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Clinical Study on Syndrome Differentiation of Male with Teeth-Mark Tongue 男子 齒痕舌변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Clinical Study on Syndrome Differentiation of Male with Teeth-Mark Tongue
KEYWORD
Teeth-mark tongue , Qi-Deficiency , Dampness and Phlegm , HRV , APG , Body Composition , Syndrome Differentiation.
  • I. 서론

    한의학에서의 진단방식은 四診이 핵심을 이루고 있다.四診은 한의학적인 질병의 진찰에 있어서 기본방법으로 임상에서 이를 종합하고 분석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와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진다1).

    四診은 望診, 問診, 聞診, 切診을 이르며 그 중 望診에 속하는 舌診은 疾病狀態에서 인체의 反應을 明確하고 客觀性있게 나타낸다. 舌診의 診斷學的重要性에 대해서는『黃帝內經』에도 ‘望舌診病’이라 하여 최초로 언급된 이후2) 여러醫學書籍에서 舌診이 韓醫學的診斷方法인 四診法중 필수적인 위치를 지니게 되었으며 淸시대 이르러 舌診에 관한 臨床經驗과 硏究가 매우 왕성하여 張登의 『 傷寒舌鑑』 이나 周學海의 『診家直訣』, 徐大椿의 『舌苔圖說』 등의 出刊으로 그 체계가 확립됨으로서 診斷方法으로서의 確固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3,4).

    舌診은 舌과 苔를 관찰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舌은 혀의 本體와 舌質을 말하며, 苔는 舌의 上面에 있는 苔垢를 말한다4). 舌診상 관찰되는 여러 舌의 형태 중에서 齒痕舌은 舌體邊緣에 치아의 흔적이 있는 것으로 洋醫學에서는체내의 영양불량, 특히 단백질 결핍이나 혀의 水腫때문으로 보기도 하고5), 韓醫學에서는 氣虛, 脾虛, 濕盛의 증상으로 苔色에 관계없이 대개 脾腎兩虛로 인한 水濕內停의 발현이라고 보기도 하며6) 대체로 氣虛證과 濕痰證의 지표로사용된다7).

    그러나 齒痕舌을 가진 사람들의 변증진단과 관련하여齒痕舌이 氣虛나 濕痰의 변증 지표임을 객관적으로 나타내어 주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고 臨床에서도 정확한 진단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한의학적 진단방법의 객관화를 위해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에서 한방 부인과 진단 연구용 설문지 (Diagnose system of oriental medicine, 이하 DSOM)를 통한 진단 방법의 연구8,9)가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여자 환자들만을 대상으로하고, 남자 환자들에 대한 변증지표개발과 관련된 연구 결과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저자는 3인의 한의사가 동일하게 齒痕舌로 진단한남자, 총 178명을 대상으로 변증과 관련된 설문을 진행하였고, 통계적인 방법으로 변증 및 증상양상을 분석하였다.그리고 이러한 변증분류가 기기적인 진단으로 확인 가능한지 검증을 위해 검사를 실시하였고, 조건에 맞지 않거나 정확한 결과를 얻지 못한 14명을 제외한 164명의 검사 상 특징과 氣虛證, 濕痰證의 차이점 및 韓醫學的변증과의 유사성에 대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I.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005년 3월 1일부터 2010년 4월 30일까지 동의의료원에서 실시한 한방건강검진 대상자와 동의의료원 한방 3내과 內院환자 중 한방내과 전문의와 전공의 3인이 동일하게 판단하여 육안적으로 舌體邊緣에 뚜렷한 치아의 흔적이있는 齒痕舌을 가졌다고 확인된 남자 178명을 대상으로하여 시행한 설문지 작성, 한방적인 기기검사 결과로 대상자의 변증지표 관련 설문지를 분석하고 통계처리 하였으며, 조건에 맞지 않거나 정확한 결과를 얻지 못한 14명을제외한 164명의 자율신경 균형검사, 말초혈액 순환검사,체성분 검사 결과를 변증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2. 연구 방법

    1) 설문조사 및 변증 방법

    동의의료원 한방건강검진 문진표 (Appendix 1)를 이용하여 자가 응답 형식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복수 답을 허용하였다. 설문이 완료된 후 문진표의 문항들을 한국한의학 연구원에서 기존 한의학연구원 연구 성과10,11,12) 및 서적1,13)을토대로 개발한 변증검사설문지의 문항 내용과 中藥新約臨床硏究指導原則14), 한방병리학15)을 참조하여 氣虛와 濕痰의 주증상 중 다른 변증들과 중복되지 않고 유의한 진단기준이 될 수 있는 증상들을 上에 속하게 하였고, 氣虛와 濕痰외 다른 변증과 중복되는 증상 중에서 다시 주증상과 부증상으로 나눠 각각 中과 下에 속하게 한 후 氣虛문항과 濕痰문항으로 분류하였다 (Appendix 2). 이처럼 나눠진 上,中, 下에 따라 차등을 둬서 변증 가중치를 부여하였고, 수차례의 통계처리를 통해 유의성 있다고 판단되어진 뒤 설문에 응답한 증상에 따라 점수를 매겨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을 각각 氣虛群과 濕痰群으로 분류하여 변증하였다.

    2) 자율신경 균형검사

    자율신경의 상태는 심박수변이도 (Heart Rate Variability;이하 HRV)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심박변동 측정용 맥파계인 SA-3000P (Medicare co. Korea)를 사용하여 좌우손목 부위와 좌측발목부위에 각각 전극을 부착하고 5분간 측정하였다. 검사된 수치들은 자동검진 Report를 이용하여 자율신경활성도, 자율신경균형도, 스트레스저항도, 스트레스지수, 피로도 등으로 나타내어 분석하였다.

    3) 말초혈액 순환검사

    손가락 끝에서 얻은 신호를 분석하여 혈관의 탄성도와경화도 등 혈액 순환 상태를 자동 분석하여 동맥경화, 말초순환장애 등 각종 심혈관계 질환을 조기진단 하는 검사로가속도맥파 (Accelerated Photoplethysmograpy;이하APG)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심박변동 측정용 맥파계인 SA-3000P를 사용하였고 피검자는 안정을취한 상태에서 왼손 식지 끝에 센서를 부착하고 손을 심장의 위치와 같은 높이로 유지하면서 5분간 측정하였다. 측정내용은 혈관의 노화도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미분맥파지수 (Differential Pluse Wave Index;이하 DPI), 박출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박출강도 (Stress Power;이하SP), 혈관의 수축과 이완 즉 탄성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혈관의 탄성도 (Blood Vessel Tension;이하 BVT), 혈관의 수축 이후 남은 잔혈량을 나타내는 지표인 잔혈량(Remained Blood Volume;이하 RBV), 대동맥판 개방에서 폐쇄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수축시간 (Ventricular Contraction Time;이하 VCT)과 심박수 (Heart Rate;이하 HR)이다.

