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the State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Through Web Sit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on the State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Through Web Sit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본 연구는 국내 179개 4년제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실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로 가장 많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는 ① 이용자 서평, ② RSS, ③ 태그, 태그크라우드, ④ 모바일 앱, ⑤ Facet 기능, ⑥ Open API의 순이다. 둘째,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가장 많이 제공하는 도서관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다산정보관의 순이며, 5개 이상 9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31개 기관, 4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145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는 9개 항목(이용자 서평, RSS, 모바일 앱, Facet 기능, 블로그, 트위터, 개인화서비스, 소장위치 문자전송, 페이스 북)에서 국공립대학교가 사립대학교보다 운영비율이 높았고, 나머지 6개 항목에서는 사립대학교가 국공립대학교보다 운영 비율이 높았다.

KEYWORD
Web 2.0 , Library 2.0 , Web 3.0 , Library 3.0 , Academic Library , Library Services
  • 1. 서 론

    2004년에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Web 2.0이란 용어는 2006년 Michael Casey에 의해 Web 2.0의 개념을 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한 Library 2.0(이하 도서관 2.0)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2011년 현재에는 Web 2.0의 차세대격인 Web 3.0시대로 진화하기에 이르렀다.

    새로운 웹 기술의 진화는 이용자들의 정보이용 행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용자들의 정보이용 행태의 변화는 도서관으로 하여금 정보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른 선도적인 정보서비스를 뒤따르게 한다. 그렇다면 급변하는 정보환경에서 도서관은 과연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가? 도서관의 정보환경이 도서관 2.0 시대에서 점차 도서관 3.0의 시대로 진화하는 시점에서 2004년에 도입된 이후 어느 정도 도서관 영역에서 일반화 되었을 것으로 예측되는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에 대한 대학도서관에서의 실제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향후 보다 새롭고 효율적인 도서관 서비스를 도입하여 적용하는 데 있어 그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적인 연구방법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도서관 2.0에 관한 정의 및 개념들을 살펴보고, 나아가 관련 선행연구 문헌을 조사하여 그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전국에 있는 179개1) 4년제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2011년 8월 1일부터 2011년 8월 15일까지 15일간에 걸쳐서 웹사이트 분석을 실시하여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 운영 실태를 정밀분석한다.

    2. 선행 연구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운영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도서관 2.0의 개념과 관련된 국내 연구와 국외 연구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한다. 먼저 국내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중억(2006)은 Web 2.0, Library 2.0 및 OPAC 2.0에 대한 정의 및 개념, 관련 웹 기술을 다루고 나아가 국내외 웹 포털 및 도서관 적용사례를 조사ㆍ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OPAC 검색 결과 및 검색서비스 향상을 위한 차세대OPAC 2.0 서비스 적용에 대한 방법으로 Open API 및 RSS 리더 구현을 제시하였다.

    구중억, 이응봉(2007)은 SOA와 웹서비스의 개념을 다루고, 국내외 도서관에서 Web 2.0 기술을 활용한 Library 2.0 적용 사례와 SOA기반 웹서비스 프로토콜의 Library 2.0 적용방법을 제시하여, REST 기반 Open API를 이용한 도서관 OPAC, 온라인 서점, 웹 포털, 종합목록을 결합한 메타검색 시스템 구축활용을 제안하였다.

    박미성(2008)은 Web 2.0의 개념과 관련 기술 및 Library 2.0에 대한 다양한 견해 및 Catalog 2.0(OPAC 2.0)에 대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또한 Web 2.0 기술이 적용된 대표사이트들과 국내외 사이트를 분석하여 Web 2.0 기술 중 활용도가 높은 기술들을 분석하여 도서관정보시스템 영역의 목록과 검색 영역에서 구현할 가치가 있는 방안과 이러한 기술 도입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대처방안을 일곱 가지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Web 2.0 기술과 관련하여 시맨틱 라이브러리의 개념을 다룬 연구사례로는 한성국, 이현실(2007), 오삼균, 원선민(2007) 연구 등이 있다. 한성국, 이현실(2007)은 문헌정보 체계기술과 인터넷 정보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문헌정보시스템의 원형으로 시맨틱 라이브러리를 정의하고, 시맨틱 라이브러리의 기능적 요구사항과 아키텍처의 참조모델을 제시하였다.

    오삼균, 원선민(2007)은 온톨로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이용자 참여?협업을 지원하는 디지털 도서관을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로 정의하고, 이러한 디지털 도서관에 요구되는 핵심사항과 아키텍처 모델을 제시하여 5개의 수평 계층과 2개의 수직요소로 구성되는 새로운 SSDL 모델을 제안하였다.

