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the Design of Mobile Catalog Search Interface in Academic Libraries*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on the Design of Mobile Catalog Search Interface in Academic Librar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및 국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현황조사와 설문지 조사방법에 의해 도출된 이용자 선호도를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설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능성 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 82개 기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현황을 조사하였고, 국외 대학도서관 15개 기관 모바일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의 기능 요소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설문지법을 실시하여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모바일 목록 이용행태와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KEYWORD
Mobile , Search Interface , Search Function , Mobile Catalog , Mobile OPAC
  • 1. 서 론

    대학도서관은 이용자들이 도서관의 모든 정보자원 및 검색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시작점(starting point)으로서 전자도서관 웹사이트를 제공해 왔다. 최근에는 도서관이 소장하는 학술자료와 검색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화면에 맞게 변환하고 모바일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에 구축하여 이를 이용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도서관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서관 자료를 검색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모바일기기를 통해 자료검색을 포함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이은희 2011; 문정호 2012).

    도서관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의 목적은 이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정보요구를 표현함과 동시에 질의를 구성하고, 탐색결과를 이해하여 자신의 정보추구 노력의 진행을 추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검색 시스템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의 유형이나 정보원에 상관없이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검토되어야 한다(윤정옥 2011).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검색 인터페이스가 모바일 웹 및 앱에 도입, 활용되는 경우 도서관 이용자들이 모바일 목록(Mobile Catalog)을 어떤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검색기능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개발 과정에서, 일반 PC의 큰 화면에 맞게 개발된 각종 콘텐트를 모바일기기의 작은 화면에 적합하도록 다시 구현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학도서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모바일 친화적인(mobile-friendly) 디자인으로 전환시키기 이전에 정보자원의 기술형식이 모바일 목록 내에서 변경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목록의 설계시 화면의 크기, 웹 브라우저, 처리 속도 등이 일반 PC환경과 다르기 때문에 웹기반 온라인목록(Web-based OPAC, 이하, 웹기반 OPAC)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도 고려해야 한다(Kroski 2008; Murray 2010; Ryan2011).

    이용자의 관점에서 도서관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를 분석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다양한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웹기반 OPAC의 검색 인터페이스를 평가하는 방법은 기능성 평가와 사용성 평가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성 평가는 OPAC시스템이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기능들을 기술적으로 어떻게 구현했는지를 분석하고, 사용성 평가는 이용자들이 시스템의 기능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검색능력을 향상시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정분야의 OPAC시스템 간 기능을 비교, 분석하여 각 기관의 성격에 적합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시한 연구(강덕수 1992; 서은경 2000; 사공복희 2007; 구중억, 곽승진 2007; 윤정옥 2011), OPAC 이용자의 이용행태 및 선호도를 검토하여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검색 인터페이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한 연구(사공복희 1995; 박수희 1996; 김미현 1998; 이제환, 이현주 1998; 유정인, 박희진 1998; 유재옥 2002)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분석이나 모바일 도서관에 적용된 OPAC 중심의 검색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제공 현황을 조사하고, 실질적인 이용자의 이용행태 및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안정적인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환경 구축에 필요한 모바일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모바일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의 기능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전반적인 검색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파악하는 한편, 국외의 사례분석을 통해 실제적인 제안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대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검색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2.1 모바일 목록의 기능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작성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목록의 기능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다. Cherry의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웹기반 OPAC 시스템의 기능성 및 인터페이스 유용성 평가기준을 제시한 서은경(2000)의 체크리스트, 현행 웹기반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주요 요소들을 선정한 논문(구중억, 곽승진 2007; 윤정옥 2010), Breeding이 만든 체크리스트의 검색 관련 항목 11개, 그리고 2003년 IFLA Task Force on Guidelines for OPAC Displays가

    [표 1]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기능성 평가 체크리스트

    label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기능성 평가 체크리스트

    제시한 ‘Guidelines for Online Public Access Catalog(OPAC) Displays’의 항목을 참조한 윤정옥(2011)의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목록기능을 도출하였다. 또한 김예린(2012)의 대학도서관 OPAC 2.0 평가 체크리스트의 검색영역 항목을 포함시켜 <표 1>과 같이 모바일 목록 기능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체크리스트는 검색기법(검색조건, 연산자 사용), 검색접근점(초기검색창, 2차검색창), 검색결과 정렬, 검색결과 디스플레이(간략 디스플레이, 상세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피드백의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표 1>의 검색기법 검색조건에서 ‘통합검색’ (Single-Record Approach)은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뿐만 아니라 온라인자료 및 전자자료를 단일검색창에서 통합검색하여 이용자가 찾고자 하는 자료와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검색기법이다. 이는 도서관 소장자료 이외에 좀 더 광범위한 자료의 범위를 포괄하므로 검색행위가 하나의 시스템에 집중된다는 특징이 있다. ‘개별검색’(Separate-Record Approach)은 도서관 목록과 별도로 전자자료의 검색을 유지하며, 전통적인 도서관 OPAC에서 개별 데이터베이스로의 분산된 접근을 의미한다. ‘소장자료검색’은 대학도서관이 소장하는 단행본만 검색하는 것이다.

