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the Allegory in LadyGaGa's Fashion Style(Part 2) - Focused on Music Video - LadyGaGa의 패션스타일에 나타난 알레고리 연구(제2보) -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on the Allegory in LadyGaGa's Fashion Style(Part 2) - Focused on Music Video -
KEYWORD
Allegory , Ladygaga’s fashion style , Cyborg image , hybridization
  • 1. 서 론

    현대사회에서 대중문화는 생산자와 수용자의 집단 특성과 사회문화적 배경, 성격 등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고 다양한 해석과 창조적 수용이 가능한 포스트 모던적 다의성을 내포 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대중문화 텍스트에 대한 해석이 활발(Kim, 1995) 해지면서 대중문화 내에 숨겨진 수용자와 생산 자간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밝혀내고자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문화생산자인 스타와 소비자인 팬은 선택적 수용이 가능한 경제적 관계이며 스타의 패션은 그 시대의 트렌드와 문화를 대변하는 상징적 기호이자 문화자본으로 로 작용하며 이는 본 연구의 주제인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에 대한 알레고리 연구와도 개연성을 지닌다 할 수 있다. 알레고리는 ‘다르게 말하기’라는 의미의 그리스 동사 ‘allegorein'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주로 추상적 사유나 개념을 구 체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된다. 미국의 비평가 크레이그 오웬스 (Craig Owens)는 현대사회의 포스트모던적 징후를 알레고리로 파악하고 벤야민의 알레고리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예술을 분석하는 예술비평의 방법론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알레고리를 통해 현대 예술 작품에 내재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현대예술이 알레고리적 기법을 통해 존재의 불완전성과 총체성에 대한 허구를 드러낸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의미와 해석이 요구되는 현대패션의 내재된 미적가치와 의미를 읽기위해 크레이그 오웬스의 알레고리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1보에서는 대중 문화적 스타일 아이콘으로서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에 대한 전반적인 알레고리적 표현과 미적가치를 파악하였으며 후속연구인 제2보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레이디가가의 뮤직비디오에 표현된 패션뷰티스타일의 조형적 특성과 알레고리적 패션스타일의

    [Table 1.] LadyGaga's music video and an analysis table

    label

    LadyGaga's music video and an analysis table

    내재적 가치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정성적 방법으로 조형적 특성에 따른 함축적 메시지를 다루었으며 미학적 관점에서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범위는 2008년 이후부터 2011년 12월 현재까지 발표된 레이디 가가의 Original Music Video 15편(Table 1)을 중심으로 하였 으며 패션 및 뷰티분야 실무경력 5년 이상, 석사학력이상인 전 문가 7인의 검증을 거쳐 수렴된 의견을 반영하여 연구에 활용 하였다. 뮤직비디오로 선정한 이유는 상업적 성공을 목적으로 하는 동시에 신규앨범의 음악적 컨셉을 가장 대표하는 작품이 며 공연과 퍼포먼스에서는 뮤직비디오 컨셉과 유사하거나 일관 된 스타일로 전개되므로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뮤직비디오에서 주인공인 레이디가가의 착장스타일은 최소 3벌 에서 10벌까지 나타났다.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분석은 패션과 헤어, 메이컵, 네일아트 스타일로 분류하였으며 패 션스타일은 색상, 소재, 아이템, 스타일, 디자이너 및 스타일리스트로 분류하였고, 헤어와 메이컵, 네일아트는 색상과 텍스춰, 스타일로 분류하였다.

    연구내용은 레이디가가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패션뷰티스타 일을 크레이그 오웬스의 알레고리 이론인 차용, 장소특수성, 축적의 전략, 장르간의 혼합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레이디가가 패션뷰티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에 따른 알레고리적 표현에 내재된 미적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크레이그 오웬스의 알레고리 고찰

    알레고리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60 년경 필로데모스 폰 가다라(Philodemos von Gadara)가 ‘어떤 사물을 말하면서 또 다른 의미를 읽어 내기 위한 수사학적 어법’을 지칭하기 위해서였다(Lim, 2009). 알레고리는 ‘다르게 말 하기’라는 의미의 그리스 동사 ‘allegorein’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주로 추상적 사유나 개념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된다. 그 리스 철학과 신학에 기원을 둔 알레고리는 현대사회를 이해하 는 형이상학적 존재론적 측면에서 재인식되어왔다. 알레고리를 폄하하는 중세의 가치하락시기를 겪은 후 이후 등장한 벤야민 의 이론은 알레고리를 예술적 미적현상을 읽어내는 중요한 매 개체로 복권시키는데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현대는 보편성보 다는 개별성이 지배하는 사회이므로 분열된 사회의 정신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징이 아니라 알레고리의 시각이 필요하다 고 주장한 벤야민과 '다르게 말하기'라는 알레고리의 수사적 의미를 해체론적으로 재구성하여 언어의 본질적이며 비결정적인 수사성을 텍스트 읽기에 적용한 폴 드 만에 의해 현대예술이 알레고리를 통해 다의적 해석이 가능한 기호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게 되었다.