    조재인(2008)은 롱테일 현상을 도서관 서비스 측면에서 고찰하여, 웹 비즈니스에서 제안되고 있는 다양한 롱테일 전략을 라이브러리 2.0의 철학과 기술을 활용하여 6가지 실천방안으로 첫째, 도서관간 정보자원 공유의 활성화, 둘째, 고객 참여형 서비스의 개발, 셋째, 다양한 채널과 방식에 의한 자원의 접근 가능성, 넷째, 다양한 버전의 유관 자료들의 브라우징 및 제공, 다섯째, 다양한 방식의 자료입수, 여섯째, 가능한 많은 정보의 제공을 제시하였다.

    이지연, 민지연(2008)은 이용자들의 라이브러리 2.0과 관련된 웹 2.0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사항을 설문조사하여, 이용자들은 라이브러리 2.0 서비스보다 관심 분야의 최신 정보수신, 정보전문가에 의한 콘텐츠 및 서비스, 구글 스칼라와 같은 논문 인용정보와 같은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도서관 2.0과 관련하여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도서관 3.0에 관한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영희(2010)는 웹 3.0의 개념과 실체에 대한 논의들을 분석하고, 도서관 3.0의 개념을 정리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 3.0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3.0 서비스의 키워드로 시맨틱 웹, 소셜시맨틱디지털도서관, 링키드 도서관, 유비쿼터스적 모바일도서관을 제시하였다.

    조명대(2010)는 문서중심의 웹에서 데이터 중심의 웹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다루고 시맨틱 웹의 한 부분으로 Linked Data의 활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는 도서관 네트워크를 제안하였다.

    노영희(2010) 연구에서도 다루었던 도서관 3.0 서비스의 키워드의 하나인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연구사례로 구중억(2010)은 1차원 및 2차원 바코드의 특징 및 종류를 살펴보고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이 확대되는 모바일 환경에서 바코드와 RFID는 오프라인의 아날로그 매체와 온라인의 디지털 매체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정보미디어로 유용한 것임을 제시하였다.

    이 외에 정종기(2011)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대학도서관의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를 살펴보고 미래 도서관의 바람직한 스마트폰 앱기반의 네 가지 모바일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2.0 개념과 관련된 국외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bram(2007)은 Web 2.0, Library 2.0, Librarian 2.0의 개념을 살펴보고, Web 2.0의 개념을 19가지, 즉 RSS, 위키, 새로운 프로그램 기법(AJAX, J2EE, 매쉬업), 블로그와 블로깅, 포트렛, 주석 및 논평, 개인화와 내 정보 기능, 포드캐스팅, MP3와 같은 개인화된 매체, 스트리밍 미디어 오디오, 리뷰 및 이용자에 의한 순위결정, 개인화 알림기능, 웹서비스, 인스턴트 메시징과 가상 레퍼런스, 폭소노미 및 태그 크라우드, 태깅, 사진(플리커, 피카사 등), 소셜네트워킹, 오픈액세스/오픈소스/오픈 콘텐트, 사회적으로 영향을 주는 콘텐트, 소셜북마크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Mi(2011)는 Web 2.0 및 Library 2.0 서비스 적용여부를 미국대학 및 홍콩대학 도서관을 대상으로 웹사이트 검색을 통하여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제 대학의 Library 2.0 적용 사례가 매우 낮았으며, 특히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는 도서관의 미션수행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Ram, Anbu K, Kataria(2011)는 JUIT대학 LRC(Learning Resource Centre)을 대상으로 Web 2.0 적용 서비스 및 이용자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실제 교수 학습에 필요한 Web 2.0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밝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Library 2.0 기술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개념을 정의하거나 또는 일부 운영실태를 분석한 연구가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분석 시점이 Web 2.0 기술이 도서관에서 적용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이어서 국내외 대표 사례로만 국한하여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표 1] 도서관 2.0 기술에 대한 개념

    label

    도서관 2.0 기술에 대한 개념

    image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반면에 본 연구는 Web 2.0 적용기술이 일반화되어 Web 3.0의 시기로 넘어가는 시점에서의 연구로 기존 연구와는 연구 시점에 차이가 있으며, 전국의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분석 범위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 도서관 2.0 기술에 대한개념 정의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2.0 기술을 크게 Web 2.0 기술과 Web 3.0 기술로 구분하여 Web 2.0 기술에는 RSS,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 북, 태그/태그 크라우드, 이용자 서평, 위키, 플리커, 소셜 북마크, Facet 기능, Open API, 위치정보, 개인화서비스를 포함하였고, Web 3.0 기술에는 모바일 서비스와 연관된 모바일 앱, QR코드, 소장위치 문자전송으로 구분하여 그개념을 정의하였다. 각 개념에 대한 정의는 <표 1>과 같다.