    한편 검색접근점의 초기검색창은 모바일 목록의 초기 화면에 나타나 있는 검색창을 의미하고 2차검색창은 보다 상세한 자료검색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마련된 검색 메뉴를 의미한다. 검색접근점 항목에는 제한검색옵션도 포함되었다.

       2.2 체크리스트를 통한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기능성 평가

    국내?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대상을 선정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은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방식의 콘텐트로 이루어진 모바일 웹 및 모바일 앱으로 제한하였고, 조사시기는 2012년 4월 9일부터 12일까지이다.

    국내 대학도서관 모바일목록 기능성 평가 연구대상은 포털사이트 검색엔진 및 안드로이드 앱의 검색결과와 선행연구의 사례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실제로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분석이 가능한 82개의 모바일 웹 및 앱의 모바일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한편 국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은 국내?외 학술논문(Starkweather and Eva 2009; 남재우, 남태우 2010; Zhou, Ramona, and Matthew 2010; 구중억 2011)의 사례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를 활발히 제공하고 있는 미국 대학도서관 13곳과 영국 대학도서관 2곳을 포함하여 총 15개1) 국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웹을 선정하고, 각 기관의 모바일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3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이용 행태 및 이용자 선호도 조사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에 있어 기능상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국내 대학도서관 3곳(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포항공과대학교 청암학술정보관, 한국과학기술원 과학도서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은 모바일 목록 내에 개별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포항공과대학교 청암학술정보관은 모바일 목록에서 자료의 통합검색 기능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검색기능을 구축한 한국과학기술원 과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을 추가적으로 선정함으로써 응답자들이 여러 가지 검색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은 대전에 소재한 C 국립대학교의 학부생 120명에게 2012년 5월 16일부터 22일까지 실시하여, 일관성이 없는 응답을 하거나 미완료된 설문지 7부를 제외하고 총 113부의 설문지 (회수율 94.2%)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자는 설문을 진행하기에 앞서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모바일 목록의 검색인터페이스에 대한 인쇄물 형태의 교육자료(모바일 목록의 이용방법과 주요기능, 전문용어 등을 설명)를 미리 배부하고 개별적으로 읽게 함으로써 참여자들의 개념적 이해를 도왔다. 모든 참여자들은 선정된 대학도서관 3개 기관의 모바일 목록을 통해 자료를 검색한 후 항목별 비교평가를 위한 객관식 질문에 응답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이용행태 및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이용과 관련한 설문항목은 이

    [표 2] 설문지 구성

    label

    설문지 구성

    용자의 대학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 이용 특성과 태도, 선호도, 만족도 등 이용자의 주관적 데이터를 조사하기 위해 Hildreth의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에 따라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한 박수희(1996)의 연구와, 대학도서관 검색시스템의 접근점및 검색조건(검색어의 조합방식, 검색어 일치방식, 검색의 상세수준)을 조사, 분석한 도태현(2008)의 연구를 참고하여 이용자의 모바일 검색행태 및 요구분석을 위한 설문항목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모바일 목록 기능에 대한 설문항목은 기존에 진행된 연구(구중억, 곽승진 2007; Breeding 2007; Casey and Savastinuk 2007; Wilson 2007; 심경 2008; 이수상, 이순영 2009; 노동조, 민숙희 2011; 김예린 2012)에서 2회 이상 언급된 항목을 채택하여 구성하였다. 모바일 목록의 기능을 규정하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선행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검색 2.0, 도서관 2.0 서비스, 차세대 목록 등 발전 지향적인 목록 기능 중에서 모바일 목록에 적용할 수 있는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표 2>와 같이 총 23개의 설문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국외 대학도서관은 Ball State University Libraries, Boise State University Albertsons Library, Cambridge University Library,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Medical Library, Miami University Librarie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MIT) Librarie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NCSU) Libraries, Oregon State University Libraries, Rice Fondren Library, University of Glasgow Library, University of Illinois Library, University of Minnesota Libraries mobile,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Libraries, University of San Diego Libraries, University of Texas Libraries의 총 15개 기관이다.

