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he Image and Preference of School Uniform in a Girls' High School in Ulsan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The Image and Preference of School Uniform in a Girls' High School in Ulsan
KEYWORD
school uniform(교복) , sensibility image(감성이미지) , preference(선호도)
  • 1. 서 론

    오늘 날 한국 청소년은 인터넷과 모바일로 대변되는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세대로 자유분방하고 자기중심적 사고체계를 지니며, 그들의 다양한 욕구들을 분출시킬 수 있는 대상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그러나 그들의 중심 생활은 학교범주 속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자신만을 위한 생활시간을 갖는 것은 극히 제한적이며 개성을 표출할 기회가 부족하여 이를 해소시키려는 수단으로 교복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높다. 교복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대변해 주는 상징적 수단으로서의 활용도가 높으며, 특히 감수성이 풍부한 여중고생에게는 중요한 패션코드이다. 그들 사이에서 통용되고 있는 교복패션이라는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교복디자인 변형이 하나의 유행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교복디자인 변형이 유행으로 등장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교복디자인 변형에 드는 수선비의 비경제성이 주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각 학교가 정한 교복디자인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족은 어느 정도인가? 등은 신학기마다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되면서 이에 대한 논란이 이루어져 왔다. 이런 논란의 문제를 다소 해결하려는 차원에서 학교 간 교복차별화가 시도되고는 있지만 학생들의 의견반영은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있다. 교복이 트렌드에 민감하고 다양한 욕구를 지닌 여고생들에게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중요한 아이템으로 받아들여짐으로써,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매년 신학기마다 교복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현상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디자인에 대해 어떤 평가를 하고 있는지를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복디자인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Lee(2007), Lim(2004), Kim(2001)은 각각 부산, 서울,광주 지역을 대상으로 교복만족도, 교복디자인 선호도, 교복디자인 만족도를, Kim(2003)은 마산ㆍ창원지역을 중심으로 교복만족도와 교복이미지를, Baik(2000)은 교복이미지와 교복디자인 요소별 선호도를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교복 연구는 각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교복이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것이 아니라 학교재량으로 교복디자인이 선정되어지기 때문에 지역별로 한정된 연구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이 확인되었다. 울산지역의 착용교복에 대한 연구 역시 일반적인 연구대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관계로 인하여 이 지역 학생들의 착용교복에 대한 감성이미지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아울러 학생들의 교복디자인에 대한 요구에 보다 근접될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이 제시될 수 있도록 대입진학을 목표로 하는 인문계 여고생과 예비사회인으로서의 실업계 여고생들이 각기 교육목표가 다른 교육환경에서 착용하는 교복평가와 학년 간의 교복평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울산지역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인문계ㆍ실업계의 1학년ㆍ2학년 간의 교복에 대한 감성이미지와 선호도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교복 착용기간이 길고 재킷을 벗으면 춘추용으로 대체가능한 추동용 교복으로 제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학교 유형별, 학년별 교복디자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그들이 속한 학교의 교복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는 교복디자인 방향제시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2. 이론적 배경

       2.1. 교복의 정의 및 시대별 디자인 변화

    2.1.1. 교복의 정의

    교복(校服)이란 사전적 의미로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입히는 제복이다(Lee, 1994). Kim and Bae(2003)는 교복은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특정한 복장을 착용함으로써 그 학교의 공동의식, 공통성 집단성을 강조하고 다른 집단과 구별하게 함으로써 특수성, 개별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는 공식적인 의복으로 정의하였다. 교복은 학교를 상징하고 같은 공간속에 있다는 소속감과 공동체의식을 갖게 하고 학생신분을 증명해 주는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학생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고 자기표현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교복은 학교의 품위를 대변하고 자기표현의 건전한 수단이며, 학생신분을 상징하는 수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2.1.2. 시대별 디자인 변화