    4) 체성분 검사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생체전기 저항법을 이용한자동 신체조성 분석기인 X-scan 체성분 분석기 (JAWO N MEDICAL Co. Korea)를 사용하여 체중, 제지방량,근육량, 단백질량, 무기질량, 체지방량, 체지방율, 복부비만율 등을 측정하였다.

       3. 자료 분석 방법

    SAS 9.1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은 카이제곱을 이용하였으며, 평균값 비교는 T-TEST를 이용하였다. p-value ?0.05를 유의한 것으로 검증하였다.

    III.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 대상자의 나이 분포

    전체 대상자는 178명으로 20대 21명 (11.8%), 30대 85명 (47.8%), 40대 52명(29.2%), 50대 13명 (7.3%),60대 5명 (2.8%), 70대 2명 (1.1%)이었고, 평균나이는39.26세 이었다 (Table 1).

       2. 齒痕舌대상자의 증상계통별 빈도와 경향

    문진표를 작성한 총 178명의 齒舌을 가진 男子의 증상계통별 경향과 전체빈도를 조사하였고, 설문문항에서 복수 답을 허용하였다.

    1) 호흡기계 증상

    호흡기계 증상에서는 ‘코가 자주 막힌다’ 38명 (21.35%), ‘ 콧물이 자주 난다’와‘가슴이 답답하다’ 각각 24명(13.48%), ‘ 재채기를 자주 한다’23명 (12.92%), ‘ 기침을 자주 한다’,‘ 가래가 많이 끓는다’, ‘ 목에 가래가 붙어있다’19명 (10.67%), ‘한숨을 자주 쉰다’ 17명 (9.55% ),‘ 코가 잘 헌다’16명(8.99%), ‘ 가슴에 결리는 통증이 있다’ 14명 (7.87%), ‘코피가 잘 난다’10명(5.62%), ‘ 숨이 가쁘다’7명(3.93%),‘ 야간에 기침이 심하다’4명 (2.25%), ‘숨쉬기가 곤란하다’3명 (1.69%)순 이었다 (Table 2).

    2) 소화기계 증상

    소화기계 증상에서는 ‘속이 더부룩하다’ 35명 (19.66%), ‘대변이 무르다’ 25명 (14.04%), ‘트림을 자주 한다’21명 (11.8%),‘ 소화불량’ 19명 (10.67%),‘ 설사가 있다’ 18명 (10.11%), ‘ 속이 쓰리다’ 와 ‘대변 뒤가 묵직하다’ 각각 14명(7.87%),‘ 변비가 있다’ 13명(7.30%), ‘식욕이 없다’ 와 ‘설사를 자주 한다’ 각각 11명 (6.18%), ‘헛구역질 한다’ 와 ‘신물이 자주 나온다’ 각각 9명(5.86%), ‘복통이 있다’ 6명 (3.37%), ‘자주 토한다’1명 (0.56%) 순 이었다 (Table 3).

    3) 비뇨기계 증상

    비뇨기계 증상에서는 ‘소변을 자주 본다’ 28명 (15.73%), ‘ 소변을 보아도 시원하지 않다’ 7명 (3.93%), ‘ 소변을 보기 힘들다’ 와 ‘소변 시 통증이 있다’ 각각 2명 (1.12%), ‘요실금이 있다’ 1명 (0.56%) 순 이었다(Table 4).

    4) 근골격계 증상

    근골격계 증상에서는 ‘어깨가 아프다’ 72명 (40.45%), ‘목덜미가 아프다’ 64명 (35.96%),‘ 허리가 아프다’ 44명 (24.72%), ‘무릎이 아프다’22명 (12.36%), ‘ 손목이아프다’ 21명(11.8%), ‘ 무릎이 시큰거리는 통증이있다’20명 (11.24%), ‘손가락이 아프다’ 14명 (7.87%), ‘발목이 아프다’ 8명 (4.49%), ‘발목을 자주 삔다’ 5명(2.81%), ‘ 팔꿈치가 아프다’ 와 ‘허리가 시큰거려 돌아눕지 못 한다’ 각각 3명 (1.69%), ‘어깨를 들 수 없다’ 2명(1.12%), ‘발가락이 아프다’ 1명 (0.56%) 순 이었다(Table 5).

    5) 신경정신계 증상

    신경정신계 증상에서는 ‘항상 피곤하다’ 61명(34.27%), ‘두통이 있다’ 29명 (16.29%), ‘어지러움증이 있다’ 와 ‘몸이 무겁다’ 각각 23명 (12.92%), ‘ 가슴이 두근거린다’ 14명(7.87%),‘ 불면증이있다’, ‘ 자주놀란다’, ‘ 자주깬다’ 각각 12명(6.74%),‘ 전신에 힘이 없다’11명 (6.18%), ‘꿈을 많이 꾼다’ 10명 (5.62%), ‘불안 초조 하다’ 5명 (2.81%), ‘우울증이 있다’3명 (1.69%)순 이었다 (Table 6).

    6) 기타 증상

    기타증상에서는 ‘눈이 피로하다’70명(39.33%), ‘눈이 침침하다’ 37명 (20.79%), ‘땀을 많이 흘린다’ 33명(18.54%), ‘눈이 자주 충혈된다’ 32명(17.98%),‘ 귀에서 우는 소리가 있다’ 와 ‘피부가 가렵다’ 각각 21명 (11.80%), ‘눈꼽이자주낀다’ 20명(11.24%), ‘혀에 백태가 많이 낀다’ 18명(10.11%), ‘머리카락이 자주 빠진다’ 16명(8.99%), ‘입이 마르다’ 14명(7.87%), ‘얼굴이붓는다’ 8명 (4.49%), ‘난청이 있다’ 7명 (3.93%), ‘목안이 아프다’ 6명 (3.37%), ‘입 안이 쓰다’ 5명 (3.93%), ‘귀가 아프다’ 4명 (2.25%) 순 이었다 (Table 7).

       3. 氣虛와 濕痰의 변증

    문진표에서 증상을 묻는 설문 문항은 총 74개로 호흡기계 14개, 소화기계 15개, 비뇨기계 5개, 근골격계 13개,신경정신계 12개, 기타 15개이다. 氣虛와 濕痰의 변증분류와 관련하여 氣虛문항은 총 26개이고, 濕痰문항은 총31개이며 변증이 중복되는 경우 복수문항도 허용하였지만 변증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통계처리를 통해 氣虛와 濕痰중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을 해당변증으로 분류하였고, 전체 178명 중에서 氣虛로 변증된사람은 (이하 氣虛群) 86명 (48.31%), 濕痰으로 변증된사람은 (이하 濕痰群) 78명 (43.82%), 氣虛나 濕痰으로 분류할 수 없는 사람은 14명 (7.87%)이었다.