    3. 기능성 평가 및 설문 결과

       3.1 국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기능성 평가 결과

    3.1.1 검색기법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이 제공하는 검색기법의 조사결과는 <표 3>과 같다.

    검색조건을 모바일 목록의 검색범위에 따라 ‘통합검색’, ‘개별검색’, ‘소장자료검색’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먼저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에서 외부 기관의 전자자료까지 검색이 가능한 ‘통합검색’은 전체 82개 중에서 3.7%를 차지하는 3개 모바일 목록에 불과하였다. 도서관 소장 자료와, 구독 및 연계하는 전자자료를 개별적으로 검색해야 하는 ‘개별검색’이 26.8%, 대학 도서관이 소장하는 단행본만 검색할 수 있는 모바일 목록은 69.5%이었다.

    또한 국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자료

    [표 3]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기법

    label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기법

    검색은 포털 검색엔진의 검색창과 같이 단순한 디자인의 검색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59.8%). 한편 ‘이력검색’, ‘브라우즈 검색’, ‘인접검색’ 기능이 적용된 국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1.2 검색접근점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에서 제공하는 검색 접근점 항목을 비교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용자는 국내 대학도서관 82개(100%) 모바일 목록에서 초기검색창을, 13개(15.9%) 모바일 목록에서 2차검색창을 이용할 수 있다.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초기검색창에서 간결한 검색창을 통해 도서관의 모든 소장자료를 탐색하는 ‘전체’(76.8%)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일반적으로 웹기반 OPAC에서 자료를 유형별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화면을 별도로 마련한 반면 모바일 목록은 ‘자료유

    [표 4]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접근점

    label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접근점

    형’(35.4%)을 제한검색을 위한 검색항목으로 설정해 놓았다. 2차검색창의 검색접근점으로 많이 사용되는 항목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표제’(9.8%), ‘저자명’(9.8%), ‘발행처’(9.8%), ‘자료유형’(8.5%) 순이며, 다수의 웹기반 OPAC이 제공하고 있는 ‘언어’, ‘발행연도’, 자료의 ‘수록정보’(목차, 초록, URL, 원문, 동영상 등)는 모바일 목록에 도입한 사례가 적은 편임을 알 수 있다.

    3.1.3 검색결과 정렬

    도서관 자료의 검색결과 정렬 항목 조사결과는 <표 5>와 같다.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 중 13개(15.9%) 간략 디스플레이 화면과 7개(8.5%)의 상세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자신의 선택에 따라 검색한 자료를 재정렬할 수 있다.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간략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검색항목을 제한하는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목은 ‘표제’(15.9%), ‘저자명’(14.6%), ‘발행연도’(14.6%), ‘발행처’(11.0%), ‘청구기호’(6.1%) 순으로 파악되었다.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상세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청구기호’(8.5%), ‘소장처’(8.5%), ‘등록번호’(8.5%)를 이용하여 검색결과를 재정렬할 수 있다.

    [표 5]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정렬

    label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정렬

    3.1.4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화면에 보이는 서지정보의 수준에 따라 간략 디스플레이와 상세 디스플레이로 구분하였다. 검색결과 디스플레이의 항목 분석 결과는 <표 6>과 같다.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간략 디스플레이

    [표 6]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label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제’(96.3%), ‘발행처’(92.7%), ‘저자명’(91.5%), ‘발행연도’(75.6%) 등의 정보 자원의 주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검색자료의 위치, 대출가능 여부 등 ‘소장정보’(84.1%)를 파악할 수 있다. 반면 OPAC 2.0의 특징에 포함되는 ‘평점/서평’(9.8%), ‘태그’(2.4%), ‘패싯내비게이션’(1.2%)은 모바일 목록에 적용 및 활용되는 횟수가 드물게 나타났다.

    3.1.5 검색결과 피드백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오류가 있거나 검색결과가 없는 경우에 이를 해결하는 기능이 모바일 목록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었는지 조사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피드백

    label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피드백

    국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 82개에 적용된 ‘검색결과 없음 메시지’는 63.4%로 나타났다. 이외 기능은 ‘사서에게 물어보기’(2.4%), ‘유사 검색어 선택’(1.2%), ‘철자 오류 수정’(1.2%)순으로 조사되었다.

       3.2 국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기능성 평가 결과

    이 절에서는 국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기능성 평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색기법에 대해 살펴보면, ‘일치검색’, ‘상세검색’, ‘이력검색’, ‘브라우즈검색’ 등이 13%(2개 기관) 이하로 조사되어 모바일 목록에서 활용도가 낮은 점이 국내 현황과 유사하였다. ‘개별검색’ 기능은 국내(26.8%)와 국외(26.7%)가 비슷한 비율로 제공되고 있다. ‘간결한 검색창’은 국내(59.8%)보다 13.5% 정도 높은 73.3%(11개 기관) 도서관에서 도입하였다. 반면 두드러진 차이점으로, ‘통합검색’ 기능이 15개 기관 중 73.3%에 해당하는 11개 기관에서 제공할 정도로 해당 기능에 대한 도입이 활발하였고, 이를 통해 이용자의 정보획득 범위를 넓혀주고 있었다.

