍼의 칼라 형태는 스탠드칼라(60%), 후드(40%)의 두 종류뿐으로 단순하였다.

    활동복 상의의 소매 형태는 전체 70%가 셋인 슬리브이고 나머지

    [Table 3.] Color of active-wear

    label

    Color of active-wear

    30%는 라글란 슬리브였으며 소매 형태는 상의의 형태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활동복의 상의는 티셔츠와 점퍼의 두 종류가 있으며 종류에 따라 앞여밈과 네크라인의 디자인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티셔츠의 형태는 라운드 네크라인으로 여밈이 없는 형태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점퍼의 형태는 지퍼의 풀오픈으로 후드 혹은 스탠드칼라의 트레이닝 점퍼 또는 야구 점퍼의 형태가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복 활동복의 하의 형태는 조사한 100개 제품의 바지 모두 트레이닝 바지로 허리를 고무줄로 처리하였고 바지 옆선에 배색선이 1줄 또는 2줄 들어있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바지의 디자인은 매우 단순하고 다양성이 부족하여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겨졌다.

    [Table 4.] Expression type and position of symbol assort of active-wear

    label

    Expression type and position of symbol assort of active-wear

    3.2.2.2. 활동복의 색상 및 문양

    Table 3은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활동복 색상의 수, 배색 수, 색상톤, 색상 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소비자가 선택 할 수 있는 색상 수로는 상의와 하의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의 경우 한 가지(70%)가 가장 많았고 두 가지(27%), 세 가지(3%) 순이었다. 하의 또한 한 가지(76%)가 가장 많았고 두 가지는 24%이며 상의와 달리 하의는 세 가지의 선택 색상은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활동복 제작 업체에서는 선택할 수 있는 색상의 수를 많이 제작하지 않으며 상의와 하의의 선택 색상 수도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색 수는 상의의 경우 두 가지가 55%로 가장 많았고 세가지(36%), 네 가지(7%) 순이며 한 가지는 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하의의 경우는 배색의 수가 두 가지(53%), 세 가지(23%), 한 가지(21%)의 순으로 나타나 상의에 비해 한 가지의 색상만을 사용한 비율이 높았다.

    색상 톤은 상의의 경우 파스텔톤이 4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원색톤은 36%, 어두운 톤은 16%였으나 하의에서는 어두운톤이 46%, 파스텔톤 30%, 원색톤 24%였다. 상의는 파스텔톤과 원색톤이 주를 이루어 어린이를 위한 활동복으로 화사하고 생동감 있는 색상 톤 위주로 사용하고 하의는 어두운 톤을 사용하여 안정감 있게 디자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 이상 사용 빈도를 보인 색상은 상의의 경우는 노란색(27%)>흰색(17%)>파랑색(13%)>남색(12%),분홍색(12%)>회색(11%)이었으며 하의의 경우는 회색(36%)>남색(29%)>노란색(17%)>갈색(14%) 순이었다. 10%이상 사용한 색상은 상의와 하의 모두 노란색, 남색, 회색이지만 사용한 비율은 달라 상의는 하의 보다 밝은 색인 노란색의 사용 비율이 높고 하의는 어두운 톤의 회색, 남색의 사용 비율이 높았다.

    Table 4는 활동복의 문양 종류별로 표현 방법과 표현 위치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조사한 상, 하의 활동복 100벌에서 상의는 100개 모두 문양을 사용하였고 이 중 2개 이상 중복 사용한 것도 16개나 되어 상의는 총 125개의 문양을 사용하였다. 하의는 100개 중 19개만 문양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에서 5개는 중복 사용하여 총 24개의 문양을 사용하였고 하의에 비해 상의의 문양 사용 빈도가 훨씬 높아 문양은 상의를 중심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한 문양은 유아교육기관의 로고 68개와 유아 교유기관명 33개로 둘을 합하면 101개로 전체 149개 중 67.8%를 차지하여 매우 높은 사용 빈도를 나타내었다. 그 외는 문양들의 사용 비율이 10%이하로 동물(9.4%), 체크(8.1%), 숫자(5.4%) 등 낮은 편이었지만 이 중에서는 비교적 사용 비율이 높은 문양은 동물(9.4%)이며 동물 문양 중에서는 곰돌이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고 코끼리, 고양이, 토끼 등도 사용하였다. 기타 문양 중에는 나염으로 4색 네모 문양, 왕관과 공주, 타원 등이 있었고 자수는 해님, 국기 문양 등이 있었다. 유치원의 통학복 연구에서 교사들이 유치원을 상징하는 로고의 사용을 매우 선호하였는데(Ham & Moon, 2012) 활동복에서도 유아교육기관의 로고나 유아교육기관명으로 소속을 확연하게 나타내는 홍보효과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양의 표현 방법은 자수(47%)>나염(31.5%)>와팬(21.5%)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수는 대부분 유아교육기관의 로고와 유아교육기관명을 표현하는데 사용하였으며, 나염은 유아교육기관 명과 동물을 표현하는데 많이 사용하였고, 와팬을 사용한 경우 중 한 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아교육기관의 로고를 표현하는데 사용하였다.