    이는 증상을 통한 변증분류의 유의성은 있으나 齒痕舌이 氣虛와 濕痰에 치우치지 않고 비슷하게 나타나 患者의齒痕舌만을 가지고 氣虛나 濕痰으로 辨證하기에는 힘들 것으로 보여 진다.

       4. 氣虛로 변증된 群에서의 증상별

    문진표를 작성한 총 178명 중 氣虛로 변증된 86명에서호소한 증상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1) 호흡기계 증상

    호흡기계 증상에서는 ‘코가 자주 막힌다’ 가 17명(19.77%), ‘콧물이 자주난다’가 15명 (17.44%), ‘코가 잘 헌다’ 가 14명 (16.28%), ‘재채기를 자주 한다’ 가 11명 (12.79%), ‘한숨을 자주 쉰다’ 가 9명 (10.47%), ‘코피가 자주난다’ 가7명(8.14%), ‘기침을 자주한다’, ‘숨이 가쁘다’, ‘가슴이답답하다’, ‘가슴에 결리는 통증이 있다’가 각각 6명(6.98%),‘ 가래가 많이끓는다’, ‘목에 가래가 붙어있다’ 가 각각4명(4.65%),‘ 야간에 기침이 심하다’, ‘ 숨쉬기가 곤란하다’가 각각 2명(2.33%) 순이었다 (Table 2).

    2) 소화기계 증상

    소화기계 증상에서는 ‘대변이 무르다’ 가 18명(20.93%),‘트림을 자주 한다’ 가 12명 (13.85%), ‘속이 더부룩하다’ 가 11명 (12.79%), ‘소화불량’ 이 9명(10.47%), ‘속이 쓰리다’가 7명 (8.14%),‘ 대변이 뒤가 묵직하다’가6명(6.98%), ‘식욕이없다’ 와 ‘신물이 자주 나온다’가 각각 5명 (5.81%),‘ 설사가 있다’, ‘ 복통이 있다’, ‘설사를 자주 한다’가 각각 4명 (4.65%), ‘헛구역질 한다’ 와 ‘변비가 있다’ 가 각각 3명 (3.49%), ‘자주 토한다’ 가 1명 (1.16%) 순 이었다 (Table 3).

    3) 비뇨기계 증상

    비뇨기계 증상에서는 ‘소변을 자주 본다’가 16명(18.6%), ‘소변을 보아도 시원하지 않다’ 가 4명(4.65%),‘ 소변시 통증이 있다’ 가2명(2.33%),‘ 소변을 보기 힘들다’와 ‘요실금이 있다’가 각각 1명 (1.16%) 순이었다 (Table 4).

    4) 근골격계 증상

    근골격계 증상에서는 ‘어깨가 아프다’ 가 34명(39.53%), ‘목덜미가 아프다’가 29명 (33.72%), ‘허리가 아프다’가 17명 (19.77%),‘ 무릎이 시큰거리는 통증이 있다’가 11명 (12.79%), ‘무릎이 아프다’가 8명(9.3%), ‘ 손목이 아프다’ 가 7명 (8.14%), ‘손가락이 아프다’ 가 5명 (5.81%), ‘발목이 아프다’ 가 4명 (4.65%),‘발목을 자주 삔다’ 가 2명(2.33%), ‘어깨를 들 수없다’, ‘팔꿈치가 아프다’, ‘허리가 시큰거려 돌아눕지 못 한다’ 가 각각 1명 (1.16%) 순 이었다 (Table 5).

    5) 신경정신계 증상

    신경정신계 증상에서는 ‘항상 피곤하다’ 가 47명 (54.6 5%), ‘두통이있다’가17명(19.77%), ‘어지러움증이 있다’가 11명 (12.79%), ‘자주 놀랜다’가 9명 (10.47%), ‘자주 깬다’가 8명 (9.3%),‘ 가슴이 두근거린다’ 와 ‘불면증이 있다’ 가 각각 7명 (8.14%),‘ 전신에 힘이 없다’가 6명(6.98%),‘ 몸이 무겁다’ 가5명(5.81%), ‘불안 초초하다’ 가 4명 (4.65%), ‘꿈을 많이 꾼다’가 3명 (3.49%), ‘우울증이 있다’가 1명 (1.16%) 순 이었다 (Table 6).

    6) 기타 증상

    기타 증상에서는 ‘눈이 피로하다’가 48명 (55.81%), ‘땀을 많이 흘린다’ 가26명(30.23%), ‘눈이 침침하다’ 가21명 (24.42%), ‘눈이 자주 충혈된다’가 20명 (23.26%),‘ 귀에서 우는 소리가 있다’가 17명 (19.77%),‘ 혀에 백태가 많이낀다’가9명(10.47%),‘ 눈꼽이 자주낀다’ 와 ‘머리카락이 자주 빠진다’ 가 각각 8명(9.3%), ‘피부가 가렵다’ 가 7명(8.14%), ‘입이 마르다’가 6명(6.98%),‘ 난청이 있다’ 가 5명 (5.81%), ‘목안이 아프다’가 4명 (4.65%),‘ 얼굴이 붓는다’ 가 3명(3.49%), ‘입 안이 쓰다’ 와 ‘귀가 아프다’ 가 각각 2명 (2.33%) 순 이었다 (Table 7).

       5. 濕痰으로 변증된 群에서의 증상별 빈도

    문진표를 작성한 총 178명 중 濕痰으로 변증된 78명에서 호소한 증상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1) 호흡기계 증상

    호흡기계 증상에서는 ‘코가 자주 막힌다’ 가 17명 (21.7 9%), ‘가슴이 답답하다’ 가16명(20.51%), ‘가래가 많이 끓는다’ 와 ‘목에 가래가 붙어 있다’가 각각 15명 (19.23%), ‘기침을자주한다’ 가11명(14.1%), ‘재채기를 자주 한다’가 10명 (12.82%), ‘콧물이 자주 난다’ 와 ‘한숨을 자주 쉰다’가각각8명(10.26%),‘ 가슴에 결리는 통증이있다’ 가 7명 (8.97%),‘ 코가 잘 헌다’와‘코피가 자주 난다’ 가 각각 2명 (2.56%),‘ 야간에 기침이 심하다’ 와 ‘ 숨이 가쁘다’가 각각 1명 (1.28%) 순 이었다(Table 2).