    둘째, 검색접근점에 대해 살펴보면, ‘2차검색창’ 기능은 7.7%로 조사되어 국내 현황인 15.9%보다 낮았다. 초기검색창의 검색접근점은 국내 사례와 유사하게 ‘전체’가 73.3%로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제’는 60.0%로 조사되어 국내의 40.2%보다 약 20% 높았고, ‘저자명’(53.3%)은 국내의 40.2%보다 약 13%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SBN의 활용이 40.0%로 국내(17.1%)에 비해 높았으나, 수록 정보(URL, 초록, 목차) 등의 사용률은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검색결과 정렬에 대해 살펴보면, 간략화면에서 ‘검색결과 정렬’ 기능은 20%, 상세화면에서 ‘검색결과 정렬’ 기능은 6.7%로 나타났다. 국내와 같이 ‘검색결과 정렬’ 기능의 제공은 활발하지 않았다. 한편 비록 적은 수의 대학 도서관이지만 적합성 순위가 높은 순으로 검색결과에 노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검색결과 디스플레이를 살펴보면, 국내 모바일 목록과 마찬가지로 간략화면에서 ‘표제’와 ‘저자명’의 활용이 높았으나, 국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은 간략화면에서 ‘검색 문헌수’(93.3%), ‘자료유형’(80.0%), ‘대출여부’(46.7%), ‘도서위치’(53.3%)를, 상세화면에서는 ‘소장정보’(100%), ‘풍부한 콘텐트’(60.0%)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이용자가 검색한 자료의 서지정보를 이메일(26.7%) 또는 텍스트 문자(13.3%)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모바일 기기는 터치, 속도감 등 불편함으로 인해 모바일 목록에서 검색한 결과를 다시 확인하는 데 번거로움이 따르므로 ‘검색결과의 이메일 및 텍스트 문자 전송’ 기능은 이용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46.7%의 국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에서 ‘검색결과 없음 메시지’ 기능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이용자에 대한 조력 기능으로서 ‘검색결과 없음 메시지’를 중점적으로 제

    [표 8] 인구통계학적 분석

    label

    인구통계학적 분석

    공하여 이용자의 재검색을 유도하는 국내 사례와 비슷하였다. 비록 적은 수의 도서관이지만 13.3%의 모바일 목록은 일부 철자가 틀린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의 오탈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올바른 검색어를 제시하는 ‘철자 오류 수정’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3.3 모바일 목록의 이용행태 및 선호도 조사 설문 결과

    3.3.1 설문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설문에 응답한 응답자 113명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성별, 전공, 학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표 8>과 같다.

    응답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46.9%과 53.1%로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전공별 분포는 인문사회계열 51.3%, 자연공학계열 48.7%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년별 분포는 3학년이 28.3%로 가장 많았고, 2학년 26.5%, 1학년 23.9%, 4학년 21.2% 순으로 집계되었다.

    3.3.2 검색기법에 대한 선호도

    우선 통합검색과 개별검색에 대한 선호도는 다음과 같다. 모바일 목록 이용시 어떠한 검색 유형이 더 유용한지 그 이유를 묻는 질문에 <표 9>를 보면, 113명 중 55.8%의 응답자는 통합검색이, 나머지 44.2%의 응답자는 개별검색이 모바일 목록을 이용할 때 유용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통합검색’을 선호하는 이유로서 ‘도서관 자료뿐만 아니라 외부 기관의 자료까지 쉽게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39.7%) 검색대상의 주제 분야 및 특정 데이터베이스의 선택 없이도 모든 정보자원에 대한 One-Stop Query가 가능

    [표 9] 통합검색 및 개별검색을 선호하는 이유

    label

    통합검색 및 개별검색을 선호하는 이유

    [표 10] 모바일 목록에서 사용한 검색방식

    label

    모바일 목록에서 사용한 검색방식

    한 ‘효율성’이 주요원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목록 이용시 개별검색이 더 유용하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에 ‘특정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선택하여 원하는 자료만 얻을 수 있음’(38.0%)과 ‘부적절한 검색결과가 제외되어 경제적인 검색이 가능함’(38.0%)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고 나타나 개별검색을 선호할 때 ‘정확성’과 ‘경제성’이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간략검색’ 및 ‘상세검색’에 대한 선호도를 살펴보면 <표 10>과 같다. 이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이 모바일 목록에서 자료를 검색 하기 위하여 어떤 검색방식을 이용하여 접근하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이다.