    여성들의 근대화 교육은 교복의 등장과 변천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1886년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교육기관인 이화학당은 다홍색의 긴치마와 짧은 저고리를 교복으로 착용케 하였고 이는 교복의 효시가 되었으며, 1907년 최초로 양장교복이 숙명여학교에서 등장하게 되었다(Yu, 1990). 1920년대 민족운동, 신교육의 확대와 여성교육의 전개 등은 긴 저고리와 짧은 치마, 넓게 주름을 잡은 통치마의 한복 개량화가 이루어졌다. 1930년대부터는 여성교육이 양적으로 팽창하여 신여성층이 증가하고 양장착용이 1920년대에 비해 확대되어 한복과 양장이 혼용되었다. 이러한 과도기적 성격이 유지되면서 1969년 문교부의 중학교 평준화 시책이 실시되면서 여학생 교복은 시ㆍ도별로 통일된 중ㆍ고등학교 교복이 제정되었다(“Schoolgirls uniform”, 2009). 그러나 1970년대 중반부터 교복이 일제의 잔재 중 하나이며, 학생의 개성을 해친다는 이유에서 교복착용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되면서 1982년 1월 4일 문교부에서 중ㆍ고등학생들에 대한 교복자율화 조치가 발효되었다. 그러나 완전한 자율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교복지정을 불가 한다는 정부의 방침으로 인해 청소년들의 의생활의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교복자율화가 주는 평상복에 대한 경제적 부담감과 학생들 사이에서의 브랜드에 대한 위화감과 심리적 위축감, 학생들의 탈선행위 등의 부정적 측면은 교복의 재착용으로 이어지면서 현재 96.5% 정도의 교복착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듯 교복착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교복시장은 급성장하였고, 대기업이 교복시장에 뛰어들면서 교복브랜드화와 기성화가 진행되면서 교복패션화의 진행과 교복아이템 개발로 새로운 수요창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개발된 교복아이템 중의 하나인 여학생의 바지 아이템은 양성 평등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여자고등학교에서는 84.1%, 남녀 공학교에서는 82.2%의 스커트 착용률을 보이고 스커트 혹은 바지 선택착용은 여자 고등학교에서는 15.1%, 남녀 공학교에서는 13.5%를 보인다는 보도자료(“The present state of school uniform in schoolgirls”, 2009)에서 일반적으로 스커트 착용률이 높은 만큼 여고생들의 스커트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획이 필요하고 점차 바지의 착용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바지 디자인 개발에도 역점을 두어 교복시장 확대 아이템으로서의 성장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에 민감한 학생들의 요구에 맞춰 소속감이나 통제성의 목적이 기본적으로 포함되면서 학생들의 개성을 표현하고, 미적 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교복디자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2. 교복디자인 감성이미지

    감성은 사전적 의미로 느낌을 받아들이는 성질 혹은 외부 자극에 의한 감각, 지각으로부터 인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고도의 심리적인 체험을 말하며, 쾌적감, 고급감, 불쾌감 등의 복합적인 감정이라고 정의되고 있다(Lee, 2008). 감성은 개인의 생활방식이나 가치관과 연결되어 나타나는 느낌, 기분심리를 총괄하여 언어로 표현되고 인간의 느낌을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 어휘인 형용사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인간의 이미지로 떠올리는 대상에 대한 감정적 느낌을 잘 대변해주는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Lee, 2001). 이러한 감성은 연령, 지역, 성별,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동일한 연령일지라도 서로 다른 감성을 나타낸다(Na & Jo, 2002). 교복은 여고생들에게 있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자기를 표현하는 또 하나의 언어로 여기고 있으므로, 여고생들의 감성적인 욕구를 강조하고 만족시킬 수 있는 교복디자인의 개발이 중요하다.

    Lee(2007)의 “교복만족도와 변형에 대한 대중매체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선호이미지는 단정한 이미지, 귀엽고 사랑스러운 이미지, 학생다운 클래식 이미지, 캐쥬얼한 이미지, 세련되고 모던 이미지로 분류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 여학교와 남녀공학, 학년에 따른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은 캐쥬얼한 이미지를, 고등학생은 세련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다. 그리고 여학교의 학생들은 단정해 보이는 이미지를, 남녀공학의 여학생은 캐쥬얼한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살펴본 결과, 중학교 여학생은 캐쥬얼한 이미지를, 고등학교 1학년은 캐주얼한 이미지를, 고등학교2, 3학년 학생들은 세련되고 모던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ung and Kim(2004)의 “여고생의 교복 및 장식행동에 관한 연구”에서 여고생의 교복이미지를 품위성, 유행성, 실용성, 순수함의 4개 요인으로 분석하였는데 여고생이 추구하는 이미지는 품위있다, 깔끔하다, 단정하다, 지적으로 보인다 등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품위성'이 가장 높게 나와 여고생들은 품위있는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wang et al.(2002)의 “남녀 고등학생의 교복이미지 선호와 교복변형 행동의 비교연구”에서 편안하고 단정한, 독특하고 개성적인, 지적이고 클래식한 이미지로 분류하여 남학생과 여학생의 교복이미지 선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남학생과 여학생은 독특하고 개성적인 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독특하고 개성적인 이미지를 더 선호한다고 하였다. 또한 남학생은 독특하고 개성적인 이미지를 선호한 반면, 여학생은 지적이고 클래식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성별에 따라,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따라, 학년에 따라 교복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났다는 결과에 기초하여 울산지역 여고생들의 계열별ㆍ학년별 교복디자인의 실제 감성이미지와 추구 감성이미지 간에는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2.3. 교복디자인 선호도