    2) 소화기계 증상

    소화기계 증상에서는‘속이 더부룩하다’가 23명 (29.49%), ‘설사가있다’ 가13명(16.67%), ‘변비가있다’가9명 (11.54%), ‘소화불량’, ‘트림을 자주 한다’, ‘대변이뒤가 묵직하다’가 각각 8명(10.26%), ‘속이쓰리다’가 7명 (8.97%), ‘대변이 무르다’와 ‘설사를 자주 한다’가 각각 6명 (7.69%), ‘ 식욕이 없다’ 와 ‘헛구역질 한다’ 가 각각 4명 (5.13%), ‘신물이 자주 나온다’가 3명 (3.85%), ‘복통이 있다’가 2명 (2.56%) 순 이었다(Table 3).

    3) 비뇨기계 증상

    비뇨기계 증상에서는 ‘소변을 자주 본다’ 가 10명 (12.8 2%), ‘소변을 보아도 시원하지 않다’ 가 3명 (3.85%), ‘소변을 보기 힘들다’ 가 1명 (1.28%) 순 이었다(Table 4).

    4) 근골격계 증상

    근골격계 증상에서는 ‘어깨가 아프다’ 가 33명 (42.31%), ‘목덜미가 아프다’가 29명 (37.18%), ‘허리가 아프다’ 가 25명 (32.05%), ‘무릎이 아프다’가 13명 (16.67%), ‘손목이 아프다’가 11명 (14.1%), ‘손가락이 아프다’와 ‘무릎이 시큰거리는 통증이 있다’가 각각 8명(10.26%), ‘ 발목이 아프다’가 4명 (5.13%), ‘ 발목을 자주 삔다’가 3명 (3.85%), ‘팔꿈치가 아프다’ 와 ‘허리가 시큰거려 돌아 눕지 못 한다’ 가 각각 2명 (2.56%), ‘어깨를 들 수 없다’ 와 ‘발가락이 아프다’가 각각 1명 (1.28%)순 이었다 (Table 5).

    5) 신경정신계 증상

    신경정신계 증상에서는 ‘몸이 무겁다’ 가 17명(21.79%), ‘항상 피곤하다’가 11명 (14.1%), ‘ 어지러움증이 있다’ 가 10명 (12.82%), ‘두통이 있다’ 가 9명(11.54%), ‘ 가슴이 두근거린다’ 와 ‘꿈을 많이 꾼다’가 각각7명(8.97%), ‘ 전신에 힘이 없다’ 가 5명(6.41%), ‘불면증이 있다’ 와 ‘자주 깬다’ 가 각각 3명 (3.85%), ‘자주 놀란다’ 와 ‘우울증이 있다’ 가 각각 2명 (2.56%), ‘불안 초조하다’가 1명 (1.28%) 순 이었다 (Table 6).

    6) 기타 증상

    기타 증상에서는 ‘눈이 피로하다’ 가 17명 (21.79%), ‘눈이 침침하다’ 가 14명(17.95%), ‘눈꼽이 자주낀다’ 와 ‘피부가 가렵다’ 가 각각 11명 (14.1%), ‘ 눈이 자주 충혈된다’ 가10명 (12.82%),‘ 혀에 백태가 많이 낀다’가 9명(11.54%), ‘입이 마르다’ 가 8명 (10.26%), ‘땀을 많이 흘린다’ 와‘ 머리카락이 자주 빠진다’ 가 각각 7명 (8.97%), ‘ 얼굴이 붓는다’가 5명 (6.41%), ‘ 귀에서 우는 소리가 있다’ 가 4명(5.13%), ‘ 입 안이 쓰다’가3명(3.85%), ‘목안이 아프다’와 ‘귀가 아프다’ 가 각각 2명 (2.56%), ‘난청이 있다’ 가 1명 (1.28%) 순 이었다 (Table 7).

       6. 氣虛群과 濕痰群사이의 증상별 유의성 조사

    氣虛群과 濕痰群으로 나눠 각각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을 조사하였다.

    1) 호흡기계 증상

    호흡기계에서 氣虛群에서 濕痰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은 ‘콧물이자주난다’, ‘ 코가잘헌다’, ‘ 코피가 자주난다’, ‘ 야간에 기침이 심하다’, ‘ 숨쉬기가 곤란하다’, ‘ 숨이 가쁘다’, ‘ 한숨을 자주 쉰다’ 였고, 濕痰群에서 氣虛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은‘기침을 자주한다’,‘ 가래가많이끓는다’, ‘ 목에 가래가 붙어 있다’, ‘가슴이 답답하다’ 였다 (Table 2).

    2) 소화기계 증상

    소화기계에서 氣虛群에서 濕痰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은 ‘식욕이 없다’, ‘ 대변이 무르다’였고, 濕痰群에서 氣虛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은 ‘헛구역질한다’, ‘ 속이 더부룩하다’, ‘ 변비가있다’, ‘ 대변이뒤가묵직하다’, ‘ 설사가있다’였다(Table 3).

    3) 비뇨기계 증상

    비뇨기계에서 氣虛群에서 濕痰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은 ‘소변 시 통증이 있다’ 였고, 濕痰群에서 氣虛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은 없었다 (Table 4).

    4) 근골격계 증상

    근골격계에서 氣虛群에서 濕痰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호소한 증상은 없었고, 濕痰群에서 氣虛群보다 의미 있게많이 호소한 증상들은 ‘손목이 아프다’, ‘ 허리가 아프다’, ‘무릎이 아프다’ 였다 (Table 5).

    5) 신경정신계 증상

    신경정신계에서 氣虛群에서 濕痰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은 ‘두통이있다’, ‘ 자주놀란다’, ‘ 불면증이있다’, ‘ 항상 피곤하다’였고, 濕痰群에서 氣虛群보다 의미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은 ‘꿈을 많이 꾼다’, ‘ 몸이 무겁다’였다 (Table 6).

    6) 기타 증상

    기타에서 氣虛群에서 濕痰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은‘눈이자주충혈된다’, ‘ 눈이침침하다’, ‘ 귀에서 우는 소리가 있다’, ‘ 난청이 있다’, ‘ 땀을 많이 흘린다’ 였고, 濕痰群에서 氣虛群보다 의미 있게 많이 호소한 증상들은‘입이 마르다’ ,‘ 혀에 백태가 많이 낀다’, ‘ 얼굴이 붓는다’, ‘ 피부가 가렵다’ 였다(Table 7).