    문양의 표현 위치는 상의의 경우는 가슴 왼쪽(52.8%)>가슴 중앙(15.2%)>가슴 오른쪽(8.8%)>배 중앙(8.0%)>소매(4.0%)>어깨(3.2%)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 전체적으로 곰돌이를 작게 나염 한 것 2개, 진동둘레에 유아교육기관명을 나염 한 것 1개, 옆선에 유아교육기관명을 자수한 것 1개, 후드 단 중앙에 유아교육기관의 로고를 자수한 것 1개, 왼쪽 옆선에 유아교육기관의 로고 자수한 것 1개 등이었다. 상의의 경우는 다양한 위치에 문양이 표현되고 있었으나 문양 표현 위치 중에서 매우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은 상의의 왼쪽 가슴에 유아교육기관의 로고(75.4%)를 표현한 것으로 이는 옛 부터 소속기관의 상징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위치로 익숙하여 현재에도 단체복 또는 유니폼에 상징성과 장식성을 표현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의의 경우는 왼쪽 주머니(45.8%)>오른쪽 허리(4.2%) 순으로 문양을 표현하였고 기타 유아교육기관명을 엉덩이선 위쪽, 옆선, 무릎선 위쪽에 각각 2개, 1개, 1개 나염으로 표현하였다. 상의에는 다양한 문양을 여러 위치에 표현하였으나 하의에는 대부분 문양을 사용하지 않거나 문양이 있는 경우도 왼쪽 주머니부분이나 오른쪽 허리부분에 유아교육기관명 또는 유아교육 기관의 로고를 작게 표현하고 있어 아동의 활동성이나 원가 절감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상의가 하의에 비해 문양 사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에서 살펴 본 인터넷 쇼핑몰의 영유아교육기관 단체복 전문 회사에서 제안하고 있는 동복 활동복은 소재에 관한 정보는 대부분 표기하지 않고 사이즈 표기가 업체마다 다른 사이즈 규격을 적용하고 있어 정확한 정보 제공 및 표준화된 치수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동복 활동복의 형태는 상의는 티셔츠와 점퍼, 하의는 허리를 고무줄로 처리한 트레이닝 바지로 디자인이 매우 단순하고 다양성이 부족할 뿐 아니라 아동복의 트렌드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색상은 아동의 선호 색상인 노란색의 사용 비율이 높았고 상의는 밝고 부드러운 파스텔톤을 주로 사용하고 하의는 안정감 있게 어두운 톤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 단체복의 소비자인 교사, 학부모, 아동들의 선호 경향을 반영하고 있었다. 문양으로는 유아교육 기관을 나타내는 유아교육기관의 로고와 기관명이 주를 이루었고 사용 위치는 주로 왼쪽 가슴으로 소속을 나타내는 효과적인 위치이기는 하나 단조로웠으므로 아동들이 활동복을 착용하는 교육적 활동의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유아교육기관을 상징하는 문양을 개발하며 사용 위치를 다양하게 하는 등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기존 업체에서 제안하고 있는 트레이닝복 스타일 일색에서 벗어나 활동복의 기능인 활동성과 캐쥬얼함을 강조하거나 활동복이 통학복의 역할도 겸할 수 있는 등 컨셉에 따른 다양한 스타일의 활동복을 제안함으로서 유아교육기관의 활동복으로서 아동의 활동성과 교육적 의미까지 고려한 활동복의 개발이 필요하다.