    인간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신체적인 필요나 심리적ㆍ심미적 욕구에 의하여 의복을 선택하게 된다. 의복에 대한 선호도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의 문화나 경제적 조건, 시대적 배경 등 사회ㆍ환경적인 측면과 그 사회 내에서 개인의 연령이나 지위, 신체적 특징, 유행의 경향 등에 따라서 사람마다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Choi, 1990). 교복은 중고등학생들의 교복착용률이 높아지고 교복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교복이 하나의 패션산업으로 발달하여 예전의 일률적인 디자인의 교복형태에서 벗어나 교복색상과 디자인면에서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교복디자인 선호도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ee(2007)의 “중ㆍ고등학생의 교복착용 실태와 만족도 비교”연구에서 여학생들은 허리선 길이의 베스트형(몸에 붙는 형태) 재킷과 무릎선(내츄럴 라인 스커트)의 플레어스커트를 중고등학생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m(2004)의 “여중ㆍ고등학생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하는 교복디자인에 관한 연구”에서 재킷은 허리가 약간 들어간 테일러드 재킷을 선호하며, 여밈은 아래가 약간 벌어진 형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커트는 타이트스커트와 부분 주름스커트를 선호하고 교복무늬는 재킷과 스커트 모두 무늬가 없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연구결과에서 밝혔다.

    Min(2003)의 “색채이미지와 디자인을 활용한 여자 고등학생 교복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재킷과 스커트는 좀 더 짧은 것을 원했으며, 재킷의 실루엣은 몸에 맞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킷의 칼라모양은 테일러드 모양의 디자인을 선호하였고, 여밈은 더블 여밈을 선택하였다. 스커트의 모양은 세미 타이트형을 여고생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여학생들은 허리가 들어가고, 몸에 딱 맞는 실루엣의 재킷과 플레어 스커트, 플리츠 스커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복색상 배합은 상하동색을, 이색배색을 할 경우에는 상의색상과 어울리는 색상으로, 무늬는 체크 무늬나 무늬가 없는 것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울산지역 여고생들의 계열별ㆍ학년별 교복디자인에 대한 전체적인 조화, 상ㆍ하의 디자인, 색상 배합, 디테일 항목에 대한 선호도 조사는 교복 디자인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연구문제 및 방법

       3.1. 연구문제

    연구문제 1. 여고생의 계열별ㆍ학년별 추동용 교복디자인 감성이미지와 추구감성이미지를 살펴본다.

    연구문제 2. 여고생의 계열별ㆍ학년별 추동용 교복디자인 선호도와 착용 선호도 차이를 살펴본다.

       3.2. 연구방법 및 절차

    3.2.1. 연구대상

    본 연구는 현재 울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인문계ㆍ실업계 여자 고등학교 1ㆍ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판단표집하였다. 3학년 학생들은 대입전형이나 취업준비 등으로 인하여 교복에 대한 관심이 1, 2학년에 비해 낮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의 조사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본 연구자는 대상학교 선정 시 한 특정 지역만을 대상으로 조사할 경우 디자인 편견을 초래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울산지역 남구ㆍ중구ㆍ동구에 위치해 있는 고등학교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입진학을 목표로 하는 인문계 여고생과 예비사회인으로서의 실업계 여고생으로 각각 교육목표과정이 달라 교복디자인에 대한 의견이 다를 것으로 예상되어 남구와 중구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교 2개 학교와 동구와 남구에 위치한 실업계 고등학교 2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3.2.2. 측정도구