    설문에 참여한 총 113명의 응답자 중 83.2%에 달하는 94명이 모바일 목록에서 ‘간략검색’을 통해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부합하는 자료를 검색하고자 함이 확인되었다. 그에 비해 ‘상세검색’(16.8%) 방식은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검색을 이용한다고 응답한 19명의 응답자에게 어떠한 검색기법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응답자의 94.7%는 검색필드를 지정하는 ‘제한검색’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조합검색’, ‘인접검색’, ‘절단검색’ 등 각종 검색기법의 사용빈도는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3.3.3 검색접근점에 대한 선호도

    다음으로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이 어떤 검색 항목을 이용하는지에 대한 조사에서 복수 응답을 선택하게 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모바일 목록에서 사용한 검색항목(복수응답)

    label

    모바일 목록에서 사용한 검색항목(복수응답)

    전체 응답자의 55.6%에 해당하는 110명이 ‘표제’로 정보자원을 검색하였으며 ‘저자명’ 15.2%, ‘주제명’ 14.1%, ‘키워드’ 8.1% 순으로 조사되었다. ‘분류기호’와 그 외 ‘기타’ 항목에 포함되는 ‘ISBN’, ‘ISSN’, ‘등록번호’, ‘청구기호’, ‘콘텐트번호’ 등의 사용빈도가 매우 저조하였다.

    <표 12>를 보면 모바일 목록에서 제한검색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많은 응답자 (31.0%)가 검색필드의 항목으로 ‘표제’가 필요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표 12]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필드 항목(복수응답)

    label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필드 항목(복수응답)

    이는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표제’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표 11>의 분석과 일치하는 결과로서 검색필드의 이용 빈도와 검색필드를 요구하는 정도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주 이용하는 검색필드에 대한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3.4 검색결과 정렬 및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선호도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직접 선택, 재정렬할 수 있도록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를 제한하는 데 필요한 접근점 항목을 조사한 결과는 <표 13>과 같다.

    [표 13]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결과제한 접근점(복수응답)

    label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결과제한 접근점(복수응답)

    전체의 1/3에 해당하는 응답자는 ‘자료유형’ (30.0%)을 가장 우선순위에 놓았다. 그리고 23.2%에 달하는 44명의 응답자가 검색결과를 제한하는 접근점으로서 ‘원문유무’를 제공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기 때문에 원문제공 여부는 이용자의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그 밖에 ‘원문유무’(17.9%), ‘발행연도(15.3%)’, ‘검색범위’(6.3%) 순으로 검색결과를 제한하는 접근점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있었다.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표시화면에 대한 조사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표시

    label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표시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를 넘는 51.3%가 ‘요약화면’에서 가장 단순한 형식의 서지정보를 요구하였다. ‘요약화면’은 이용자가 자료의 검색결과를 훑어보기 편리하도록 각 레코드의 서명, 저자명, 발행연도 등 간략한 콘텐트를 한 페이지의 출력화면에서 한 줄 씩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모바일 목록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된 목적이 자료의 소장여부 및 대출현황 등 자료의 간단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함인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3.3.5 OPAC 2.0 기능에 대한 선호도

    모바일 목록의 가치를 증대시키고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보다 적합한 모바일 검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OPAC 2.0 기능 중에서 모바일 목록에 적용 가능한 16가지 항목을 선택하게 한 결과는 <표 15>와 같다. 세부 항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항을 5점 척도를 이용하여 가장 부정적인 응답은 1점, 가장 긍정적인 응답에 5점을 부여한 다음, 평균값을 100점으로 환산하였다.

    응답자들은 ‘간결한 검색창’과 ‘원문제공’ 기능을 70점대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어서 ‘적합성순에 의한 정렬’, ‘시스템 중심의 검색어 자동완성’, ‘철자 오류 수정’, ‘개인 맞춤형 검색어 자동완성’, ‘관련자료 추천’, ‘확장검색’, ‘패싯 내비게이션’ 순으로 모바일 목록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선호하였다. 반면 ‘풍부한 콘텐트 제공’, ‘태그’, ‘태그 클라우드’, ‘클