       7. 기기진단 결과의 평균값과 氣虛群과 濕痰群사이의 유의성 조사

    설문지를 작성한 齒痕舌을 가진 대상자 총 178명에게 자율신경 균형검사, 말초혈액 순환검사, 체성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조건에 맞지 않거나 정확한 결과를 얻지 못한 14명을 제외한 164명의 결과 값을 조사하여 齒痕舌을가진 남자의 검사 상 일반적인 특성과 氣虛群과 濕痰群으로 변증된 사람들 간의 검사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이들의평균 나이는 38.15세 이었고, 氣虛로 변증 된 사람은 76명, 濕痰으로 변증된 사람은 74명이었으며 氣虛나 濕痰으로 분류할 수 없는 사람은 14명이었다.

    1) 자율신경 균형검사

    자율신경 균형검사에서는 점수에 따라 단계가 정해지는데 자율신경 활성도는 측정 결과 수치값이 50~70점은 매우 나쁨, 70~90점은 나쁨, 90~110점은 정상, 110~130점은 좋음, 130~150점은 매우 좋음이다. 자율신경 균형도는 150~100점은 매우 불균형, 100~50점은 불균형,50~0점은 균형이다. 스트레스 저항도는 50~70점은 매우나쁨, 70~90점은 나쁨, 90~110점은 정상, 110~130점은좋음, 130~150점은 매우 좋음이다. 스트레스 지수는150~130점은 매우 나쁨, 130~110점은 나쁨, 110~90점은 정상, 90~70점은 좋음, 70~50점은 매우 좋음이다. 피로도는 150~130점은 매우 나쁨, 130~110점은 나쁨, 110~90점은 정상, 90~70점은 좋음, 70~50점은 매우 좋음이다. 평균 심박동수는 50~60회는 매우 낮음, 60~65회는 낮음, 65~81회는 정상, 81~100회는 높음, 100~110회는 매우 높음이다. 심장 안정도는 50~70점은 매우 나쁨, 70~90점은 나쁨, 90~110점은 정상, 110~130점은좋음, 130~150점은 매우 좋음이다.

    전체 164명의 자율신경 활성도의 평균값은 87.40점,자율신경 균형도는 47.32점, 스트레스 저항도는 89.09점,스트레스 지수는 104.24점, 피로도는 110.26점, 평균 심박동수는 77.18회, 심장 안정도는 93.38점, 異常심박동수 1회 이상은 15명이었다.

    氣虛群으로 변증된 사람들의 자율신경 활성도의 평균값은 87.33점, 자율신경 균형도는 48.24점, 스트레스 저항도는 88.80점, 스트레스 지수는 104.08점, 피로도는110.84점, 평균 심박동수는 76.46회, 심장 안정도는91.91점, 異常심박동수 1회 이상은 10명이었다.

    濕痰群으로 변증된 사람들의 자율신경 활성도의 평균값은 88.15점, 자율신경 균형도는 48.45점, 스트레스 저항도는 90.51점, 스트레스 지수는 103.23점, 피로도는 108.96점, 평균 심박동수는 77.62회, 심장 안정도는 95.05점, 異常심박동수 1회 이상은 5명이었다.

    자율신경 균형검사의 결과에서 氣虛群과 濕痰群의 평균 값을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자율신경 균형검사의 결과에서 氣虛群과 濕痰群의 결과 값을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2) 말초혈액 순환검사

    전체 164명의 말초혈액 순환검사의 연령대비 결과의 평균값은 DPI -69.25, SP -82.86, BVT -14.35, RBV -18.82, VCT 288.11, HR 76.22회이었다. 혈관노화 단계는 정상 28명 (17.07%), 1단계 129명 (78.66%), 2단계 3명 (1.83%), 3단계 3명 (1.83%), 4단계 1명(0.61%)이었다. 혈관상태점수는 평균 56.76점이었다. 연령 대비 혈관 상태는 표준 111명 (67.68%), 양호 23명(14.02%), 떨어짐 24명 (14.63%), 노화 6명 (3.66%)이었다.

    氣虛群의 말초혈액 순환검사의 연령대비 결과의 평균값은 DPI -70.11, SP -83.45, BVT -14.24, RBV -18.25, VCT 287.53, HR 75.28회이었다. 혈관노화 단계는 정상 16명 (21.05%), 1단계 55명 (72.37%), 2단계 3명 (3.95%), 3단계 1명 (1.32%), 4단계 1명(1.32%)이었다. 혈관상태점수는 평균 56.93점이었다. 연령 대비 혈관 상태는 표준 52명 (68.42%), 양호 10명(13.16%), 떨어짐 11명 (14.47%), 노화 3명 (3.95%)이었다.

    濕痰群의 말초혈액 순환검사의 연령대비 결과의 평균값은 DPI -68.19, SP -82.02, BVT -14.76, RBV -19.23, VCT 287.47, HR 76.74회이었다. 혈관노화 단계는 정상 9명 (12.16%), 1단계 63명 (85.14%), 2단계0명 (0%), 3단계 2명 (2.70%), 4단계 0명 (0%)이었다. 혈관상태점수는 평균 56.57점이었다. 연령 대비 혈관 상태는 표준 50명 (67.57%), 양호 10명 (13.51%), 떨어짐12명 (16.22%), 노화 2명 (2.70%)이었다.

    말초혈액 순환검사 결과에서 氣虛군과 濕痰군의 평균값을 비교 하였을 때 두 군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3) 체성분 검사 (괄호안의 값은 체중을 100%로 했을 때의 비율)

    전체 男子164명의 체성분 검사의 평균값은 키171.01cm, 체중 70.62㎏이었다. 제지방량은 53.87㎏(76.23%), 근육량은 49.77㎏ (54.88%), 체수분량은38.78㎏ (54.88%), 단백질량은 11.00㎏ (15.57%), 무기질량은 4.09㎏ (5.77%), 체지방량은 17.08㎏(23.65%)이었다. 부종지수의 평균값은 0.35, 체질량 지수는 24.26㎏/㎡이었고, 체지방율은 23.65%였으며 복부 비만율은 0.90이었다.

    氣虛群의 체성분 검사의 평균값은 키 171.87cm, 체중71.31㎏이었다. 제지방량은 54.41㎏ (76.09%), 근육량은 50.28㎏ (70.33%), 체수분량은 39.17㎏ (54.78%),단백질량은 11.10㎏ (15.54%), 무기질량은 4.13㎏(5.77%), 체지방량은 17.38㎏ (23.65%)이었다. 부종지수의 평균값은 0.35, 체질량 지수는 24.29㎏/㎡이었고,체지방율은 23.65%이었으며 복부 비만율은 0.90이었다.

    濕痰群의 체성분 검사의 평균값은 키 170.42cm, 체중70.46㎏이었다. 제지방량은 53.77㎏ (76.32%), 근육량은 49.69㎏ (70.45%), 체수분량은 38.72㎏ (54.95%),단백질량은 10.99㎏ (15.58%), 무기질량은 4.07㎏(5.77%), 체지방량은 16.90㎏ (23.67%)이었다. 부종지수의 평균값은 0.35, 체질량 지수는 24.35㎏/㎡이었고,체지방율은 23.67%이었으며 복부 비만율은 0.89이었다.