    1) 총 269개의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 중에서 기타 학교(산업대학, 원격대학, 대학원대학, 방송통신대학, 교육대학, 가종학교) 69개교, 조사시점에서 홈페이지 접속이 불가능한 기관(17개교) 및 기타(캠퍼스가 다르지만 홈페이지를 같이 사용하는 기관) 4개 기관을 제외한 수치임.

    4.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 운영 실태 분석

       4.1 도서관 2.0 서비스 유형별 분석

    4.1.1 대학도서관별 제공순위

    국내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서비스 적용사례를 제공순위별로 살펴보면 <표 2>와 같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에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4개 이하로 제공하는 도서관이 145개 기관(81.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5개 이상 9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31개 기관(17.3%)이었다. 10개 이상을 제공하는 기관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13개),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11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다산정보관(10개)의 3개기관(1.7%)이었으며, 반면에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를 단 하나도 제공하지 않은 기관도 25개 기관(14.0%)인 것으로 나타나 문제로 지적됐다(부록 참조).

    4.1.2 도서관 2.0 서비스별 제공순위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별 제공순위를 살펴보면 <표 3>과 같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에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로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

    [표 2] 대학도서관별 도서관 2.0 서비스 제공 순위

    label

    대학도서관별 도서관 2.0 서비스 제공 순위

    [표 3] 도서관 2.0 서비스별 제공순위

    label

    도서관 2.0 서비스별 제공순위

    는 서비스는 ‘이용자 서평’으로, 전체 179개 대학도서관 중에서 113개 기관(63.1%)이 제공하고 있어 압도적으로 높았다. 다음은 'RSS'로 52개 기관(29.1%)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이어서 '태그, 태그 크라우드'가 47개 기관(26.3%), '모바일 앱'이 44개 기관(24.6%), 'Facet 기능'이 38개 기관(21.2%), 'Open API'가 32개 기관(17.9%) 등의 순이었다. 반면 '위키'는 포항공과대학교 청암학술정보관 1개 기관(0.6%)만이 제공하고 있었으며, ‘페이스 북’은 목원대학교 중앙도서관을 비롯한 9개 기관(5.0%)에서만 제공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낮았다.

       4.2 대학도서관 유형별 도서관 2.0서비스 실태 분석

    4.2.1 RSS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2011년 8월 1일 현재,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RSS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중에서 11개 기관(37.9%),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41개 기관(27.3%)이 RSS를 운영하고 있

    [표 4]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RSS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RSS 운영 현황

    [표 5] 대학도서관 지역별 RSS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RSS 운영 현황

    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RSS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5>와 같다.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원지역이 8개 기관 가운데 4개 기관(50.0%)이 RSS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경기(40.7%), 충청(32.4%)순이었다. 반면에 서울지역은 전체 44개 기관 중에서 9개 기관(20.5%)만 RSS 운영을 하고 있어 가장 적었다.

    4.2.2 블로그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블로그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6>과 같다.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6개 기관

    [표 6]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블로그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블로그 운영 현황

    [표 7] 대학도서관 지역별 블로그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블로그 운영 현황

    (20.7%),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21개 기관(14.0%)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블로그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7>과 같다.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지역이 44개 기관 가운데 9개 기관(20.5%)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경상(16.3%), 경기(14.8%)순이었다. 반면에 전라지역은 전체 23개 기관 중에서 1개 기관(4.3%)에서만 블로그 운영을 하고 있어 가장 적었다.

    4.2.3 트위터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트위터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8>과 같다.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3개 기관(10.3%),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15개 기관(10.0%)이 트위터를 운영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트위터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9>와 같다. <표 9>에서 보는 바와같이, 충청지역이 34개 기관 가운데 9개 기관(26.5%)이 트위터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서울(9.1%), 경기(7.4%)순이었다. 반면에 강원지역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트위터 운영을 하고 있지 않았다.