    [표 15] 모바일 목록기능 기술통계량

    label

    모바일 목록기능 기술통계량

    러스터링’, ‘고급검색’, ‘평점/서평’, ‘RSS’는 60점 이하의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요구되는 검색기능 간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지만 그중에서 ‘간결한 검색창’이 74.6점으로 가장 필요한 기능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합검색’을 통해 도서관 소장자료의 서지정보와 더불어 최종 원문 자료의 제공을 요구하는 응답이 71.4점으로 조사되었는데 모바일 기기의 작은 화면으로 인해 가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정보자원의 원문 제공의 여부가 자료검색의 이용자 만족도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검색결과의 ‘적합성순에 의한 정렬 기능’ 평균값은 68.6점이다. 최근 다수의 웹 검색엔진은 여러 종류의 적합성 순위화 방법으로 결과를 정렬하여 제공하기 때문에(심경 2008), 웹 검색엔진의 이용경험이 많고 이에 익숙한 응답자들이 모바일 목록에서도 가장 적합한 정보가 자료검색 결과의 최상위에 노출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용자들 이 ‘시스템 중심의 검색어 자동완성’에 68.4점, ‘개인 맞춤형 검색어 자동완성’에 66.0점의 평균점수를 부여한 것으로 보아 ‘개인 맞춤형 검색어 자동완성’을 더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검색결과의 실패를 보완하는 해결책으로서 ‘철자 오류 수정’ 기능은 단순한 철자 오류 점검뿐만 아니라 원래 검색어보다 더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이 ‘철자 오류 수정’(67.0점) 기능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위권 항목의 이용자 선호도 역시 항목간 차이가 크지 않다. 항목별로 순위화한 결과를 살펴보면 이용자 생성 및 공유 정보로 범주화 되는 ‘태그’, ‘태그 클라우드’, ‘평점/서평’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4.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설계안

    본 장에서는 국내?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기능성 평가에 의해 도출된 결과와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된 검색기능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표 16>과 같이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표 16]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맵

    label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맵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설계안은 검색화면, 검색결과 간략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상세 디스플레이의 3가지 Depth로 제안하였으며, 1 Depth인 검색화면에는 검색기법과 검색접근점의 조사결과가, 2와 3 Depth인 검색결과 간략?상세 디스플레이에는 검색결과 정렬,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피드백의 조사결과가 반영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4.1 검색화면(1 Depth)

    최근 웹기반 OPAC에서는 도서관이 소장하는 자료와 외부 학술기관의 자료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3장의 국외 사례 분석결과 ‘통합검색'이 73.3%의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었으며, 설문 결과 ‘개별검색’(44.2%)보다 ‘통합검색’(55.8%)이 더 유용한 검색기법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들은 구글, 네이버 등 포털 검색엔진의 간결한 검색환경에 익숙하므로 검색절차가 최소화될수록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검색 인터페이스의 품질이 향상될 것이다. 그러므로 도서관 모바일 목록은 소장자료,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전자책, 전자저널 등 각종 정보원을 한 장소에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검색 및 활용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통합검색’ 기능의 유무에 따라 이용자가 동일한 검색어를 입력하여 얻는 검색결과의 범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국외 대학도서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통합검색’ 기능의 도입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목록의 검색화면인 1 Depth에 해당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는 검색창을 하나로 통합한 ‘간결한 검색창’을 이용하여 ‘통합검색’을 위주로 설계하였다. 자료의 ‘통합검색’ 기능을 구현할 때에는 외부 기관의 자료까지 쉽게 검색되므로 이용자에게 요구되는 노력이 적은 ‘효율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이용자 편의를 위해 한 화면에서 자료검색의 전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색화면에 ‘간결한 검색창’과 ‘간략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동시에 배치하여 다양한 정보자원에 대한 단일한 접근점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전체’, ‘표제’, ‘저자명’을 기본적인 검색접근점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저자명’ 15.2%의 요구와 비슷하게 14.1% 응답자가 ‘주제명’에 대한 요구가 있었으므로 ‘주제명’ 등의 검색필드를 추가로 마련하였다.

    반면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가 높은 결과와는 상반되게 해당기능이 적용된 국내 모바일 목록은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도서관 이용자들이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여 자료를 검색할 때 빠르고 정확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4.2 검색결과 간략 디스플레이 (2 Depth)

    검색결과 간략 디스플레이(2 Depth)는 한 화면 내에 많은 검색결과를 동시에 제공하기보다 ‘전체’ 및 ‘검색대상별’ 검색결과화면을 탭으로 분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유용하였다. 이용자가 검색할 수 있는 자료의 범위는 통합검색 대상과 동일하지만 검색결과를 표현할 때에는 도서관 소장자료, 외부학술기관 소장자료, 웹 포털 관련자료 등으로 분류된 검색대상별 결과화면을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하였다.