    체성분 검사 결과에서 氣虛群과 濕痰群의 평균값을 비교 하였을 때 두 군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IV. 고 찰

    舌診은 人體의 生理機能과 病理變化를 파악하는 望診法의 하나로 韓醫學의 발전과 더불어 중요한 診斷手段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舌診은 韓醫學의 辨證用藥에 중요한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洋醫學적 진단에도 대단히 유익하다16).

    舌診으로 관찰되는 여러 혀의 모양 중에서 齒痕舌도 人體의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 중 하나인데 의미 해석에 있어서 韓醫學과 洋醫學에는 관점의 차이가 있다.

    齒痕舌은 舌邊주위로 치아 자국이 보이는 것으로 보통水濕이 정체되어 혀가 커지는 ?大舌과 동반되어 잘 나타난다. ?大舌이 나타나면서 혀가 치아를 압력하게 되고 이것이 장기화되면서 혀에 치아 자국이 남게 되어 齒痕舌이나타나게 된다17). 齒痕이 있을 경우 韓醫學에서는 脾虛, 氣虛이거나 濕盛으로 보고, 세부적 辨證분류에 있어 혀가 비만하고 齒痕이 있다는 것은 脾虛寒濕內停을 의미하고, 혀가 淡白色이고 齒痕이 있으며 滑苔가 있는 것은 陽虛寒濕을 나타낸다. 또한 혀가 비만하고 齒痕과 瘀血點이 있는 것은 脾虛痰濕을 의미하고, 舌苔가 微黃하고 齒痕이 있으며 偏淡舌인 것은 脾氣虛挾濕을 나타낸다. 그리고 혀가 淡白色이고 齒痕이 있으며 白色苔의 바탕에 黃苔가 있는 것은 陽虛挾濕으로 진단된다18).

    洋醫學에서는 齒痕을 생체조직에서 압력의 균형이 잘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지표로 보고 있는데, 특히순환기 질환을 가진 환자나 신장질환, 간장질환 등 전해질 변화를 가진 환자에게 민감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19). 齒痕은 체내의 수분이 많은 경우와 영양부족으로 저단백혈증이 되어 있는 경우에 혀가 비대해지면서 부종이 생기며, 혀가 억눌린 상태가 되어 생긴다고 하는데19), 免疫機能이 저하된경우, 慢性腎炎, 甲狀腺癌, 乳腺癌등에서도 ?大舌, 齒痕舌등을 많이 볼 수 있다16).

    이와 같이 齒痕舌은 韓醫學과 洋醫學에서 여러 질병의 진단에 응용되고 있는데, 특히 韓醫學에서는 臨床的으로氣虛證과 濕痰證의 변증 지표로 유용하게 사용된다7).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齒痕舌을 가진 사람들의 변증진단과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나 齒痕舌이 氣虛나 濕痰의 변증지표임을 객관적으로 나타내어 주는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고 臨床에서는 齒痕舌을 개인적인 경험에 의거하여 氣虛나濕痰으로 변증하는 등 명확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다만김20)의 中風患者들을 대상으로 舌診을 통한 변증 연구와 송등21)의 설문지 통계분석을 통한 변증진단 객관화 연구, 배등8)과 김 등9)의 한방 부인과 연구용 설문지 (DSOM)를 통한 한의학적 진단방법의 객관화 연구 등이 있으나 이는 대상자가 中風患者또는 여자 患者로 이루어져 한계가 있었으며 齒痕舌의 객관적 변증 지표에 대한 내용도 부족하다. 또한 박7) 등의 연구에서는 齒痕舌이 氣虛證의 지표로 선정되기에는 어렵다는 견해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에 저자는남자의 변증진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와 齒痕舌의 객관적 변증 지표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동의의료원 한방의료검진에서 설문지 작성과 기기적 검사를 실시한사람 중 齒痕舌을 가지는 남자들과 동의의료원 한방 3내과 來院환자 중 齒痕舌을 가진 남자들이 작성한 설문과 검사결과를 가지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齒痕舌을 나타내는 남자 178명의 평균나이는 39.26세였다 (Table 1).

    변증 결과로는 전체 齒痕舌이 있는 남자 178명 중에서氣虛로 변증된 사람은 86명 (48.31%), 濕痰으로 변증된사람은 78명 (43.82%), 氣虛나 濕痰으로 분류할 수 없는사람은 14명 (7.87%)으로 나타나 齒痕舌이 氣虛나 濕痰, 둘 중 하나에 더 편중되어 나타나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齒痕舌이 氣虛나 濕痰진단의 필요조건은 될 수 있으나 여러 진단들이 종합되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 齒痕舌을 보이는 사람들의 증상 빈도를 보면(Table 2-7) 많은 빈도를 보이는 위의 증상들은 비뇨기계증상과 근골격계 증상을 제외한 대부분의 증상이 송 등21)의연구에 쓰인 변증설문지 문항의 氣虛와 濕痰문항내용과 일치하는 문항이 많았고, 한방병리학15)의 氣虛와 濕痰의 증상에 속하는 것들이었다. 齒痕舌만을 가지고 氣虛와 濕痰둘 중 하나로 변증하기는 어렵지만 齒痕舌을 가지는 사람에게 氣虛와 濕痰의 증상이 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대로 氣虛群과 濕痰群에서 齒痕舌이 나타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증검사설문지의 문항 내용과 中藥新約臨床硏究指導原則12)의 氣虛증상에 속하는‘항상 피곤하다’가 전체에서 세 번째로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은 이번연구 대상자인 齒痕舌을 가진 男子들이 濕痰群에 속하더라도 氣虛의 경향성도 같이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고려해 볼 수 있다.