    미국의 비평가 크레이그 오웬스는 거대한 자본주의의 틀 안에서 대량소비사회로 넘어오면서 모더니즘의 통일성과 전체성이 붕괴되고, 순수한 미적 경험이 무너지면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포스트 모던적 징후를 파악하고, 이러한 특징들이 예술에 있어서 분열된 주체와 중심의 해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특징들의 속성을 분석하기위해 벤야민의 알레고리 이론을 연구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알레고리 의미를 확장시켜 현대예술을 분석하는 예술비평의 방법론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알레고리를 단순하게 덧붙여진 보충물로서 보는 것 이 아니라 알레고리를 통해 현대 예술 작품에 내재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현대예술이 알레고리적 기법을 통해 존재의 불완전성과 총체성에 대한 허구를 드러낸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크레이그 오웬스가 현대미술에 적용시킨 알레고리의 이론을 포스트모던적 아티스트인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에 적용하였으며 차용, 장소특수성, 축적의 전략, 장르간의 혼합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내용은 3장 레이디가가 패션스타일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표현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2.2. 뮤직비디오와 스타의 패션이미지

    대중문화 상품으로서 사회문화사적인 분석대상이 되는 뮤직 비디오는 음반 판매량을 넘어서 뮤직비디오 자체가 가지는 영상성, 서사성, 그리고 음악성은 한편의 광고나 단편영화로서 손색이 없으며 영상적 예술성으로 독자적인 상품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고급문화와 하위문화, 예술성과 대중성, 리얼리즘과 아방 가르드의 경계를 뚜렷이 구분하는 ‘모더니즘’적 사고를 넘어선 포스트모던 시대의 뮤직비디오는 대중문화와 고급문화를 아우르고 예술장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멀티미디어적 문화콘텐츠로 자리잡았다.

    1980년대 미국의 레코드 회사들에서 시작된 MTV 뮤직비디오는 헐리우드 영화의 화면처리기술을 공유하며 서로 발전해 나가는 것으로 포스트모던적 파편화된 시각적 영상들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가사의 내용과는 무관한 탈중심화된 다양한 해독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며 가수의 뮤직비디오는 홍보효과와 상업적 성격을 지닌 독립적 문화상품으로 간주된다.

    뮤직비디오의 포스트모던적 특징은 상호텍스트성, 현란한 시각구성, 전통적 내러티브구조의 해체, 자기반영성으로 주체가 해체되고 무의미한 모호함을 표현하는 것으로(Kim, 2011b) 영화, 미술, 무용, 패션 등의 다양한 문화예술형식의 요소들을 모방, 패러디, 차용,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새로운 창조물로 탄생하게 된다는 점에서 알레고리적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뮤직비디오는 메시지에 관계없이 일관성 없이 파편화되고

    있으며, 시공간의 연속성이 파괴되어 주체구성을 거부하고 있다. 즉, 하나의 내러티브를 말하기보다는 하나의 영상을 말하기 위해 의도된 형식이며 일관되지 못한 이야기는 수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해독위치를 제공한다. 최근의 뮤직비디오는 그 유형에 상관없이 대부분 포스트 모던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빠르게 기술적 진화에 의존하여 발전한 분야인 음악과 대중매체로서의 비디오와의 접목으로 이루어진 뮤직비디오는 비디오 자체의 내용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스타의 스타일과 분위기를 생산해서 젊은이들이 그것을 모방하게 한다. 그리고 그들의 또 다른 언어인 음악과 함께 시각적으로는 의상과 뷰티 스타일링을 통해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과 새로운 문화를 표현 하고 있다(Kim, 2008). 남녀의 성이 혼재된 양성적이고 이원적 혼성미를 표현하는 현상은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포스트모던적 성향을 띄며 영상세대에게 스타의 뮤직비디오는 ‘확장’과 커뮤 니케이션의 의미를 넘어 동일시와 자기반영성의 판타지이자 가상현실이 된다. 또한 대중문화의 소비층으로 자리 잡은 영상세 대들의 정체성 표현수단으로서의 뮤직비디오는 타인과 구별 짓는 중요한 지표로서 작용하고 있다(Kim, 2011b). 성, 인종, 계급, 종교, 가치관 등 인위적으로 나누어진 계급을 부정하고 스타의 패션이미지를 통해 자신만의 취향과 아비투스를 투사하고 표현하는 수단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미디어 문화에서 보여주는 스타의 패션스타일과 뷰티트렌드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영상세대에게 뮤직비디오는 스타의 이미지가 곧 자기화 되는 들뢰즈(Gilles Deleuze)의 ‘-되기(생성)’적 현상을 보여준다(Yun, 2007). 영상을 통해 미에 대한 비현실적인 이미지와 잠재적인 모델링(Modeling)도구로서 신체이미지 형성과 에로티시즘,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파괴 등을 전달하는 뮤직비디오는 감각을 통해 기호를 분석하고 다양한 해석을 제공하는 들뢰즈-가타리(Deleuze-Guattari)의 생성론적 사유방식에 의한 ‘차이’로 이해할 수 있다. 들뢰즈 가타리의 되기(devenir)는 주체나 목적을 지니지 않고 어떤 다양체가 다른 다양체에 의해 탈영토화 될 때 겪는 과정, 조성과 기능을 확인해주는 생산과정이다.

    현대의 스타는 특별한 업적보다는 대중의 주의를 끄는 매력 적인 흡입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무엇보다도 대중을 동요시키는 자기만의 특별한 매력과 능력이 가장 우선시 되고 있다. 대중의 우상으로서의 스타는 대중의 욕망을 대변하고 동일시를 원하는 사회적 기호이며 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산업적 마케팅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스타는 시대적 사회적 조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특정시대에는 독특한 스타의 성격과

    [Table 2.] Borrow in LadyGaga's music video

    label

    Borrow in LadyGaga's music video

    이미지가 존재하며 의미화 된 스타의 이미지는 경제자본과 연 관된 대중 문화적 상품으로 볼 수 있다.