    설문내용은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복디자인 감성이미지는 Baik(2000)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정ㆍ보완하여 각 교복디자인에서 느끼는 감성이미지와 추구감성이미지를 나타내는 형용사 12쌍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우 그렇다’에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 5점을 주는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교복 선호도는 Lee(2004)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정ㆍ보완한 교복착용 선호도 1문항과 교복디자인에 대한 선호항목 (전체적인 조화, 상의 디자인, 하의 디자인, 색상 배합, 디테일) 5문항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우 마음에 든다’에 1점 ‘전혀 마음에 들지 않는다’에 5점을 주는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으로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므로 설명력이 클 것으로 예측되는 학년과 계열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교복사진 자극물 선정은 울산시내 및 근교지역의 교복업체가 진열한 교복 28종류를 사진 촬영하여 그 중에서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사진 9장을 추출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교복사진 선정기준은 첫째, H형 실루엣(사진 자극물2, 3, 4, 7, 8)과 box형 실루엣(사진 자극물1, 5, 6, 9), 둘째, 상ㆍ하의가 동일한 색상과 동일하지 않은 색상(단색 스커트와 체크 무늬 스커트), 셋째, 장식적 디자인(싱글버튼 여밈과 더블버튼 여밈, 칼라형, 바인딩, 리본, 넥타이)을 기준으로 하여 사진을 추출하였다. 배경이 교복이미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photoshop CS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경을 흰색으로 처리한 사진에 대한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3.2.3. 자료수집 및 절차

    예비조사는 추동용 교복의 착용기간이 길고 추동용 교복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기에 계절적으로 적합한 2008년 11월 1일~15일 사이에 울산지역 여고생 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ㆍ보완하여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

    본 조사는 각 고등학교 가정담당교사들에 의해 2008년 12월 1일~24일 사이에 4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96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은 인문계 56.6%, 실업계 43.3%로 나타났으며, 1학년 43.2%, 2학년 56.8%로 나타나 고른 분포를 보였다(Table 1).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계열별ㆍ학년별에 따른 교복디자인의 감성이미지 및 추구 감성이미지, 선호도는 t-test를 실시하였다.

    4. 연구결과 및 해석

       4.1. 추동용 교복의 감성이미지

    감성이미지는 교복사진 각 자극물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와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labe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추구하고 싶은 이미지로 분류하여 계열별ㆍ학년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1.1. 추동용 교복에 대한 감성이미지

    (1) 자극물 1에 대한 계열별ㆍ학년별 감성이미지

    Table 2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얌전한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비활동적인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색 계열의 더블여밈 테일러드 재킷, 붉은색과 남색으로 배색된 체크무늬 스커트, 리본 끈 장식은 차분하고 깔끔하지만 수수하고 촌스러운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는 한색계열의 남색이 남성적이고 단정한 이미지를 주는 성격에 비해 여성스러운 리본 끈의 대비 장식으로 촌스러운 이미지를 동시에 느끼게 하는 디자인으로 평가될 수 있다.

    (2) 자극물 2에 대한 계열별ㆍ학년별 감성이미지

    Table 3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앳되보이는, 차분한, 촌스러운, 평범한, 수수한, 눈에 띄지 않는 등의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간에는 남성적인, 얌전한, 비활동적인 등의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로 나타났다. 즉, 푸른 계열이면서 투 버튼여밈의 테일러드 재킷과 녹색계열의 체크무늬 스커트는 촌스러운, 평범한, 수수한, 눈에 띄지않는, 딱딱한, 남성적인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의의 한색계열과 하의의 중성계열에서 오는 색상의 부조화와 테일러드 재킷의 짧은 V존이 주는 답답함 등이 남성적이면서 평범한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3) 자극물 3에 대한 계열별ㆍ학년별 감성이미지

    Table 4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세련된, 화려한, 눈에 띄는 등의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깔끔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푸른 계열의 동일색상배색의 재킷과 체크무늬 스커트, 푸른계열의 보색인 붉은색으로 바인딩된 칼라와 포켓 그리고 나비넥타이는 개성적인, 화려한, 눈에 띄는, 장식적인 이미지로 연상시킴을 알 수 있다.