    4. 어린이집 활동복 개발

       4.1. 어린이집 활동복 기획 및 개발

    인터넷 쇼핑몰의 영유아교육기관 단체복 전문 회사의 동복 활동복 현황 조사에서 나타난 기존 제품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유아교육기관 단체복에 관한 교사, 학부모, 아동들의 선호경향을 반영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어린이집 활동복을 개발 하였다.

    어린이집 활동복은 남녀 구분 없이 3가지 각기 다른 컨셉에 따라 개발하였다. 어린이집의 활동복은 아동의 신체 활동을 편하게 하면서 원복을 대신하여 착용하는 옷이므로 활동복 I은 원래 목적에 맞게 활동성이 좋은 트레이닝복 스타일로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편성물 트레이닝 스타일 활동복과 차별화하고 원복으로도 겸할 수 있도록 데님을 사용하여 캐쥬얼함을 살렸다. 활동복 II는 어린이집 활동복의 원복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여 세미정장 스타일로 개발하였다. 활동복 III은 활동성을 더욱 고려하여 스포츠웨어의 스포티함을 강조하였다.

    활동복의 색상은 유아교육기간 단체복 색상으로 선호도가 높았고 영유아교육기관 단체복 전문회사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였던 노란색을 주 색상으로 정하고 컨셉에 따라 색상톤을 다르게 하였다. 활동복 I은 앞쪽은 하늘색 데님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뒤쪽은 노란색의 편성물을 사용하여 배색하였고 소매중심선과 바지의 옆선에 빨강색으로 라인을 덧대었다. 활동복 II는 노란색을 파스텔톤으로 사용하였고 배색인 파란색 역시 파스텔톤으로 사용하여 환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강조하였다. 활동복 III은 노란색을 원색톤으로 사용하고 배색인 오렌지색 역시 원색톤으로 하여 스포티함을 강조하였다.

    활동복 I의 형태는 현재 어린이집에서 많이 착용하고 있는 트레이닝복 스타일인 풀오픈 지퍼의 앞여밈인 상의 점퍼와 고무허리밴드의 하의 바지로 구성하였다. 활동성이 좋은 노란색의 편성물을 주 소재로 사용하였고 캐쥬얼함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데님 소재를 상, 하의의 앞부분에 사용하였다. 활동복 II는 남아용은 컨버터벌 칼라, 여아용은 플랫 칼라의 사파리형 점퍼 상의와 고무허리밴드의 하의로 구성하였으며 우븐을 주소재로 하고 활동을 고려하여 상의 옆 부분, 소매의 아래 부분과 바지의 뒷부분에 편성물을 사용하였다. 바지의 활동성을 위하여 무릎부분에 턱을 잡아 여유를 주었고 바지부리를 이중으로 처리하여 내부에는 립을 사용하여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활동복 III의 형태도 풀오픈 지퍼의 앞여밈인 상의점퍼와 고무허리밴드의 하의 바지로 구성하였으며 소재는 활동성이 좋은 편성물로 하였고 여러 개의 절개선으로 노란색과 오렌지색의 두 가지 원색의 배색에 활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스포츠웨어의 기능적이고 슬림한 형태를 돋보이도록 하였다.

    유아교육기관 단체복의 상징성의 효과가 큰 문양으로 아동 민속놀이를 활용하였으며 아동 민속놀이의 종류는 선행연구들에서 선호도와 인지도가 높고 남녀 구별 없이 놀이 가능한 연날리기를 선택하였다. 유아는 동물 캐릭터를 선호하였고(Ko & Kim, 2012) 유아교육기관 단체복 전문업체의 활동복 제품 현황 조사에서 동물캐릭터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고 유아들에게 친숙한 동물인 곰을 캐릭터화 하였다. Fig. 1은 활동복의 문양으로 남녀 곰돌이가 연날리기를 하는 모습을 표현(Um et al., 2012)하였으며 어린이집명이나 로고를 함께 사용하면 어린이집을 나타내는 상징성과 홍보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다. 또한 아동 민속놀이는 그 종류가 다양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필요에 따라 그 종류를 달리하여 문양으로 개발 가능하므로

    어린이집에 따라 활용하는 아동 민속놀이 종류를 달리하여 서로 차별화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4.2. 평가

    4.2.1. 평가 방법 및 절차

    3가지 컨셉에 의하여 개발한 활동복은 패션전공자, 활동복에 관심이 많은 학부모 및 교사 각각 2명 총 6명에 의하여 심층토론 방식으로 평가하여 수정하였으며 Table 5와 같이 정리하였다.