    스타의 이미지는 하나의 산업으로 거대한 권력보다 더 막강한 힘으로 사회를 움직이며, 문화적 의미와 이데올로기적 가치를 전달함과 동시에 개인적 취향과 친밀감, 욕망과 동일화를 이끌어내는 사회적 기호이다. 즉 대중의 우상으로서 스타는 사회적 기호로서의 아이콘이며, 대중사회의 보편적인 현상으로 인식되는 모든 과정 속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Kim, 2006). 스타의 패션 뷰티 스타일은 사회 심리적, 미학적 가치를 지니며, 대중문화의 중심에 서있는 스타가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통해서 끊임없이 새로운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자신과 동일시하고자 하는 영상세대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지배력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이르는 광범위한 분야에 확대되고 있다(Kim, 2011b).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인 문화예술장르인 뮤직비디오에서 스타의 패션이미지를 대표하는 기표로서 의상, 헤어, 메이컵, 네일, 코디네이트의 조형적 특성을 알레고리 관점 에서 분석하였으며 미적가치를 근거로 한 내재적 가치를 살펴 보았다. 선행연구인 1보에서 논의된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표현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도출된 미적가치는 양면적 가상성, 초월적 혼성성, 의외적 유희성, 일탈적 융합성으로 나타났으며(Kim, 2012) Photo. 1에서 정리하였다.

    3. 레이디가가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조형적 특성

    앞장에서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레이디가가의 통합적 패션스타일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본장에서는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알레고리 이론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3.1. 차용

    현대 패션에서 차용은 모방과 인용의 대체적 의미로서의 보충물인 동시에 재탄생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차용의 조형적 특성에 대해 Table 2에서 정리하였다. 1보 에서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은 선배 뮤지션 이미지, 패션과 팝아트 이미지의 차용으로 나타났으며 뮤직비디오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hoto 1의 과장된 어깨 패드가 들어간 prison stripe onepiece는 카스텔 바작이 디자인한 것으로 현대패션에 통속적이고 대중적인 나쁜 취향을 도입한(Kim, 2001) 키치스타일을 반영하였다. 죄수복이라는 부정적 이미지의 하위개념이 패션디자이너의 고급감성에 의해 재탄생된 이 키치스타일은 전위적이고 독창적인 미적가치를 부여받았다. 키치는 고급문화의 미적기준을 모방한 대량생산된 예술이나 사물을 의미하는 것(Lucie, 1993)으로 예술과 접목된 현대패션은 기성세대와 고정관념에 대한 일탈과 저항이라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갖는다. 스타의 패션스타일을 모방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동일시의 욕망을 갖는 젊은이들에게 뮤직비디오처럼 정서적 파급력이 큰 대중문화는 가장 강력한 키치의 온상이다. Photo 3에서는 전화 기모양의 헤드피스와 반투명 라텍스 원피스를 착용하여 제목과 같은 패션스타일로 표현하였으며 플라스틱 소재의 전화기는 금발의 헤어스타일과 스타일링 되어 조악하고 저렴한 키치이미지 를 유희적으로 표현하였다.

    Photo 2는 만화 캐릭터인 미니마우스(Mini Mouse)의 특징적인 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노란색 바디슈트의 디자인, 색상, 무늬, 액세서리 그리고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의 차이나 돌(china-doll)메이크업까지 포함한 스타일링으로 대중적 이미지를 예술에서 차용하는 팝아트적 유희성을 표현하고 있다. 유머 와 개성을 통한 파격적인 미적 표현으로 단순한 유희성을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예상치 못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하는 대중성을 보여주었다. Photo 4는 엉클어진 머리카락에 캔으로 세팅을 한 헤어스타일과 징이 박힌 가죽재킷, 가죽 브래지어와 팬티착용(“Gaga Fashionland”, 2011)으로 유희적이미지와 하드코어적 감성, 반항적인 이미지를 동시에 연출하고 있다. 레이디가가는 음악적 성향과 패션스타일에 있어 마돈나의 이미지를 차용(Kim, 2002)하며 80년대 록 뮤지션(Rock Musician)의 스타일도 차용 하여 관능적 젠더 정체성을 표현하였다(Kim, 2002). Photo 5는 성의 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남장여자인 Jo Calderone 캐릭터를 창조하여 성역할이 전환된 해체적인 크로스드레싱을 보여준다. 50년대 정비공의 헤어스타일과 짙은 구렛나루, 충혈된 눈 매의 메이크업은 레이디가가의 남성적 자아를 혼성성(混成性) 으로 표현한 것이다. 장르의 개념이 와해된 성의 차용은 남성의 여성화, 여성의 남성화 또는 두 가지 성을 지닌 양성적 표현으로 전개되며 서로의 텍스트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상호관계 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관습적인 성의 역할을 재현하는 것을 해체시킬 수 있으며, 양성을 모두 함축하는 다양한 넓은 영역 으로의 해석이 가능하다(Kim, 2011b). 레이디가가 뮤직비디오 에서는 현대적 성의 경계를 벗어난 시각적 표현을 통해 기성세대와는 다른 그들만의 기호로서 표현된 알레고리를 은유하였다.

    차용에 있어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은 첫째, 다양하고 실험적인 팝아트적 오브제를 헤드피스로 차용하여 제목과 유사하며 주제를 강조하는 스토리텔링적 이미지를 강화하였다. 둘째, 성의 차용으로 남장여자를 직접 연기하고 관습적 성역할을 파괴한 독립적인 성역할을 표현하였으며 대중문화에서의 양성성은 지배와 권력의지의 양면가치를 지닌다. 셋째, 유희적 키치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유희란 활동 그 자체 때문에 일어나는 의외성을 의미하며 레이디가가는 대중적이고 희극적 요소를 지닌 캐릭터를 이질적이며 변형된 모순과 부조화, 놀라움, 쾌감 등의 키치적 표현성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였다.