    [표 8]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트위터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트위터 운영 현황

    [표 9] 대학도서관 지역별 트위터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트위터 운영 현황

    4.2.4 페이스 북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0>과 같다.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2개기관(6.9%),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7개 기관(4.7%)이 페이스 북을 운영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1>과 같다. <표 11>에서 보는바와 같이, 충청지역이 34개 기관 가운데 3개기관(8.8%)이 페이스 북을 운영하고 있어 그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서울(6.8%), 경상(4.7%)순이었다. 반면에 강원지역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페이스 북 운영을 하고 있지 않았다.

    4.2.5 태그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태그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2>와 같다.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40개 기관(26.7%),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7개 기관(24.1%)이 태그를 운영하고 있어 사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태그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3>과 같다. <표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지역이 44개 기관 가운데 15개 기관(34.1%)이 태그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충청(26.5%), 경기(25.9%)순이었

    [표 10]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

    [표 11] 대학도서관 지역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

    [표 12]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태그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태그 운영 현황

    [표 13] 대학도서관 지역별 태그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태그 운영 현황

    다. 반면에 경상지역은 전체 43개 기관 중에서 9개 기관(2.3%)에서만 태그 운영을 하고 있어 가장 적었다.

    4.2.6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4>와 같다.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22개기관(75.9%),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91개 기관(60.7%)이 이용자 서평을 운영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5>와 같다.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지역이 44개 기관 가운데 33개 기관(75.0%), 강원지역이 8개 기관 가운데 6개 기관(75.0%)이 태그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경기(66.7%), 충청(64.7%)순이었다. 반면에 전라지역은 전체 23개 기관 중에서 11개 기관(47.8%)에서만 이용자 서평 운영을 하고 있어 가장 적었다.

    [표 14]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표 15] 대학도서관 지역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4.2.7 위키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키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6>과 같다. <표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1개 기관(0.7%)만이 위키 운영을 하고 있었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키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7>과 같다. <표 17>에서 보는 바와같이, 경상지역이 43개 기관 가운데 포항공과대학교 청암학술정보관 1개 기관(2.3%)만이 운영하고 있어 아직까지 위키를 통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는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표 16]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키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키 운영 현황

    [표 17]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키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키 운영 현황

    4.2.8 플리커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플리커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8>과 같다. <표 18>에서 보는바와 같이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10개 기관(6.7%),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1개 기관(3.4%)이 플리커를 운영하고 있어 사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플리커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19>와 같다. <표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지역이 44개 기관 가운데 6개 기관(13.6%)이 플리커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충청(11.8%), 경상(2.3%)순이었다. 반면에 경기, 강원 및 전라지역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플리커 운영을 하지 않았다.

    4.2.9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0>과 같다. <표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21개기관(14.0%),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5개 기관(14.0%)이 소셜북마크를 운영하고 있어 사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1>과 같다. <표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지역이 44개 기관 가운데 10개 기관(22.7%)이 소셜북마크를 운영하고 있어 그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충청(17.6%),

    [표 18]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플리커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플리커 운영 현황

    [표 19] 대학도서관 지역별 플리커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플리커 운영 현황

    [표 20]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표 21]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경상(11.6%)순이었다. 반면에 강원지역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소셜북마크 운영을 하지 않았다.

    4.2.10 Facet 기능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2>와 같다. <표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8개 기관(27.6%),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30개 기관(20.0%)이 Facet 기능을 운영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3>과 같다.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청지역이 34개 기관 가운데 10개 기관(29.4%)이 Facet 기능을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서울(25.0%), 강원(25.0%)순이었다. 반면에 전라지역은 전체

    [표 22]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

    [표 23] 대학도서관 지역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

    [표 24]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Open API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Open API 운영 현황

    23개 기관 중에서 2개 기관(8.7%)에서만 Facet 기능 운영을 하고 있어 가장 적었다.

    4.2.11 Open API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Open API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4>와 같다. <표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27개기관(18.0%),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5개 기관(17.2%)이 Open API를 운영하고 있어 사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Open API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5>와 같다. <표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지역이 44개 기관 가운데 11개 기관(25.0%)이 Open API를 운영하고 있어 그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경기(14.8%), 전라(13.0%)순이었다. 반면에 강원지역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Open API 운영을 하지 않았다.

    4.2.12 위치정보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6>과 같다. <표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10개 기관(6.7%),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1개 기관(3.4%)이 위치정보를 운영하고 있어 사립대

    [표 25] 대학도서관 지역별 Open API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Open API 운영 현황

    [표 26]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

    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7>과 같다. <표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기지역이 27개 기관 가운데 4개 기관(14.8%)이 위치정보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경상(7.0%), 충청(5.9%)순이었다. 반면에 강원 및 전라지역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위치정보 운영을 하지 않았다.