    [Table 5.] Nursery active-wear design

    label

    Nursery active-wear design

    [Table 6.] Evaluation results

    label

    Evaluation results

    Table 5의 활동복에 대한 평가는 어린이집 교사 11명, 어린이집 아동의 학부모 11명, 대학 강사 이상의 패션전공자 11명으로 구성한 전문가 집단 33명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개발한 활동복 3벌은 컨셉, 도식화, 색상 등을 A3 크기로 각각 제시하였다. 개발한 활동복에 대한 평가 내용은 컨셉과의 적합, 상의 형태, 하의 형태, 색상, 여밈 방법, 캐릭터의 위치, 캐릭터와의 조화, 활동복으로서의 적합과 전체적인 평가 등이며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였으며 보완 및 수정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이 있다면 문항별로 기재하도록 하였다.

    평가되어진 자료들은 3가지 활동복 별로 평균을 내어 분석하였으며 평가 항목별로 3가지 활동복 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4.2.2. 평가 결과

    Table 6은 3가지 활동복에 대하여 어린이집 교사, 어린이집 아동의 학부모, 패션전공자 총 33명의 전문가 집단이 실시한 평가 결과이다.

    활동복의 원 목적에 맞게 활동성을 강조하고 캐쥬얼하게 디자인한

    활동복은 4.23, 스포티하게 디자인한 활동복 III은 4.19로 평가되었으며 원복의 역할을 강조한 세미정장 스타일로 디자인한 활동복 II는 다른 디자인들에 비해 약간 낮은 3.92로 평가받았다. 활동복 I은 모든 평가 항목에서 우수하다로 평가되었으나 색상에 대한 평가가 다른 평가 항목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활동복의 앞부분에서 데님 소재가 차지하는 푸른색 부분이 넓고 노란색 부분이 적어 색상이 다소 어두워 보인다는 의견들이 많아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여겨졌다. 활동복 II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나머지 두 디자인에 비해 약간 낮은 평가를 받아 평가 항목 평균이 ‘우수하다’에 조금 못 미치는 3.92로 평가 받았다. 다른 항목들에 비해 캐릭터와의 조화, 캐릭터의 위치에 대한 평가는 4이상으로 높아 활동복과 캐릭터가 조화롭게 표현되었다고 여겨진다. 활동복 디자인 II는 원복의 역할을 강조한 세미정장 스타일로 평가자들이 익히 알고 있던 활동복과 달라서 활동복으로 원복을 대신하는 것을 좋다고 여기는 평가자와 활동복 본연의 역할을 중시하는 평가자 간의 평가가 다소 엇갈렸던 것으로 여겨졌다. 활동복 III은 스포티함을 강조한 컨셉이 잘 표현되었고 전체적으로 모든 평가 항목에서 우수하다로 평가되었으나 다른 평가 항목에 비해 하의 형태에 대한 평가가 약간 낮은 4.03으로 평가 받았으며 이는 평가자들의 의견 중에 바지부리 부분이 다소 좁고 숨은 지퍼가 불편하다는 지적들이 많았었듯이 좁은 바지부리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여겨졌다.

       4.3. 어린이집 활동복 제작

    세 가지 활동복에 대한 33명 전문가 집단의 평가 결과에 따라 수정을 요하는 부분을 보완하여 Fig. 2와 같이 실물 제작하였다. 활동복 I은 앞몸판 부분의 데님 소재가 차지하는 부분을 줄이고 앞옆판의 노란색 부분을 더 크게 하여 노란색의 밝은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활동복 III은 하의의 바지 부분 옆선에 숨은 지퍼를 달지 않고 바지 부리 부분의 너비를 넓혀 아동의 활동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활동복 제작을 위하여 필요한 신체 치수는 사이즈코리아(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5)의 5세 여아의 신체치수를 사용하였고 활동복 제작에 사용한 원형은 Her and Seo(2001)를 사용하였으며 디자인에 따라 적합한 여유분을 주어 패턴을 설계하였다.