       3.2. 장소특수성

    시공간을 해체하는 유적의 특수성은 작품의 출생당시와 진행, 소멸에 이르는 전 과정이 알레고리적 충동으로 남겨진다. 주변 환경과의 물리적 관계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Photo 6에서 검정색과 금발의 컬러링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헤어 스타일링은 여성에게 금발이 지니는 의미가 가장 이상적인 컬러로서의 섹시함과 관련되는 젠더 상징성을 표현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머리카락은 물리적, 환경적 변화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과 노화, 소멸을 반복하여 퇴색과 쇠퇴에 이른다는 점에서 시간의 흐름을 해체하는 일시성을 대표하는 패션 소재 중의 하나이다(Kim, 2011b). 파란색으로 염색된 보브 스타일가발과 함께 코디네이트된 메이컵의 아이브로우(Eyebrow), 립스틱(Lipstick), 필립 트레이시(Philip Treacy)의 초현실주의적 헤드피스 등 가가는 타가수와의 차별화를 위해 강렬하고 다양한 표현방식(Moralde, 2009)으로 헤드피스와 가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고 있으며 이는 시간과 공간의 연속성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헤어스타일의 일시성을 표현한 Photo 10은 모발과 얼굴이라는 장소의 경계를 넘나든 모히칸 헤어스타일의 헤드피스를 착용하고 측면의 스킨헤드와 중앙의 모히칸족 헤어 스타일로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내면적 가치와 일탈을 상징하는 기표로서 강력한 의미를 지니며 머리의 질감과 형태로서 불 확정적이고 잠재적인 표현양식을 보여준다. Photo 7은 담배연기가 나는 선글라스와 가죽 점퍼 수트, 체인을 몸에 감고 펑키한 헤어스타일로 거칠고 반항적인 죄수의 이미지를 연출한 것 으로 일탈적이고 저항적인 스타일은 지배적 헤게모니의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금기품목인 담배는 시간이 흐를수록 소멸되어 가는 본질을 지닌 것으로 주인공의 욕망을 대변하는 페르소나를 가장한 일시성의 표현이며 가죽 점프 수트와 굵은 체인은 사도 메저키즘적 섹슈얼리티(sado-masochism sexuality) 를 표현하고 있다. 페티시즘 이미지를 대중적으로 수용한 마돈나의 사도 매저키즘 패션에서 영향을 받은 것(Vena, 2010b)으로 성역할이 전환된 지배와 복종의 관계를 가죽의상과 쇠사슬에

    [Table 3.] Site specificity in LadyGaga's music video

    label

    Site specificity in LadyGaga's music video

    얽힌 압박의 기표로 표현하였다. Photo 8은 신체영역의 경계일탈과 영역의 확장성을 표현한 것으로 크라임신테입(crime scene tape)이 얼굴을 감싸고 내려오는 헤드밴드와 네크리스가 되며 표현 영역이 확장되어 신체 주요부위를 커버하도록 하여 패션 아이템의 착장과 신체 경계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공식을 파괴하였다. 범죄 현장임을 경고하고 주의를 의미하는 crime scene tape의 단순한 재료가 신체공간에 대한 시선을 확장하고 패션 코디네이션 아이템에 대한 해체적 장소특수성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노출은 과장된 성의 직접적인 표현으로 이를 통해 에로틱한 인체 자체에 시선을 집중시키게 됨으로써 단순하고 간결한 이미지에서 더 나아가 에로틱한 분위기를 형성시킨다 (Kim, 2011b). Photo 9는 매끈하고 날렵한 턱시도재킷을 착용함으로써 도회적 세련미를 대표하는 매스큘린 이미지와 죽음의 상징인 해골이미지 메이크업이 삶과 죽음에 대한 상반된 양면적 가치를 신체텍스트에 동시에 표현하였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텍스트의 의미가 변형되어 새로운 의미로 재탄생하게 되고 흔적은 사진이나 영상으로만 남겨지는 유적(ruin)으로 인간존재의 일시성에 대한 경각심을 기호화하였다. 이는 '자연사' 연작에서 살아있을 때 가장 권력적이고 아름다운 존재가 죽은 후 포름알데히드에 담겨진 채 전시됨으로서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을 표현한 데미안 허스트(Damien Steven Hirst. 1965-)의 작품과 유사성을 띤다.

    레이디가가 뮤직비디오에서 표현된 일시성은 첫째, 시간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재생, 노화, 소멸의 과정으로 그 의미가 변화 하는 패션소재의 사용으로 해체주의적 일시성을 표현하였으며 둘째, 신체영역에 대한 표현과 무경계, 일탈, 확장은 시간과 공간의

    [Table 4.] Accumulation of strategy in LadyGaga's Music Video

    label

    Accumulation of strategy in LadyGaga's Music Video

    무의미함을 강조하며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을 요구한다.