    4.2.13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8>과 같다. <표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3개

    [표 27]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

    [표 28]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표 29] 대학도서관 지역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기관(10.3%),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9개 기관(6.0%)이 개인화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29>와 같다. <표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상지역이 43개 기관 가운데 6개 기관(14.0%)에서 개인화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서울(9.1%), 경기(3.7%)순이었다. 반면에 강원 및 전라지역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개인화서비스 운영을 하지 않았다.

    4.2.14 모바일 앱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30>과 같다. <표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9개 기관(31.0%),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6개 기관(23.3%)이 모바일 앱을 운영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31>과 같다. <표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울지역이 44개 기관 가운데 16개기관(36.4%)이 모바일 앱을 운영하고 있어 그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전라(30.4%), 강원(25.0%)순이었다. 반면에 충청지역은 전

    [표 30]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

    [표 31] 대학도서관 지역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

    [표 32]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QR코드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QR코드 운영 현황

    체 34개 기관 중에서 6개 기관(17.6)에서만 모바일 앱 운영을 하고 있어 가장 적었다.

    4.2.15 QR코드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QR코드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32>와 같다. <표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26개 기관(17.3%), 29개 국공립대학 중에서 2개 기관(6.9%)이 QR코드를 운영하고 있어 사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QR코드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33>과 같다. <표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청지역이 34개 기관 가운데 7개 기관(20.6%)이 QR코드를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경기(18.5%), 경상(16.3%)순이었다. 반면에 강원지역은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QR코드 운영을 하고 있지 않았다.

    4.2.16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1) 운영주체별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34>와 같다. <표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9개 국공립대학 중에

    [표 33] 대학도서관 지역별 QR코드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QR코드 운영 현황

    [표 34]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서 2개 기관(6.9%), 150개 사립대학 중에서 8개 기관(5.3%)이 소장위치 문자발송을 운영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운영비율이 높았다.

    2) 지역별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표 35>와 같다. <표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기지역이 27개 기관 가운데 3개 기관(11.1%)이 소장위치 문자발송을 운영하고 있어 그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서울(6.8%), 충청(5.9%)순이었다. 반면에 강원지역은 기관에서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하여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을 하지 않았다.

    [표 35]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나아가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서비스 유형별, 도서관 유형별로 구분하여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179개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별 제공순위를 분석한 결과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중에서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는 ① 이용자 서평, ② RSS, ③ 태그, 태그 크라우드, ④ 모바일 앱, ⑤ Facet 기능, ⑥ Open API, ⑦ QR코드, ⑧ 블로그, ⑨ 소셜북마크, ⑩ 트위터, ⑪ 개인화서비스, ⑫ 플리커, 위치정보, ⑬ 소장위치 문자전송, ⑭ 페이스 북, ⑮ 위키 순이었다.

    둘째,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적용 사례별 제공순위를 분석한 결과,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4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145개 기관(81.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5개 이상 9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31개 기관(17.3%)이었다. 10개 이상을 제공하는 기관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13개),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11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다산정보관(10개)의 3개 기관(1.7%)이었으며, 반면에 도서관 2.0기반의 서비스를 단 하나도 제공하지 않은 기관이 전체 179개 기관 가운데 25개 기관(14.0%)인 것으로 나타나 아직까지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었다. 이는 도서관 정보환경이 도서관 2.0 시대에서 도서관 3.0시대로의 진화하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부분의 도서관 현실은 새로운 정보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셋째,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대학 운영 주체별로 분석한 결과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중에서 9개 서비스(① RSS, ② 블로그, ③ 트위터, ④ 페이스 북, ⑤ 이용자 서평, ⑥ Facet기능, ⑦ 개인화서비스, ⑧ 모바일 앱, ⑨ 소장위치 문자발송)운영은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운영 비율이 높았고, 6개 서비스(① 태그, 태그 크라우드, ② 위키, ③ 플리커, ④ 소셜북마크, ⑤ Open API, ⑥ 위치정보)운영은 사립대학이 국공립대학보다 운영비율이 높았다.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에 대한 대학도서관에서의 실제 운영 현황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보다 새롭고 효율적인 도서관 2.0 이후의 서비스를 도입 적용하는데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 본 도서관 2.0 및 도서관 3.0 서비스의 개념은 다소 제한된 것이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새롭게 대두되는 도서관 3.0 서비스에 대한 분명한 개념 정의와 함께 개별 서비스들에 대한 유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를 기대해 본다.