    (4) 자극물 4에 대한 계열별ㆍ학년별 감성이미지

    Table 5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활동적인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깔끔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허리라인이 드러나는 H형의 짧은 재킷과 체크무늬 플리츠 스커트는 성숙한, 부드러운, 여성적인, 차분

    [Table 2.]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1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1

    [Table 3.]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2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2

    한, 얌전한, 활동적인, 수수한 이미지를 연상함을 알 수 있다. Yu(1991)의 “여고생의 교복디자인 선호에 관한 연구”에서 재킷은 허리가 꼭 끼는 것보다는 헐렁한 일자형으로 적당하게 약간 들어간 모양, 주름 스커트의 선호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와 Cho(1991)의 “교복디자인에 관한 연구”에서 스커트의 무늬를 사용할 경우 체크무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비추어 자극물 4의 재킷 실루엣과 무늬가 있을 경우 체크무늬의 주름 스커트가 교복 디자인 기준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 자극물 5에 대한 계열별ㆍ학년별 감성이미지

    Table 6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촌스러운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붉은 계열의 재킷, 플레어 스커트, 리본 끈장식은 여성적인, 화려한, 눈에 띄는 이미지와 병행하여 촌스러운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것으로 상ㆍ하의는 붉은계열이나 상ㆍ하의간의 톤의 차이가 큼으로써 촌스러운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자극물 6에 대한 계열별ㆍ학년별 감성이미지

    Table 7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차분한, 깔끔한, 평범한, 눈에 띄지않는 등의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딱딱한, 촌스러운, 눈에 띄지않는 등의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3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3

    [Table 5.]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4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4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푸른계열의 더블 여밈의 box형 재킷, 회색계열의 부분 주름스커트, 넥타이는 소년같은, 딱딱한, 남성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차분한, 평범한, 수수한, 촌스러운 이미지로써, 푸른 계열, 더블여밈, box형 실루엣, 중명도의 무채색, 넥타이 등의 항목은 남성적 이미지 연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7) 자극물 7에 대한 계열별ㆍ감성이미지

    Table 8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세련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재킷의 끝부분이 둥글게 처리가 된 길이가 짧은 H형 재킷, 부분 주름스커트, 3버튼 여밈, 흰색 리본은 부드러운, 여성적인, 깔끔한, 세련된, 개성적인 이미지로 연상하며 H형 실루엣, 곡선처리, 주름스커트, 리본 항목은 여성스러움을 나타내주는 항목들 간의 조화에 따른 영향력이 큼을 알 수 있다.

    (8) 사진 8에 대한 계열별ㆍ학년별 감성이미지

    Table 9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성숙한-앳되보이는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비실용적인, 촌스러운 등의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어두운계열의 라운드 네크라인, 4버튼 여밈의 재킷과 부분 주름스커트는 딱딱한, 차분한, 깔끔한, 촌

    [Table 6.]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5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5

    [Table 7.]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6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6

    스러운, 평범한, 수수한, 눈에 띄지않는 이미지를 연상시킴으로써 감성이 풍부하고 여성스러운 면을 지향하는 여고생의 교복디자인으로는 부적절함을 알 수 있다.

    (9) 자극물 9에 대한 계열별ㆍ학년별 감성이미지

    Table 10에 의하면 계열 간에는 깔끔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어두운계열의 짧은 V존과 3버튼 여밈의 재킷, 부분 주름스커트, 기본 넥타이는 딱딱한, 남성적인, 눈에 띄지 않는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상ㆍ하의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깔끔하고, 평범한, 수수한 이미지를 연상함을 알 수 있다.

    4.1.2. 추동용 교복디자인에 대한 추구감성이미지

    계열별ㆍ학년별 추구감성이미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즉, 계열 간에는 성숙한, 부드러운, 실용적인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간에는 세련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지역 여고생들은 성숙하고, 부드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것으로, 이는 Kim(2003)의 연구에서 단정한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 순수한 이미지, 유행에 민감한 이미지의 순으로 교복이미지를 선호한다는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

    [Table 8.]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7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7

    [Table 9.]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8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8

    는 여고생들은 급격한 신체변화를 겪고 성인이 되어가는 시기에 있어 성숙하고, 부드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이러한 이미지가 가미된 교복디자인 제작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2. 추동용 착용교복에 대한 선호도

    제시된 교복 자극물 9종류에 대한 교복착용 선호도와 디자인 선호도를 계열별ㆍ학년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2.1. 교복착용 선호도

    교복착용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Table 12), 계열 간에는 사진 자극물9에서, 학년 간에는 사진 자극물6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극물3,4,7은 교복착용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자극물 1,2,5,6,8,9는 교복착용 선호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4.2.2. 교복디자인 선호도