       3.3. 축적의 전략

    유기적 연속체로 구성된 축적은 시간과 공간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시각적 조각들로 해독되어져야 한다. 패션에 있어 축적은 색상, 소재, 스타일, 이미지, 아이템간의 병렬과 누적의 전략을 통해 표현되어지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Photo 11은 스판덱스 소재의 바디슈트와 여러 겹의 쉬폰 주름 스커트가 레이어링된 스타일로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스커트단의 중첩은 불확정적이고 아방가르드한 이미지를 준다(Kim, 2011b). 축적의 전략으로서 중첩된 아이템의 반복과 복제가 퓨처리즘적 미니멀 바디슈트의 이미지를 시각적 확대와 공간의 깊이감, 양감의 확대로 표현되었다. Photo 12은 비욘세(Beyonce Giselle Knowles)와 레이디가가가, 카스텔 바작이 디자인한 성조기 무늬의 비키니와 헤어반다나(Hair Bandana)를 동일하게 착용하고 같은 안무를 연출한 것(Montgomery, 2010)으로 스타일의 중첩성을 표현하며 반복과 복제에 의한 주제의 강화를 목적 으로 한다. 1975년 제작된 미국 TV드라마로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원더우먼(WonderWoman)의 의상을 차용한 것으로 슈퍼히로인(Super Heroin)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강인한 여성이자 관능적 이미지를 동시에 지닌 캐릭터로 초자연적인 힘과 이상적인 외모를 지닌 영웅이미지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인 동시에 공감대를 형성하는(Kim, 2011a) 감정이입대상으로서 젊은 층들의 내재적 감정표출의 초월적 존재로 표현되었다. 스타일과 소재의 중첩은 Photo 15에서도 표현되었다(Lipshutz,, 2009). 신비로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보라색의 Catsuit과 장갑, 검정 가죽팬츠를 착용하고 의상과 동일 색상의 네일아트 팁을 부착하여 손톱길이를 연장하고 체인장식을 달아 장식성을 강조한 것으로 레이디가가는 의상에서와 동일소재, 색상을 액세서리 소품류에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이미지를 강화하며 소재의 중첩 뿐 아니라 단일형태의 재료를 반복적으로 누적, 병렬시켜 뮤직비디오의 스펙터클 효과를 표현하였다(Kim, 2012). Photo 13에서 크리스탈 장식이 부착된 Catsuit은 라텍스소재의 Head scarf, Peek-toe hill과 Mirrored mask로 구성되며 여성적 섹슈얼리티를 표현하고 있다. 거울과 크리스탈의 반짝거림 같은 극적효과와 라텍스소재를 활용한 아시안 전사의 이미지를 통해 여성 스스로를 재창조한다는 내적 상징성을 연출하였다. 티에리 뮈글러(Thiery Mugler)가 디자인한 오리가미(Origami) 오브제가 부착된 라텍스의상과 가죽장갑, 사도 마조히즘적 하이힐을 착용한 퓨처리즘적 코디네이션은 1980년대의 파워풀한 레트로 패션트렌드를 상기시킨다. 어깨에 부착한 3차원 오브제는 1980년대 패션 트렌드인 지오메트릭 큐비즘을 연상시키는데 큐비즘 예술양식에서 영향을 받은 패션이 복제되어 현재 다시 레 트로 파워 패션(Retro Power Fashion)으로 등장하는 패션의 자 기반영성은 포스트모던의 특징인 알레고리적 속성을 반영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Photo 14는 레이디가가의 뮤직비디오 영상에 서 짧은 순간 등장하였으나 주목성이 높은 의상으로 밝음과 행복을 상징하는 노란색상의 수선화 생화만으로 제작된 의상이다. 짧은 코르셋과 유사하게 디자인된 미니드레스는 한 가지 소재를 의상전면에 병렬적, 반복적으로 배열하고 금발 염색된 가발을 착용하여 단순한 볼륨감을 표현하였다. 이는 텍스트를 단순히 병렬과 누적의 전략으로 중첩하는 축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술의 기법이자 하나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축적의 전략에서 는 단일 아이템, 소재의 획일적 반복과 복제에 의한 중첩과 레이어드 스타일링, 레트로 패션의 재현과 모방을 통해 스타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뮤직비디오의 스펙터클한 예술적 효과를 높인 알레고리적 특성을 반영하였다.

       3.4. 장르간의 혼합

    텍스트와 텍스트간의 다층적이고 파편화된 의미를 읽는 도구로서의 알레고리적 몽타주는 부분과 전체, 그리고 맥락을 파악하여 연관성을 기호화한다는 점에서 패션의 포스트모던적 특성과도 닿아 있다. 패션스타일에서의 장르간의 혼합은 다음과 같다. Photo 16은 쌍안경이 부착된 헤드피스와 검정색 케이프를 착용한(Vena, 2010a) 권력자인 여왕은 기계적 결합에 의한 사이보그 이미지를 연출한 것으로 동성애 남자친구와의 결별을 선언한 성인취향의 스토리라인을 갖는다.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Cyber Feminism)은 사회적 성을 넘어서는 유토피아적 페미니즘과 연결시키는데(Haraway, 1991) 뮤직비디오 에서 표현된 사이보그는 억압된 자아의 생존과 극복을 위한 저항으로서 테크놀러지와 결합하는 여성으로 표현되어 해체와 재조립을 통한 포스트모던적 자아를 의미한다 할 수 있다. Photo 17 는 레이디 가가의 두 번째 정규 앨범으로 초현실주의 영화와 미술작품과 장르간의 혼합이 표현되었다. 마더몬스터의 얼굴앞면은 여신의 이미지이고 뒷면은 자신이 출산하게 될 복제인간의 얼굴형을 가진 야누스적 스타일을 표현하였다. 뮤직비디오의 도입부는 1950년대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화 ‘현기증’과 유사하며 마더몬스터(MotherMonster)가 출산하는 장면 연출은 1920년대 초현실주의 작가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과 살바도르달리(Salvador Domingo Felipe, 1904-1989)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음산함과 잔혹성, 그로테스크적 이미지들의 결합이라 할 수 있다. 레이디가가는 예술작품과의 하이브리드를 통해 음악의 스토리텔링을 강화하고 창조적 권력자로서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Photo 18는 알렉산더 맥퀸이 디자인하여 이슈가 된 스타일(“LadyGaga; designer”, 2011)로 미래 생태계의 붕괴와 종말을 표현한 컨셉이며 쿠튀르적 재단과 컴퓨터그래픽의 이종교배에 의해 탄생한 의상이다. Bad Romance의 그로테스크한 배경과 의상들, 퓨처리즘 이미지, 죽음과 맞닿은 여인의 비주얼 스타일은 패션과 기계, 예술과의 Collaboration을 통해 감성적 테크놀러지로 표현 되었다. 시간적, 공간적, 정신적으로 상호 교류하는 인터랙션 (Interaction) 도구로서의 레이디가가 뮤직비디오는 고급문화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파편화된 이미지들을 결합하고 재탄생시킴 으로써 하위문화의 대중성이 아닌 예술성을 지닌 패션의 영역에서 수용 가능한 작품의 가치를 지닌다 할 수 있다.