    검색결과의 간략 디스플레이에서는 이용자가 ‘요약 검색결과 화면’을 가장 선호한다는 의견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검색된 자료의 리스트와 도서관자료의 서지정보, 대출현황 및 자료의 위치정보 등 검색결과를 훑어보고 자료에 대한 이해와 판단이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만을 수록하도록 하였다.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항목은 국내?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 검색 인터페이스 현황 조사결과 간략 디스플레이에 가장 요구되는 항목인 ‘표제’와 ‘저자명’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국외 사례에서 활발히 적용된 항목인 ‘자료유형’, ‘검색문헌수’, ‘대출현황 및 자료 위치정보’ 등을 도입하였다.

    또한 검색결과의 건수가 많은 경우 이용자 요구에 적합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가장 우선시해야 하므로 ‘검색결과 정렬’ 기능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검색결과 정렬 항목은 ‘표제’, ‘저자명’, ‘발행연도’를 유지하며, 국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 제공 기능 중 ‘적합성 순에 의한 정렬’ 기능을 도입하였다. 웹에서 각종 자료를 검색하는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검색 결과를 적합성 순에 의한 정렬하는 기능에 높은 기대치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이를 국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에 적절하게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철자 오류 수정’ 기능을 모바일 목록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검색결과 없음 메시지’와 같은 안내 기능을 통해 검색결과가 없는 원인을 알려줌으로써 이용자들의 효율적인 자료검색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4.3 검색결과 상세 디스플레이 (3 Depth)