    교복디자인 선호도는 전체적인 조화, 상의 디자인, 하의 디

    [Table 10.]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9

    label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9

    [Table 11.] The results of pursuit sensibility images

    label

    The results of pursuit sensibility images

    자인, 색상 배합, 디테일(칼라, 포켓, 리본, 넥타이장식) 5항목으로 분류하여 계열별ㆍ학년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3). 즉, 계열 간에서 자극물 2는 전체적인 조화, 색상배합에서, 자극물 3은 디테일에서, 자극물 7은 하의 디자인에서, 자극물 8은 상의 디자인에서, 자극물 9는 전체적인 조화, 상의 디자인, 하의 디자인, 색상 배합, 디테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극물 1,4,5,6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 간에서 자극물 1은 디테일에서, 자극물 2는 색상배합에서, 자극물 3은 색상배합에서, 자극물 4는 전체적인 조화, 상의 디자인에서, 자극물 6은 색상배합에서, 자극물 7은 상의 디자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극물 5,8,9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자극물 3,4,7의 전체적인 조화, 상의 디자인, 하의 디자인, 색상배합, 디테일을 대체적으로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복디자인은 베이지ㆍ검정색 계열의 재킷과 재킷길이가 짧고 허리라인이 약간 드러나는 H형 실루엣, 체크무늬 플리츠 스커트 또는 부분적 주름 스커트, 바인딩 장식, 리본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극물 1,2,5,6,8,9는 전체적인 조화, 상의 디자인, 하의 디자인, 색상배합, 디테일을 대체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고, 학생들의 선호대상이 아닌 교복디자인은 푸른색 계열의 더블 버

    [Table 12.] The results of preference for school uniform wearing

    label

    The results of preference for school uniform wearing

    튼 여밈형의 boxy 실루엣 재킷과 플레어 스커트의 조합과 함께 리본 끈이나 기본 넥타이장식이 매치된 교복임을 알 수 있다. 즉, 여성적이고 세련된 스타일에 대한 선호성이 있다는 결과를 통하여 허리라인을 약간 살린 H형 실루엣의 재킷, 체크무늬 스커트나 무늬없는 부분적 주름 스커트, 재킷의 바인딩 장식, 리본 등의 코디네이션을 참고할 항목임을 알 수 있다.

    5. 결론 및 제언

    울산지역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 2학교의 1,2학년을 대상으로 추동용 착용 교복디자인 감성이미지와 추구감성이미지, 교복착용 선호도, 교복디자인 선호도를 살펴보았다.

    첫째, 교복디자인 감성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사진 자극물1은 계열간에는 얌전한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비활동적인 이미지에서, 사진 자극물2는 계열 간에는 소년같은, 차분한, 촌스러운, 평범한, 수수한, 눈에 띄지 않는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남성적인, 얌전한, 비활동적인 이미지에서, 사진 자극물3은 계열 간에는 세련된, 화려한, 눈에 띄는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깔끔한 이미지에서, 사진 자극물4는 계열 간에는 활동적인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깔끔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자극물5는 촌스러운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자극물6에서 계열 간에는 차분한, 깔끔한, 평범한, 눈에 띄지 않는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딱딱한, 촌스러운, 눈에 띄지 않는 이미지에서, 사진 자극물7은 계열 간에는 세련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자극물8은 계열 간에 깔끔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자극물9는 계열 간에는 깔끔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복디자인 추구감성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계열 간에는 성숙한, 부드러운, 실용적인 이미지에서, 학년 간에는 세련된 이미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착용교복 감성이미지와 추구감성이미지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체형변화를 겪는 시기의 여고생들은 외형적인 요소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풍부한 감수성을 소유하고 있어 본인의 체형결점을 보완하고 체형의 실루엣을 돋보이게 하는 선호 이미지로 평가한 성숙하고, 부드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드러내는 디자인을 제시해 볼 수 있다.

    셋째, 교복착용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사진 자극물9에서 계열별, 사진 자극물6에서 학년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디자인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계열 간에서 사진 자극물2는 전체적인 조화, 색상 배합에서, 사진 자극물3은 디테일에서, 사진 자극물7은 하의 디자인에서, 사진 자극물8은 상의 디자인에서, 사진 자극물9는 전체적인 조화, 상의 디자인, 하의 디자인, 색상 배합, 디테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진 자극물1,4,5,6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 간에는 사진 자극물1은 디테일에서, 사진 자극물2,3,6은 색상 배합에서, 사진 자극물4는 전제적인 조화, 상의 디자인에서, 사진 자극물7은 상의 디자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진 자극물5,8,9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복은 3년 동안 착용되는 아이템이기 때문에 그들의 교복디자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복디자인 시 허리라인을 약간 살린 H형 실루엣의 재킷, 체크무늬 스커트나 무늬없는 부분주름 스커트, 재킷의 바인딩 장식, 리본의 요소로 유행에 따른 약간의 변화를 가미한 세련된 교복디자인을 제시해 볼 수 있다.