    Photo 19는 알렉산더 맥퀸의 골드 메탈릭 드레스와 iPod LCD glasses를 착용한 것으로 디지털 퓨처리즘 스타일을 표현한다 (“Nichola formichetti's blog”, 2011). iPod LCD glasses는 레이디가가의 뮤직비디오와 퍼포먼스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소품 중 하나이며 iPod 와 LCD screen lens로 구성된다. 혁신적인 발명품인 디지털 매체 iPod에서 전송된 영상메시지는 가가 가 칙용한 Screen Lens를 통해 음악주제가 표현되도록 한 것으로 골드 메탈릭 시퀸 드레스와 코디네이트된 디지털 패션을 퓨처리즘적 아방가르드로 표현하였다. 는 디지 털과 패션의 하이브리드 작품으로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비디오 라고 평할 만큼 패션 감도가 높은 작품이다. Photo 20은 Pyro Bra의 변형으로 브래지어에 기관총이 결합되어 여성성의 상징인 가슴에 남성의 성적 부위 상징기표인 총을 부착하고 불꽃이 나오도록 제작한 것으로 리모콘(Remote Control)에 의해 작동 되며 레이디가가 공연의상의 주요도구 중 하나이다. 여성의 몸 이 테크놀러지와 결합하여 강력하고 파괴적인 무기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장폴 고띠에(Jean Paul Gautier)가 디자인한 마돈나의 콘브라(Cone Bra)의 오마주(Hommage)로서 표현되었다. 성과 기계적 결합에 의한 사이보그적 이미지, 속옷의

    [Table 5.] Hybridization in LadyGaga's music vdeo

    label

    Hybridization in LadyGaga's music vdeo

    겉옷화에 의한 착장방식의 해체, 힘과 관능성이 결합된 지배적 권력자의 하이브리드를 표현한 것으로 강력한 여성의 테크노 전사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이상과 같이 장르간의 혼합에서는 테크놀러지와 결합한 사이보그 페미니즘의 표현으로 억압된 여성이 자아를 극복하고 힘과 관능성이 결합된 지배적 권력자로서의 테크노 전사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또한 주제표현에 있어 초현실주의와 팝아트적 예술양식과의 하이브리드를 통해 음악의 스토리텔링을 강화하고 창조적 권력자로서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고급문화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파편화된 이미지들을 결합하고 재탄생시킴으로써 하위문화의 대중성이 아닌 예술성을 지닌 패션의 영역에서 수용 가능한 작품의 가치를 높였다.

    4. 레이디가가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에 따른 내재적 의미

    제1보(Kim, 2012)에서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에 대해 미적가치를 양면적 가상성, 초월적 혼성성, 의외적 유희성, 다원적 텍스트성으로 분류하였으며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패션뷰티스타일 의 조형적 특성에 내재된 미적가치는 다음과 같다(Table 6).

    첫째, 고급문화장르와 융합을 통한 음악적 가치를 상승시켰다. 패션디자이너의 고급 쿠튀르적 감성을 뮤직비디오에 차용함으로써 일시적 쾌락과 대중적 상업주의로 치부되는 하위문화를 고급문화지향의 지위로 편입시켰다. 또한 팝아트나 초현실주의와 같은 고급예술과의 상호 텍스트적 결합을 통해 뮤직비디오의 패션스타일이 현시대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파악하는 문화적 코드로 가치를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순수예술이 인간의 내면가치를 표현하기위해 상징성을 표현하는데 있어 난해함과 낯설음의 단점을 지닌 반면 대중예술의 도식성과 작위성은 내면적 가치를 대중에게 전달함에 있어 보다 쉽게 접근가능 하다는 점에서 레이디가가 뮤직비디오에서의 융합은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쾌락지향적 관능미는 대중문화의 통속성을 대표하는 것으로 Park(2006)은 통속성에 대해 웃음의 해학성, 성의 관능성, 폭력의 선정성, 몽상의 환상성, 눈물의 감상성으로 분류하였으며 뮤직비디오는 이 모두를 만족시키는 대표적인 장르이다. 과도한 노출과 신체 특정부위에 대한 집착적 성향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으로 설명되는데 쾌락원리의 지배를 받는 이드(id) 는 행동에 힘을 부여하는 근원적인 생물학적 충동을 저장하고 있다. 뮤직비디오에서 보여지는 비논리적이고 환상지향적인 성(性)에

    [Table 6.] Aesthetic value and meaning in fashion style of Ladygaga's music video

    label

    Aesthetic value and meaning in fashion style of Ladygaga's music video

    대한 과도한 집착과 극단적인 노출은 성적본능의 에너지인 리비도(libido)가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으로 승화 (Sublimation)되어 표현된 것으로 패션 스타일링 소재를 가죽, 시스루 패브릭(see-through fabric), 금속(metal), 보석류(jewelry) 등을 사용하며 신체 실루엣을 강조하거나 의도적 특정부위 노출, 강조 등 여성의 몸을 쾌락적이고 관능적인 승화를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였다.