      >  <부록>

    [표 36] 대학도서관별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 운영 현황

    label

    대학도서관별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 운영 현황

참고문헌
  • 1. 구 중억 2010 국내 도서관에서 바코드와 RFID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4 P.309-331 google cross ref
  • 2. 구 중억, 이 응봉 2006 북마크릿을 활용한 Library Lookup 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情報管理學會誌] Vol.23 P.49-68 google
  • 3. 구 중억, 이 응봉 2007 SOA 기반 웹서비스의 Library 2.0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Vol.38 P.297-320 google
  • 4. 구 중억, 이 응봉 2006 Open API 기반 OPAC 2.0 서비스 구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Vol.40 P.315-332 google cross ref
  • 5. 노 영희 2010 도서관 3.0의 개념과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情報管理學會誌] Vol.27 P.283-307 google cross ref
  • 6. 박 미성 2008 Web 2.0 기술 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Vol.39 P.139-168 google
  • 7. 이 지연, 민 지연 2008 라이브러리 2.0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요구사항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P.213-231 google cross ref
  • 8. 이 현실 2007 대학도서관 2.0에서 사서의 업무방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8 P.147-168 google
  • 9. 정 종기 2011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P.171-191 google
  • 10. 조 재인 2007 롱테일 현상과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Vol.38 P.73-90 google
  • 11. 한 승희 2008 도서관 2.0 서비스 개발을 위한 모바일 웹 2.0 기술에 관한 연구. P.3-8 google
  • 12. Abram S 2007 “Web 2.0 Library 2.0 and Librarian 2.0: Preparing for the 2.0 World." P.161-167 google
  • 13. Casey Michael
  • 14. Nesta Frederick, Jia Mi 2011; 2011. “Library 2.0 Or Library III: Returning to Leadership." [Library Management] Vol.32 google cross ref
  • 15. Shri Ram, John Paul Anbu K, Sanjay Kataria 2011 “Responding to User's Expectation in the Library: Innovative Web 2.0 Applications at JUIT Library: A Case Study."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Vol.45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도서관 2.0 기술에 대한 개념
    도서관 2.0 기술에 대한 개념
  • [ 표 2 ]  대학도서관별 도서관 2.0 서비스 제공 순위
    대학도서관별 도서관 2.0 서비스 제공 순위
  • [ 표 3 ]  도서관 2.0 서비스별 제공순위
    도서관 2.0 서비스별 제공순위
  • [ 표 4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RSS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RSS 운영 현황
  • [ 표 5 ]  대학도서관 지역별 RSS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RSS 운영 현황
  • [ 표 6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블로그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블로그 운영 현황
  • [ 표 7 ]  대학도서관 지역별 블로그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블로그 운영 현황
  • [ 표 8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트위터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트위터 운영 현황
  • [ 표 9 ]  대학도서관 지역별 트위터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트위터 운영 현황
  • [ 표 10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
  • [ 표 11 ]  대학도서관 지역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페이스 북 운영 현황
  • [ 표 12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태그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태그 운영 현황
  • [ 표 13 ]  대학도서관 지역별 태그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태그 운영 현황
  • [ 표 14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 [ 표 15 ]  대학도서관 지역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이용자 서평 운영 현황
  • [ 표 16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키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키 운영 현황
  • [ 표 17 ]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키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키 운영 현황
  • [ 표 18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플리커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플리커 운영 현황
  • [ 표 19 ]  대학도서관 지역별 플리커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플리커 운영 현황
  • [ 표 20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 [ 표 21 ]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셜북마크 운영 현황
  • [ 표 22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
  • [ 표 23 ]  대학도서관 지역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Facet 기능 운영 현황
  • [ 표 24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Open API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Open API 운영 현황
  • [ 표 25 ]  대학도서관 지역별 Open API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Open API 운영 현황
  • [ 표 26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
  • [ 표 27 ]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위치정보 운영 현황
  • [ 표 28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 [ 표 29 ]  대학도서관 지역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개인화서비스 운영 현황
  • [ 표 30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
  • [ 표 31 ]  대학도서관 지역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모바일 앱 운영 현황
  • [ 표 32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QR코드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QR코드 운영 현황
  • [ 표 33 ]  대학도서관 지역별 QR코드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QR코드 운영 현황
  • [ 표 34 ]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운영주체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 [ 표 35 ]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 지역별 소장위치 문자발송 운영 현황
  • [ 표 36 ]  대학도서관별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 운영 현황
    대학도서관별 도서관 2.0 기반의 서비스 운영 현황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