    氣虛群과 濕痰群으로 나누어 각 群의 증상빈도를 조사하였을 때 호흡기계 증상에서는 氣虛群의 경우 가장 높은빈도의 증상은 ‘코가 자주 막힌다’ 였고, 濕痰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은‘콧물이 자주 난다’였으며 氣虛辨證문항내용을 살펴보면 ‘코가 자주 막힌다’ 의 증상을 제외하고 모든 문항이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濕痰群의 경우에도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은‘코가 자주 막힌다’였고,‘ 가슴이답답하다’가 氣虛群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濕痰辨證 문항에서는‘가슴에 결리는 통증이 있다’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기계 증상에서는 氣虛群의 경우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과 濕痰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 모두‘대변이 무르다’였고, 氣虛辨證문항내용을 살펴보면‘소화불량’의 증상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濕痰群의 경우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과 氣虛群에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은‘속이 더부룩하다’ 였고, 濕痰辨證문항에서는‘헛구역질 한다’, ‘ 속이 더부룩하다’, ‘변비가 있다’, ‘설사가 있다’의 증상들이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뇨기계 증상에서는 氣虛群의 경우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은‘소변을 자주 본다’ 였고, 濕痰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과 氣虛辨證문항에서의 유의성은 없었다. 濕痰群의 경우도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은‘소변을 자주 본다’ 였고, 氣虛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증상과 濕痰辨證 문항에서의 유의성은 없었다. 근골격계증상에서는 氣虛群의 경우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은‘어깨가 아프다’였고, 濕痰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과氣虛辨證 문항에서의 유의성은 없었다. 濕痰群의 경우에도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은 ‘어깨가 아프다’ 였고, 氣虛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은 ‘허리가 아프다’ 였다. 濕痰辨證 문항에서는‘손가락이 아프다’, ‘ 허리가 아프다’, ‘무릎이 아프다’ 의 증상들이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정신계 증상에서는 氣虛群의 경우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과 濕痰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 모두 ‘항상 피곤하다’ 였고, 氣虛辨證문항에서는‘두통이 있다’, ‘ 불면증이있다’, ‘ 항상피곤하다’의 증상들이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濕痰群의 경우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과 氣虛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 모두 ‘ 몸이 무겁다’ 였고, 濕痰辨證 문항에서도 ‘몸이 무겁다’의 증상이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증상에서는 氣虛群의 경우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과 濕痰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 모두‘눈이 피로하다’였고, 氣虛辨證 문항에서는 ‘눈이 피로하다’, ‘ 귀에서 우는 소리가 있다’, ‘땀을 많이 흘린다’ 의 증상들이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나타났다. 濕痰群의 경우 가장 높은 빈도의 증상은 ‘눈이피로하다’ 였으나 氣虛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은 ‘피부가 가렵다’였다. 濕痰辨證 문항에서는 ‘입이 쓰다’ 의 증상이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보면 각각의 증상들이 氣虛와 濕痰辨證문항 내용과는 일치하지 않는 항목도 있었지만, 氣虛群의 경우 濕痰群보다 유의성 있게 많은 증상들과 氣虛辨證 항목과 비교해서 살펴봤을 때 호흡기계와 소화기계,신경정신계, 기타의 증상들은 氣虛證과 일치하는 증상이 많았고, 특히 가장 많은 빈도의 증상이 ‘항상 피곤하다’ 는것은 氣虛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濕痰群의 경우에도 호흡기계, 소화기계, 신경정신계의 증상에서 濕痰의 증상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속이 더부룩 하다’, ‘ 몸이 무겁다’등의 증상이 많은 빈도로 나타나 濕痰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변증 설문과 통계처리를 통해 氣虛群과 濕痰群으로 나눈 후 세부 변증문항과 비교하였을 때 각 群과 일치하는 문항이 많은 것은 당연할 수 있으나 이는 기존의 연구7)에서 齒痕舌을 氣虛群의 진단지표로 보기 어렵다는 것과는 달리 氣虛群이 濕痰群에 비해 가장 빈도가 높고 유의성 있는 증상들이 변증문항에 더 많은 것은 齒痕舌이 있는 경우 氣虛로 변증될 확률이 높거나 다른 증상과 함께 氣虛의 증상도 함께 동반 될수도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라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臨床에서는 齒痕舌을 가지는 患者를 진단하는 경우 氣虛또는 濕痰중 한쪽으로 치우쳐 진단하거나 주로 氣虛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고, 본 연구를 시작할 때에도 齒痕舌이 氣虛로 진단될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했으나통계결과에서는 두 群이 비슷한 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 결과를 살펴 볼 때 전체 증상 중에서 많은 빈도를 나타내는 증상이 氣虛의 대표적 증상이라는 것과 氣虛群에서호소하는 증상이 氣虛문항과 일치하는 것이 濕痰群에 비해더 많은 것은 齒痕舌을 가진 사람에게 氣虛의 경향이 더 잘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해 볼 수 있게 한다.

    자율신경 균형 검사에서 자율신경 활성도는 자율신경계의 전체적 조절 능력을 반영하며 만성 스트레스나 질병이있는 경우에는 자율신경 활성도가 건강한 상태에 비해 많이 감소된다. 자율신경 균형도는 자율신경의 전체적인 균형정도를 반영한다. 스트레스 저항도는 심박동의 변화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체내 적응 능력을 의미한다. 스트레스 지수는 지수가 높아질수록 피로감이 커지며 두통, 불면, 근육통, 心悸亢進등의 신체 증상과정신적인 문제가 동반될 수 도 있다. 피로도는 자율신경활성도가 저하되고 스트레스를 과도하게 받을수록 심해진다22). 齒痕舌을 가진 사람들의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정상인에 비해 자율신경 활성도, 스트레스 저항도, 피로도의 결과는 나쁨으로 나왔고, 자율신경 균형도와 스트레스 저항도,심박동수와 안정도는 정상으로 나왔으나 각각 나쁨과 불균형의 값들에 근접해 氣虛증상에서 쉽게 나타날 수 있는 神疲12)로 쉽게 이행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말초혈액 순환검사는 동맥경화의 진행정도를 파악하거나 말초혈액순환 장애나 뇌혈관계질환 등의 예측, 또는 건강의 지표 등으로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22). 본 연구에서는 동맥경화나 말초성 혈관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APG검사를 정상인과 비교하여 혈관노화의 정도와 齒痕舌이 연관되는지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값 모두 연령대비 평균으로 나타났으며, 혈관 노화정도도 대부분 정상 또는 1단계였고, 혈관 상태 또한 표준으로 齒痕舌과 뇌혈관 또는 말초성 혈관 질환의 상관관계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血虛의 변증기준이 되거나 齒痕舌을 가진 사람에게혈행장애와 관련된 질환이 발병할 가능성이 낮음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체성분 검사 결과로는 齒痕舌을 나타내는 사람의 체형적특징을 관찰 할 수 있는데, 정상인과 비교해 볼 때 그 중 특징적인 수치인 부종지수는 0.35로 정상 범위 (0.30~ 0.36)였고, 체질량 지수는 24.26㎏/㎡으로 적정 수준 이상으로경계체중이었고, 체지방율도 23.65%로 적정 이상 이였으며 복부 비만율은 0.90으로 적정과 이상의 경계선에 있어 전반적으로 비만의 체형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데, 四象人의 체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22,23,24)는 많이 이루어져 있으나齒痕舌또는 氣虛나 濕痰의 체형별 특징을 조사한 경우는드물어 향후 기초자료로써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율신경 균형검사, 말초혈액 순환검사, 체성분검사에서 氣虛群과 濕痰群의 평균값을 비교 하였을 때 이두 군의 결과 값은 전체 결과 값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두군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도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맥진기 이외의 기기적인 진단으로는 韓醫學的 辨證의 보조지표로 사용되기는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변증설문지의 타당성 및 신뢰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부족하고 연구가 변증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어 齒痕舌의 변증분류를위한 체계적인 설문항목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남자 환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변증설문지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의미는 이제까지 齒痕舌의 辨證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었고, 객관적인 검사 결과를 조사한 경우도 없어 앞으로 齒痕舌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경향과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V. 결 론