    셋째, 성, 종교, 인종, 계급을 초월한 통합적 몸의 권력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레이디가가는 ‘Born this way'에서 창조자로서 인간을 출산하는 장면을 연출하였다. 파격적인 영상을 통해 불완전하고 나약한 자신을 극복하고 여왕이 될 것을 권유하는 가사처럼 다양한 사회, 문화적, 환경적, 생물학적 배경을 지닌 인류를 향해 스스로의 단점을 극복한 초월적 존재로의 권력의지를 드러낸다. 심층심리학자 아들러(Alfred Adler. 1870~1937) 는 자신의 나약함을 극복하는 힘, 지배력, 우월성을 추구하는 ‘권 력의지(Will of Power)’는 우월에 대한 충동, 자아실현으로 향하는 완성으로의 충동이라고 정의하였다(Adler, 1927/2009). 뮤직비디오에서 이러한 자아극복을 위한 패션스타일 연출을 살펴보면 여성이 착용하는 속옷의 겉옷화와 함께 강력한 무기로 변한 Pyro-bra와 기계와 결합된 사이보그 여왕, 남장을 한 Jo Caldelone, 성녀, 인어 등으로 성, 종교, 계급, 인종의 한계와 편견을 넘어선 초월적인 신체이미지를 표현하였다. 현대의 신체담론에 큰 영향력을 끼친 미셀 푸코는(Michel Foucault, 1929-1984)는 ‘몸은 권력의 작용점이자 동시에 주체의 문제가 전개되는 준거점이기도 하다’고 하였으며 신체와 사회학적 성 (gender), 생물학적 성(sex)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구성물이며 권력의 효과로 재생산된다고 하였다(Seo, 2005)

    넷째, 해체주의적 파괴를 통한 탈중심적 텍스트성으로 뮤직비디오에서의 패션스타일은 사이보그 이미지를 위한 테크놀러지와의 결합, 이질적이고 탈장르적 패션소재의 활용, 착장방식의 오류와 해체, 고급예술장르와의 결합된 코디네이션, 혁신적 디지털매체와의 융합패션, 무경계적 헤어& 메이크업스타일 등 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자끄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텍스트’ 개념인 ‘시간과 공간의 복합체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해당 하는 것으로 시간적 공간적으로 열려있는 탈중심적인 구조체들이 서로 얽혀있는 텍스트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이 상호 결합되는 방식에 있어 정형적이고 구조적인 것이 아닌 해체되고 파괴되어 또 다른 형태로 재탄생하게 되는 불확정적, 탈 중심적 맥락을 지닌 다원적 텍스트성을 뜻하며 이는 대중예술로서의 뮤직비디오는 소비문화 생산자인 스타의 이미지를 폭넓 게 수용하고 통합적인 표현의 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결 론

    본 연구는 현대 대중문화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스타의 이미지와 패션스타일에 대해 알레고리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디지털시대를 배경으로 한 포스트모던사회에서 패션이 갖는 사회문화적 의의와 미학적 가치를 고찰하였으며 최근 가장 영향력이 큰 패션아이콘으로 대두되고 있는 레이디가가의 패션 스타일에 대해 조형적 특성과 내재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1보에서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Kim, 2012).

    크레이그 오웬스의 알레고리 이론은 차용, 장소특수성, 축적의 전략, 장르간의 혼합이며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표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용은 보충물로서 덧붙여진 표현을 말하는 것으로 선배가수의 음악적 성향과 패 션스타일, 패션스타일과 현대 예술의 가장 중요한 흐름인 초현실주의와 팝아트 이미지의 차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소특수 성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해체주의적 일시성과 신체공간의 일탈과 무경계 그리고 확장으로 표현되었으며 셋째, 축적의 전략에서는 패션 소재의 중첩과 레이어드 코디네이션, 뷰티스타일의 이미지중첩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르간의 혼합은 예술양식과의 절충, 첨단 기술과의 결합을 통한 사이보그 이미지, 패션산업과의 콜래보레이션으로 알레고리의 다의적이고 포스트모던적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패션스타일의 알레고리적 표현에 대한 미적 가치는 첫째, 양면적 가상성으로 인간과 기계의 하이브리드를 통한 사이보그적 휴머니티와 테크놀러지와 결합된 몸에 대한 권력의지를 표현하였다. 둘째, 초월적 혼성성으로 남성과 여성의 이분법을 넘어 제3의 성을 수용하고 사회적으로 인정하는 소통적 도구로서의 관능미를 표현하였다. 셋째, 의외적 유희성으로 팝아트 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유희성과 저속하고 저렴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키치패션스타일이 대중적 상업주의로 표현 되었으며 코디네이션에 있어서도 미적 부적절성으로 표현되었다. 넷째, 다원적 텍스트성은 포스트모던적 알레고리의 가장 대표적인 특성으로 타 장르와의 하이브리드는 탈중심화되고 해체 주의적인 파괴과정을 통해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비주얼이 재탄 생되며 하위문화였던 대중문화가 고급문화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Kim, 2012).