    5. 결론 및 제언

    유아교육기관 단체복 전문 회사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안하고 있는 활동복들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동들에게 정서적, 신체적 교육 효과가 있는 아동 민속놀이를 상징성 높은 문양으로 활용한 어린이집 활동복을 개발하였다.

    1. 규모가 작은 대부분의 어린이집에서는 활동복이 원복의 역할을 겸하여 착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단체복으로서 활동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어린이집 활동복은 유아교육기관 로고 등을 활용하여 단체복으로서 어린이집을 홍보할 수 있는 상징성을 잘 표현하고 기능성 소재로 아동의 신체적 활동에도 불편함이 없어야 하는 기능성도 갖추어야 하며 아동의 선호 색상이나 캐릭터 활용으로 아동들의 정서적 함양에도 적절히 기여할 수 있는 의복이어야 한다.

    2. 아동민속놀이는 아동의 발달수준에 적합하면서도 다음 단계의 발달을 촉진 시킬 수 있는 교육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유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이나 문제 행동 아동의 행동수정을 위한 교육에도 상당한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어 유아교육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아동 민속놀이 중 아동들과 친숙도가 높고 어린이집 활동복에 어울리는 활동적인 놀이를 선택하여 활동복에 활용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정서적 함양과 더불어 우리 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3. 인터넷 쇼핑몰의 영유아교육기관 단체복 전문업체에서 제안하고 있는 동복 활동복은 소재에 관한 정보는 대부분 표기하지 않았고 사이즈 표기가 업체마다 다른 사이즈 규격을 적용하고 있었다. 동복 활동복의 상의는 티셔츠와 점퍼의 두 종류가 있으며 티셔츠는 라운드 네크라인으로 여밈이 없는 형태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점퍼는 지퍼의 풀오픈으로 후드 혹은 스탠드칼라의 트레이닝 점퍼 또는 야구점퍼의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하의 형태는 조사한 모두가 고무줄 허리의 트레이닝 바지로 옆선에 배색선이 1줄 또는 2줄 들어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디자인은 매우 단순하고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색상의 수는 상, 하의 모두 한 가지가 가장 많아 업체들이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하지 않고 있었다. 배색 수는 상, 하의 모두 두 가지가 가장 많았으나 상의에 비해 하의는 한 가지의 색상만을 사용한 비율이 높았다. 상의는 노란색의 사용 비율이 높았으며 파스텔톤과 원색톤이 주를 이루어 화사하고 생동감 있게 디자인하였고 하의는 회색, 남색의 사용 비율이 높았으며 어두운 톤을 사용하여 안정감 있게 디자인하였다. 문양은 상의를 중심으로 표현하였으며 위치로는 왼쪽 가슴이 가장 많았고 가장 많이 사용한 문양은 유아교육기관의 로고와 기관명이었으며 표현 방법은 자수>나염>와팬의 순이었다.

    4. 어린이집 활동복은 남녀 구분 없이 3가지 각기 다른 컨셉에 따라 개발하였으며 색상은 노란색을 주 색상으로 정하고 컨셉에 따라 색상톤을 다르게 하였다. 활동복 I은 원래 목적에 맞게 활동성이 좋은 트레이닝복 스타일로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편성물 트레이닝 스타일 활동복과 차별화하고 원복으로도 겸할 수 있도록 데님을 사용하여 캐쥬얼함을 살렸다. 트레이닝복 스타일인 풀오픈 상의 점퍼와 하의 바지로 구성하였으며 앞쪽은 하늘색의 데님을 주로 사용하였고 뒤쪽은 노란색의 편성물을 원색톤으로 사용하여 배색하였다. 활동복 II는 어린이집 활동복의 원복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여 세미정장 스타일로 개발하였다. 남아용으로는 컨버터벌 칼라, 여아용으로는 플랫 칼라를 단사파리형 점퍼 상의와 하의 바지로 구성하였으며 노란색과 파란색을 파스텔톤으로 하여 환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강조하였고 우븐을 주 소재로 하고 활동성이 필요한 부분에 편성물로 배색하였다. 활동복 III은 활동성을 더욱 고려하여 스포츠웨어의 스포티함을 강조하였다. 풀오픈 상의 점퍼와 하의 바지로 구성하였으며 노란색과 오렌지색의 두 가지 원색을 여러 개의 절개선을 사용하여 배색하였다.