    齒痕舌을 가진 남자, 총 178명이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변증 및 경향 분석을 실시하고, 이 중 기기적인 진단을 실시하여 그 중 진단검사가 완료된 164명의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齒痕舌의 검사 상 특징과 氣虛證, 濕痰證의 변증내용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문진표를 작성한 전체 178명의 齒痕舌을 가진 사람들중에서 氣虛로 변증된 사람은 86명 (48.31%), 濕痰으로 변증된 사람은 78명 (43.82%), 氣虛나 濕痰으로 분류할수 없는 사람은 14명 (7.87%)으로 나타나 齒痕舌만을 가지고 氣虛나 濕痰으로 변증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2. 전체 齒痕舌을 가진 사람들의 증상별 빈도 조사에서 각각 가장 많은 증상은‘코가 자주 막힌다’, ‘ 속이 더부룩하다’, ‘소변을 자주 본다’, ‘어깨가 아프다’, ‘항상 피곤하다’, ‘ 눈이 피로하다’이었다. 이는 氣虛證과 濕痰證에 포함되는 증상들이었다.

    3. 증상별 빈도 조사에서 氣虛群에서 濕痰群에 비해 유의성있게 가장 많은 증상은 ‘콧물이자주난다’, ‘ 대변이무르다’, ‘ 항상 피곤하다’, ‘ 눈이 피로하다’ 였고, 濕痰群에서 氣虛群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가장 많은 증상은 ‘가슴이 답답하다’, ‘속이 더부룩하다’, ‘허리가 아프다’, ‘몸이 무겁다’, ‘ 피부가가렵다’ 이었다. 위 증상들이氣虛와 濕痰 변증분류표의 문항 내용과는 일치하지 않는 증상도 있었으나 많은 빈도를 나타내는 증상들은 각각의 변증에 일치하는증상들이었다.

    4. 자율신경 균형검사, 말초혈액 순환검사, 체성분 검사결과는 대체로 평균 또는 적정 수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氣虛群과 濕痰群간에도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어 기기적인 진단으로는 韓醫學的 변증을 보조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Table 1.] Distribution of age

    label

    Distribution of age

    [Table 2.] Respiratory symptoms

    label

    Respiratory symptoms

    [Table 3.] Digestive symptoms

    label

    Digestive symptoms

    [Table 5.] Muscle and bone symptoms

    label

    Muscle and bone symptoms

    [Table 6.] Neuropsychiatric symptoms

    label

    Neuropsychiatric symptoms

    [Appendix 102] 氣虛· 濕痰변증 문항표

    label

    氣虛· 濕痰변증 문항표

참고문헌
  • 1. 이 봉교 1986 한방진단학 P.41-42 google
  • 2. 馬 元臺, 張 隱庵 1978 黃帝內經素問靈樞合編. P.74-288 google
  • 3. 楊 維傑 1980 黃帝內經靈樞解釋 P.104-146 google
  • 4. 馬 建中 1981 中醫診斷學 P.41-43 google
  • 5. 彭 淸華 2007 望診 P.247 google
  • 6. 1997 한방진단의 실제적 접근 P.84 google
  • 7. 박 세욱, 강 경원, 강 병갑, 김 정철, 김 보영, 고 미미, 최 동준, 조 현경, 이 인, 설 인찬, 조 기호, 최 선미 2008 중풍환자의 변증분형을 위한 설진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22 P.266 google
  • 8. 裵 景美 2002 한방부인과 辨證診斷설문지에 대한 評價와硏究 google
  • 9. 金 美眞 2006 韓方婦人科診斷說問紙DSOM (r) S.1.1信賴度硏究 google
  • 10. 최 선미, 박 경모, 정 찬길, 성 현제, 안 규석 2003 心病證 진단 요건의 표준 설정을 위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7 P.845-851 google
  • 11. 최 선미, 양 기상 1995 한의학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1 P.84-89 google
  • 12. 양 기상, 최 선미 1996 한방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2 P.17-198 google
  • 13. 2002 동의병리학 P.364 google
  • 14. 鄭 ?萸 2004 中藥新約臨床硏究指導原則 P.362-79 google
  • 15. 2002 한방병리학 P.80-218 google
  • 16. 박 종기 1998 舌診의 原理와 意義에 관한 考察 2(1) P.183-189 google
  • 17. 홍 순석 중의진단학 P.54-2009 google
  • 18. 임 양근 2003 진단학 아틀라스2 舌診 P.74-76 google
  • 19. 2007 한방·치과 진료에서 질환별로 알 수 있는 설진 P.4-49 google
  • 20. 金 東雄 1998 中風患者34例의 舌診에 對한 臨床的觀察 [대한동의병리학회지] Vol.12 P.28-32 google
  • 21. 송 낙근, 김 중길, 신 성화, 김 용호, 황 규동, 안 규석, 최 선미 2005 설문지 통계분석을 통한 변증진단 객관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Vol.11 P.127-138 google
  • 22. 李 政恒 2007 직장인 한방검진에 따른 사상체질별 특성에관한 연구 P.2-3 google
  • 23. 김 은영, 김 종원 2004 사상체질과 비만에 관한 임상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6 P.100-111 google
  • 24. 이 수경, 이 의주, 홍 석철, 고 병희 1996 신체계측 및 검사소견을 중심으로 한 사상인의 특징에 대한 분석 [사상체질의학회지] Vol.8 P.176-349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istribution of age
    Distribution of age
  • [ Table 2. ]  Respiratory symptoms
    Respiratory symptoms
  • [ Table 3. ]  Digestive symptoms
    Digestive symptoms
  • [ Table 4. ]  Urinary symptoms
    Urinary symptoms
  • [ Table 5. ]  Muscle and bone symptoms
    Muscle and bone symptoms
  • [ Table 6. ]  Neuropsychiatric symptoms
    Neuropsychiatric symptoms
  • [ Table 7. ]  Other symptoms
    Other symptoms
  • [ Appendix 101 ]  설문지
    설문지
  • [ Appendix 102 ]  氣虛· 濕痰변증 문항표
    氣虛· 濕痰변증 문항표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