    본보에서의 결론으로 레이디가가의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알레고리적 표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용에 있어 레이디가가의 패션스타일은 우선 다양하고 실험적인 팝아트적 오브제를 헤드피스로 차용하여 제목과 유사하며 주제를 강화하고 스토리텔링적 이미지를 강화하였다. 그리고 성의 차용으로 남장여자를 직접 연기하고 관습적 성역할을 파괴한 독립적인 성역할을 표현하였으며 대중문화에서의 양성성은 지배와 권력의지의 양면가치를 지닌다. 또한 유희적 키치이미지를 차용한 것으로 유희란 활동 그 자체 때문에 일어나는 의외성을 의미하며 레이디가가는 대중적이고 희극적 요소를 지닌 캐릭터를 이질적이며 변형된 모순과 부조화, 놀라움, 쾌감 등의 키치적 표현성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였다. 둘째, 레이디가가 뮤직비디오에서 표현된 장소특수성은 차별화와 일탈의 기표로 표현된 불확정적이고 잠재적인 패션소재에서 지배와 권력의 헤게모니를 나타내는 기호로 작용한다. 우선 시간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재생, 노화, 소멸의 과정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는 양면가치적인 패션소재의 사용으로 해체주의적 일시성을 표현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신체영역에 대한 표현과 무경계, 일탈, 확장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무의미함을 강조하며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을 요구한다. 셋째, 축적의 전략에서는 내재된 감정 표출의 대상을 초월적인 존재에 대입하여 스타의 자기반영성을 표출하였다. 단일 아이템, 소재의 획일적 반복과 복제에 의한 중첩과 레이어드 스타일링, 레트로 패션의 재현과 모방을 통해 스타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뮤직비디오의 스펙터클한 예술적 효과를 높인 알레고리적 특성을 반영하였다. 넷째, 장르간의 혼합에서는 테크놀러지와 결합한 사이보그 페미니즘의 표현으로 억압된 여성이 자아를 극복하고 힘과 관능성이 결합된 지배적 권력자로서의 테크노 전사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또한 초현실주의와 팝아트적 예술양식과의 하이브리드를 통해 음악의 스토리텔링을 강화하고 창조적 권력자로서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고급문화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파편화된 이미지들을 결합하고 재탄생시킴으로써 하위문화의 대중성이 아닌 예술성을 지닌 패션의 영역에서 수용 가능한 작품의 가치를 높였다.

    이러한 조형적 특성에 내재한 알레고리로서의 패션스타일의 미적가치는 첫째, 고급문화장르와 융합을 통한 음악적 가치를 상승시켰다는 점, 둘째, 쾌락 지향적 관능미의 적극적 표현. 셋째, 성, 종교, 인종, 계급을 초월한 통합적 몸의 권력의지의 발현. 넷째, 해체주의적 파괴를 통한 탈중심적 텍스트성으로 요약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레이디가가의 음악과 패션스타일은 앤디워홀의 팩토리, 마돈나의 성 정체성으로부터 푸코의 성 담론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아들러의 권력의지에 까지 영향을 받은 다의적이고 총체적인 알레고리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글로벌화된 현대사회의 대중적인 문화자본으로서 상징적 기호로 작용하는 스타패션에 대해 포스트모던적 알레고리 관점에서 파악하고 문화적 코드를 읽는 것은 포괄적이고 심도깊은 학제적 근거를 제 공하며,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문화적 상상력이 반영된 조형예술로서의 현대패션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미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 1. Adler A. (2009) Human understanding (Y. K. La, Trans). google
  • 2. 'Gaga Fashionland'. (2011, April 23). google
  • 3. Haraway. D. (1991) Simians, Cyborgs and Woman. google
  • 4.
  • 5. Kim D. M. (2011a) A study on eroticism in costume of super hero characters. google
  • 6. Kim H. J. (2011b) A study on the Allegory of beauty style shown in music vide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Vol.17 P.858-869 google
  • 7. Kim H. J. (2012) Allegory in LadyGaGa's fashion style(Part 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4 P.519-531 google
  • 8. Kim H. J. (2008) A study on the New model of 'Idol group' in K-POP. google
  • 9. Kim S. J. (2001) The socio-cultural meanings on kitsch in consumption of fashion produc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Vol.51 P.145-162 google
  • 10. Kim Y. S.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popular culture in modern fash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Vol.56 P.58-67 google
  • 11. 'LadyGaga; designer' muse & fashion business'. (2011, May 7). google
  • 12. Lim S. J. (2009) Dictionary of Philosophy. google
  • 13. Lipshutz J. (2009, June 6). Rapper Wale "Chillin" Out On The Charts. google
  • 14. Lucie-Smith E. (1993) Dictionary of Art Terms. google
  • 15. Montgomery J. (2010, October 15). Exclusive: Beyonce And Lady Gaga's 'Video Phone' Clip Confirmed. MTV News. google
  • 16. Moralde O. (2009, December 14). Pop Ate My Heart: Lady Gaga, Her Videos, and Her Fame Monster. Slant Magazine. google
  • 17. 'Nichola formichetti's blog' (2011, August 16). google
  • 18. Park S. B. (2006) The Popular Arts and Aesthetics. google
  • 19. Vena J. (2010a, July 11). Lady Gaga Wants To Offend With 'Alejandro,' Experts Say. MTV News. google
  • 20. Vena J. (2010b, March 16). Lady Gaga Has 'Potential' To Be The Next Madonna, Director Says. google
  • 21. Yun S. J. (2007) Deluiz & Gatary Dictionary.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LadyGaga's music video and an analysis table
    LadyGaga's music video and an analysis table
  • [ Fig. 1. ]  The expression of allegory and aesthetic value in LadyGaGa fashion style.
    The expression of allegory and aesthetic value in LadyGaGa fashion style.
  • [ Table 2. ]  Borrow in LadyGaga's music video
    Borrow in LadyGaga's music video
  • [ Table 3. ]  Site specificity in LadyGaga's music video
    Site specificity in LadyGaga's music video
  • [ Table 4. ]  Accumulation of strategy in LadyGaga's Music Video
    Accumulation of strategy in LadyGaga's Music Video
  • [ Table 5. ]  Hybridization in LadyGaga's music vdeo
    Hybridization in LadyGaga's music vdeo
  • [ Table 6. ]  Aesthetic value and meaning in fashion style of Ladygaga's music video
    Aesthetic value and meaning in fashion style of Ladygaga's music video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