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User's Requirement Analysis for Improvement of OASI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on User's Requirement Analysis for Improvement of OASIS

많은 검색엔진의 개발과 웹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키워드 검색에서 검색어에 의미를 부여하는 시맨틱 검색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런 흐름에 맞추어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의학술논문시스템(오아시스)의 개선도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오아시스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회원을 대상으로 소속이나 지위, 경력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분석과 오아시스의 편리성 및 제공되는 논문의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오아시스의 개선해야 할 방향으로 한의학연구를 위해 분야별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의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 한자 위주의 검색어에 대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자동화검색이 필요하며 키워드 검색방식을 탈피하고 동음이의어를 판별할 수 있는 전거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고문헌 인용지수 정보와 관련기관의 임상정보와의 연계 필요성 및 Open API를 이용한 해외 주요 사이트와의 연계검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오아시스는 한의학술논문을 서비스하는 국내 유일의 사이트인 만큼 한의계의 요구를 충분히 분석하고 검색의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한의학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
OASIS , Information Search System , Web 2.0 , User Analysis
  • 1. 서 론

    시스템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검색엔진의 도입으로 많은 과학관련 학술논문들이 다양한방법으로 검색되어 지고 있으며,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RIA: Rich Internet Application)의 출현으로 인해 웹 기술이 서비스 제공자에 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한의학 관련 논문들도 기존의 단순 텍스트 검색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검색 기법중의 하나인 의미단위 검색기술인 시맨틱 웹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되고 있다. 그리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국내에서 유일한 한의학 논문검색시스템인 오아시스에 개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의 시스템은 한의학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논문에 대한 DB구축과 서비스가 까다로워 새로운 기능들의 변경이 쉽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논문검색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추가 요구도 증가하고 있지만, 한의학의 체계가 정형화, 표준화 되지 않아 단순히 IT종사자의 의지대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다.

    특히 대부분의 용어들은 한자로 되어 있으며, 같은 용어라도 내용에 따라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의미에 대한 재해석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런 시맨틱 웹 기술의 도입과 웹 2.0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의학계에서 필요로 하는 검색방법의 정의와 사용자들의 요구분석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기존의 논문 검색에 한정되어 있던 기능을 확대하여 한의학 전반에 대한 통합검색이나 한의학 프로젝트 검색 및 분석을 통한 보고서 기능, 참고문헌에 대한 인용 지수 제공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분석이 필수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현재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한의학술논문통합검색시스템(이하 오아시스)을 대상으로 사용자들의 현재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연구의 관련성,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사용자의 만족도에 따라 기존의 서비스에 대한 수정과 신규서비스의 적용에 필요한 웹 기술들에 대한 선정을 위한 사전작업으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오아시스를 사용하고 있는 오아시스의 회원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웹 설문지법으로 사용자의 오아시스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총 3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하였으며 첫째, 인구사회학적 분석으로 사용자의 소속이나 지위 및 한의학 경력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둘째, 오아시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 조사로 전체적인 기능과 검색의 편리성 및 제공되는 논문의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오아시스의 개선해야 할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한의학 연구에 대한 중요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설문기간은 2009년 3월 1일부터 2009년 5월 30일로 3개월 동안 2차에 걸쳐 오아시스 회원 500명에게 메일을 통해 설문내용을 공지하였고, 이에 대한 답변은 61명으로 한의학 논문에 대한 업무의 관련성이 높은 사용자들이라 판단된다.