    검색결과 상세 디스플레이(3 Depth) 화면을 구축하는 경우 자료의 ‘소장정보’와 ‘풍부한 콘텐트’를 표시하여 모바일 목록을 통한 도서관 자료의 이용을 활성화하였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저작권이 해결된 학술논문이나 학위논문의 조회 및 다운로드를 통한 열람이 가능하므로 원문제공서비스를 실시함으로써 이용자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였다. 국외 대학도서관 사례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검색된 자료의 정보를 ‘이메일’ 혹은 ‘텍스트 문자’로 전송하는 기능의 도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그러나 이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콘텐트를 구축해나가는 소셜 검색 기능은 이용자 선호도를 순위화한 결과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실제로 모바일 목록에서의 활용도 또한 낮았기 때문에 ‘태그’, ‘평점/서평’, ‘클러스터링’, ‘RSS’등의 도입을 심사숙고하거나 이용자 교육 등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5. 결 론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국내 82개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기능성 평가를 실시하고, 국외 15개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적용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설문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자의 검색기능 선호도를 파악하고,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설계안을 검색화면, 검색결과 간략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상세 디스플레이의 3가지 Depth로 분류하여 제안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에서도 도서관 자료의 ‘다양성’과 정보검색의 ‘효율성’을 대표적 특성으로 지닌 ‘통합검색’ 기능을 우선적으로 도입, 활용하였다. 또한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는 ‘간결한 검색창’과 기존의 ‘간략 검색’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자관의 필요에 따라 전자자료만 따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화면을 마련하였다. 검색접근점은 ‘전체’, ‘표제’, ‘저자명’, ‘주제명’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이용자가 추가되기 원하는 기능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다양한 검색필드를 구성하였다. 초기검색창과 2차검색창을 구분하기보다 하나로 통합된 검색창에서 이용자의 자료검색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검색결과의 간략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제’와 ‘저자명’을 반드시 포함하고 자료의 이용가능 여부와 소장위치 등을 안내하는 요약된 서지정보를 표시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부합하는 자료를 적합성 순위에 따라 검색결과 화면의 최상위에 제시하였다. 또한 모바일 목록 내 다양한 정렬항목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검색화면으로 다시 이동하지 않고도 검색결과 디스플레이화면에서 검색결과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검색결과 상세 디스플레이 화면에 자료의 서지정보를 ‘이메일’ 혹은 ‘텍스트 문자’로 전송하는 기능을 활용하였다. 2.0과 관련한 모바일 목록 기능 중에서 이용자가 선호하는 동시에 웹기반 OPAC에서도 활발히 제공되는 ‘적합성순에 의한 정렬’, ‘검색어 자동 완성’, ‘철자 오류 수정’, ‘풍부한 콘텐트 제공’ 기능을 모바일 목록에 우선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대학도서관이 소장하는 전자자료의 원문은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받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하고, 외부 기관과 연계, 검색된 전자자료의 원문은 하이퍼링크를 통해 원문제공 기능을 강화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연구의 대상이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으로 한정되어 본 연구결과를 공공 도서관 혹은 다른 관종의 도서관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둘째, 국외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현황 조사가 부족하며, 셋째, 전문가의 의견 수렴과 사용성 평가 과정을 거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공공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관종의 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에 대한 현황조사와 각 도서관의 특성에 따른 검색 인터페이스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유용성을 검증을 수행하는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보다 발전적인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를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 1. 강 덕수 1992 이용자 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온라인목록의 기능에 관한 연구』. google
  • 2. 구 중억 2011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P.75-101 google
  • 3. 구 중억, 곽 승진 2007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8 P.61-88 google
  • 4. 김 미현 1998 온라인 목록 시스템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화면 설계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Vol.15 P.43-61 google
  • 5. 김 예린 2012 대학도서관의 OPAC 2.0 기능의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google
  • 6. 남 재우, 남 태우 2010 도서관 모바일 웹사이트의 콘텐트 구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27 P.153-168 google
  • 7. 노 동조, 민 숙희 2011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정보관리연구] Vol.42 P.195-223 google
  • 8. 도 태현 2008 전자정보자원의 검색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P.261-281 google
  • 9. 문 정호 2012 대학도서관 모바일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google
  • 10. 박 수희 1996 대학도서관 온라인열람목록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분석』. google
  • 11. 사공 복희 1995 대학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google
  • 12. 사공 복희 2007 초등학교 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Vol.24 P.149-178 google
  • 13. 서 은경 2000 OPAC 시스템의 기능성 및 인터페이스 유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17 P.187-206 google
  • 14. 심 경 2008 차세대 도서관 목록. [도서관문화] Vol.49 P.22-28 google
  • 15. 유 재옥 2002 웹기반 도서관서비스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6 P.67-87 google
  • 16. 유 정인, 박 희진 1998 Web OPAC 검색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5 P.41-44 google
  • 17. 윤 정옥 2010 차세대 도서관 목록 사례의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P.1-24 google
  • 18. 윤 정옥 2011 고서목록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검색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P.257-267 google
  • 19. 이 수상, 이 순영 2009 차세대 검색서비스의 속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26 P.93-112 google
  • 20. 이 은희 2011 스마트폰을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google
  • 21. 이 제환, 이 현주 1998 OPAC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품질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P.69-96 google
  • 22. Breeding M. 2007 “ Introduction.” [Library Technology Reports] Vol.43 P.5-14 google
  • 23. Casey M. E., Savastinuk L. C. 2007 Library 2.0: A Guide to Participatory Library Service. google
  • 24. Kroski E. 2008 “ On the Move with the Mobile Web: Libraries and Mobile Technologies.” [Library Technology Reports] Vol.44 P.41-48 google
  • 25. Murray L. 2010 “ Libraries ‘ Like to Move It, Move It’ .” [Reference Service Review] Vol.38 P.233-249 google
  • 26. Ryan B. 2011 “ Developing Library Websites Optimized for Mobile Devices.” [The Reference Librarian] Vol.52 P.128-135 google
  • 27. Starkweather W., Eva S. 2009 “ Smartphones: A Potential Discovery Tool.”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Vol.28 P.187-188 google
  • 28. Wilson K. 2007 “ OPAC 2.0: Next Generation Online Library Catalogs Ride the Web 2.0 Wave!” [Online Currents] Vol.21 P.406-413 google
  • 29. Zhou Y., Ramona B., Matthew L. 2010 Mobile options for online public access catalogs. [Proceedings of the 2011 iConference (iConference '11)] P.598-604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기능성 평가 체크리스트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기능성 평가 체크리스트
  • [ 표 2 ]  설문지 구성
    설문지 구성
  • [ 표 3 ]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기법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기법
  • [ 표 4 ]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접근점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접근점
  • [ 표 5 ]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정렬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정렬
  • [ 표 6 ]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 [ 표 7 ]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피드백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피드백
  • [ 표 8 ]  인구통계학적 분석
    인구통계학적 분석
  • [ 표 9 ]  통합검색 및 개별검색을 선호하는 이유
    통합검색 및 개별검색을 선호하는 이유
  • [ 표 10 ]  모바일 목록에서 사용한 검색방식
    모바일 목록에서 사용한 검색방식
  • [ 표 11 ]  모바일 목록에서 사용한 검색항목(복수응답)
    모바일 목록에서 사용한 검색항목(복수응답)
  • [ 표 12 ]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필드 항목(복수응답)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필드 항목(복수응답)
  • [ 표 13 ]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결과제한 접근점(복수응답)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결과제한 접근점(복수응답)
  • [ 표 14 ]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표시
    선호하는 모바일 목록의 검색결과 표시
  • [ 표 15 ]  모바일 목록기능 기술통계량
    모바일 목록기능 기술통계량
  • [ 표 16 ]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맵
    대학도서관 모바일 목록의 검색 인터페이스 맵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