    이상의 교복착용 감성이미지와 추구감성이미지, 교복디자인 선호도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여학생들의 신체의 자연스런 곡선을 살릴 수 있는 페미닌 이미지가 반영된 허리라인을 약간 살린 H형 실루엣의 재킷과 모던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체

    [Table 13.] The results of design preference for school uniform

    label

    The results of design preference for school uniform

    크무늬 스커트나 무늬없는 부분주름 스커트, 부드럽고 소녀같은 로맨틱 이미지를 살린 바인딩 장식, 리본 등의 장식적 디테일을 가미한 교복디자인을 기획해 볼 수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구에 대한 학교선정이 균일하지 못하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 학부모, 교사, 교복업체를 제외한 여고생 1ㆍ2학년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본 연구결과를 평균화시켜서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 교복디자인에 대한 세부적인 문제점을 찾아내고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교복 본래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는 범위에서 바람직한 교복디자인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지역구의 균등화와 연구대상자를 확대해서 소속 학교가 채택한 교복디자인 범위 내에서 개인적 체형특성에 따른 교복디자인의 만족도, 교복착용시 강조 부위와 코디아이템 선호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1. Baik S. H. (2000) Constructing design development process using computer aided Design. google
  • 2. Cho J. S. (1991)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chool uniforms ?with focus on high school girl students’ Autumn and winter school uniforms-. google
  • 3. Choi S. H. (199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tualization and preference in clothing design of adult women. google
  • 4. Hwang J. S., Ahn M. H., Yu S. Y. (2002) A comparison of school uniform image preferences and modifications of school Uniform i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4 P.243-247 google
  • 5. Jung H. K., Kim S. H. (2004) A study on school uniform and ornaments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2 P.136-150 google
  • 6. Kim S. H. (2003) A Study on school uniform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 emphasis on school uniform image and school uniform satisfaction. google
  • 7. Kim W. S. (2001) A study on the degree of contentment with the design of girls' school uniforms. google
  • 8. Kim Y. H., Bae C. B. (2003) A study of school uniform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adolesc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3 P.33-48 google
  • 9. Lee H. S. (1994) The Korean Dictionary. google
  • 10. Lee J. M. (2007) Study on comparison of actual status and satisfaction of school uniform wearing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oogle
  • 11. Lee K. H.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sensi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5 P.537-547 google
  • 12. Lee M. J. (2004) The classification of types of consumer depending on clothing consumer value and fashion preference. google
  • 13. Lee S. R. (2008) Effects of colors and categories of motifs on evaluating sensory image of fashion fabric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6 P.841-851 google
  • 14. Lee T. R. (2007) A study on effects of mass media on the transform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uniforms ?Focused on girl’s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google
  • 15. Lim J. H. (2004) High school girls’ satisfaction level and design preference of School uniforms. google
  • 16. Min K. H.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irls' high school uniform using color image and design -Focusing on Daegu. Kyungbuk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41 P.127-142 google
  • 17. Na Y. J., Jo G. S. (2002) Grouping preferred sensations of college students using sementic differential methods of sensation word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Vol.5 P.9-16 google
  • 18. (2009) 'Schoolgirls uniform'. google
  • 19. (2009) 'The present state of school uniform in schoolgirls'. google
  • 20. Yu K. S. (1991) A study on school uniform design of high school girls' stadents in Gwanju and Mokp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5 P.263-270 google
  • 21. Yu S. K. (1990) Korean women west costume change History.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 [ Table 2.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1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1
  • [ Table 3.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2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2
  • [ Table 4.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3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3
  • [ Table 5.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4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4
  • [ Table 6.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5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5
  • [ Table 7.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6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6
  • [ Table 8.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7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7
  • [ Table 9.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8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8
  • [ Table 10. ]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9
    The results of sensibility images for stimulus 9
  • [ Table 11. ]  The results of pursuit sensibility images
    The results of pursuit sensibility images
  • [ Table 12. ]  The results of preference for school uniform wearing
    The results of preference for school uniform wearing
  • [ Table 13. ]  The results of design preference for school uniform
    The results of design preference for school uniform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