    아동민속놀이는 상징성이 높은 문양으로 활용하였으며 아동들이 선호하는 동물인 남녀 곰돌이가 연날리기를 하고 있는 모습으로 캐릭터화하여 어린이집명이나 로고와 함께 사용하였다.

    개발한 세 가지 활동복은 어린이집 교사, 학부모, 패션전문가로 구성한 전문가 집단 33명에 의하여 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실물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어린 아동들의 정서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아동민속놀이를 문양으로 활용하여 어린이집 활동복을 세 가지 컨셉으로 개발함으로써 활동복의 활용 영역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적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집에서 활동복을 채택할 때 학부모, 유아교육기관 및 유아교육기관 단체복 업체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 연령을 확대하여 학령기 및 청소년기의 정서적 함양과 우리 문화의 정체성 확립의 교육 효과를 위하여 학령기 및 청소년기 학생들의 교복, 체육복과 같은 단체복에 우리 전통적 요소를 활용하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Choi E. H. (2011) Children's house and kindergarten operating system comparison study. google
  • 2. Her I. A., Seo Y. H. (2001) Toddler wear. google
  • 3. Kim J. M. (1996) Children folk play 100. google
  • 4. Kim S. H. (1993) A study on the uniform for the children in kindergarten. google
  • 5. Ko. Y. J., Kim. M. J. (2012) Animation character preferen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children.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2 P.475-476 google
  • 6. (2005) The 5the size Korea. google
  • 7. Lee H. J. (2005) Animal character design for children's wear. google
  • 8. Lee Y. H., Jung I. S., You J. Y., Jung H. J. (2003) Surve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reality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20 P.135-154 google
  • 9. Lee Y., Lee J. H., Kim O. G., Lee M. R., Cho S. Y., Lee J. R., Yu Y. M., Lee J. S., Shin H. W., Rha J. H., Kim S. Y., Jung J. N. (2009)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google
  • 10. Lee Y. H., Park H. W. (2009) Design development for toddler's playwea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3 P.1227-1240 google cross ref
  • 11. Liu K. H. (1999) Teaching traditional games for toddlers google
  • 12. Moon K. H., Moon M. O., Ham Y. J. (2009) Chidren's wear designs applying folk game character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Vol.12 P.6-14 google
  • 13. Moon M. O., Ham Y. J. (2011) A study on the preferences of the kindergarten uniform design for the par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3 P.686-694 google cross ref
  • 14. Moon M. O., Ham Y. J. (2012) Improvement of the kindergarten uniform design based on the preferences of teachers and par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Trend] Vol.35 P.51-63 google
  • 15. Um J. O., Moon M. O., Lee J. S. (2012) Korean character development utilizing folk pla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Fall Conference] P.120-122 google
  • 16. Nam J. H. (2010) Study of the perception and knowledge of childcare teachers about traditional Korean plays and games. google
  • 17. Seo Y. H., Byun S. J., Choi G. Y. (2010) An analysis activiti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5 P.129-149 google
  • 18. Sin J. H. (2003)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ulture's product that is for active traditional play. google
  • 19. You K. S. (2008) Survey on attitude and preference of the uniform in preschool students' par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7 P.345-353 google cross ref
  • 20. (2000) 服裝造形學 理論編 [Construction of Clothing, Theory].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eclaration of value and size
    Declaration of value and size
  • [ Table 2. ]  Front opening and neckline style of active-wear top
    Front opening and neckline style of active-wear top
  • [ Table 3. ]  Color of active-wear
    Color of active-wear
  • [ Table 4. ]  Expression type and position of symbol assort of active-wear
    Expression type and position of symbol assort of active-wear
  • [ Fig. 1. ]  Pattern using children's folklore's play.
    Pattern using children's folklore's play.
  • [ Table 5. ]  Nursery active-wear design
    Nursery active-wear design
  • [ Table 6. ]  Evaluation results
    Evaluation results
  • [ Fig. 2. ]  Nursery active-wear.
    Nursery active-wear.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