       2.2 선행연구

    본 연구는 한의학 학술논문에 대한 기존의 단순한 키워드 검색이나 텍스트 검색을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인 웹 2.0의 시맨틱 검색 도입과 기존 서비스에 대한 문제점 발견, 신규로 추가되어야 하는 기능들에 대한 정의와 구현을 위한 사전 기술을 조사하여 적용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진식(2008)은 대학원 대학도서관 운영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로 현장답사와 이용자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국적 글로벌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외국대학원생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한국에 대한 폭넓은 홍보를 통해 이들에 대한 이용자 교육에 의한 외부기관자원 활용방법 숙지 및 서지, 색인, 초록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 등에 만전을 기해야 하며 FISP(Forecasting Information Service Program)와 같은 정보서비스 전략 방안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는 오아시스의 검색 편리성을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해외의 한의학연 구자들을 위해 논문의 한글검색, 영문검색, 한자검색이 동시에 이루어 질수 있도록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송인석(2008)은 연구·학술정보의 효율적 검색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주제 색인어 구조화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술논문의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개념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정의를 통해 주제색인어 집합의 의미구조를 정형화 해 네트워크상에서 분석적 정보탐색을 통한 검색을 제시하였다. 오아시스에 유관기관과의 연계 검색이나 해외사이트의 연동검색을 위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다의어 처리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송인석(2008)은 연구·학술정보의 효율적 검색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주제 색인어 구조화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술논문의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개념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정의를 통해 주제색인어 집합의 의미구조를 정형화 해 네트워크상에서 분석적 정보탐색을 통한 검색을 제시하였다. 오아시스에 유관기관과의 연계 검색이나 해외사이트의 연동검색을 위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다의어 처리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남재우(2009)는 웹 2.0에서 제공하는 Open API를 이용하여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발전방향과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웹 2.0의 적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웹 2.0의 기술 중 RSS, Ajax, 소셜네트워크가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이를 발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매쉬업을 이용하여 둘이상의 API를 조합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내어야 한다고 하였다.

    3. 설문대상자 분석

       3.1 인구사회학적 분석

    본 연구의 질문지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즉 응답자의 속성을 소속기관별, 직업별, 한의학 관련 경력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질의에 응답한 대상자의 소속기관은 대학교 18명(29.5%), 부속한방병원 16명(26.2%), 한의원 16명(26.2%), 연구기관 7명(11.5%), 기타 4명(6.6%)으로 대학교 및 부속한방병원에서 근무하는 한의사나 한의학과 교수 및 학생들로 한의학 관련 사람들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직업별로는 한의사가 26명(42.7%)으로 가장 많았고, 교수가 17명(27.9%), 학생 11명(18%), 연구원 4명(6.6%), 기타 3명(4.9%)으로 나타났다.

    [표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분석

    label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분석

    한의학 관련 업무경력별로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사람이 23명(39.3%)으로 많았고, 5년 이상~10년 미만이 17명(27.9%), 3년 이상~5년 미만이 8명(13.1%), 1년 이상~3년 미만이 8명(13.15), 1년 미만이 5명(8.25)으로 경력이 많을수록 한의학 학술논문에 대한관심도가 높은 것을 나타냈다.

    소속별 직업별 분포를 보면 대상자가 대학교 소속인 경우는 학생이 11명(18%)으로 가장 많았고, 부속한방병원은 교수가 12명(19.6%), 한의원인 경우는 한의사가 16명(26.2%), 연구기관의 경우 연구원이 4명(6.5%), 한의사가 2명(3.2%)으로 한의학 관련 연구기관에서 근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한의사가 26명(42.6%)으로 가장 많았고, 교수 17명(27.9%), 학생 11명(18%) 순이었다(<표 2> 참조).

    [표 2]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직업분석

    label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직업분석

    또한, 10년 이상의 한의학 관련 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24명(39.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년 이상~10년 미만의 사람이 17명(27.9%)으로 나타나 5년 이상의 한의학 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41명(67.2%)으로 전체 대상자의 과반수이상 차지하여 경력이 높을수록 한의학술논문 검색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소속을 보면 부속한방병원이나 한의원에서 근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참조).

    직업별 경력을 보면,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사람은 교수 13명(21.3%), 한의사 10명 (16.3%)이고, 5년 이상~ 10년 미만은 교수 4명(6.5%), 한의사 9명(14.7%), 학생 3명(4.9%)으로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사람의 직업비율을 보면 한의사가 19명으로 가장 많고, 교수 17명, 학생 3명 순으로 나타났다 (<표 4> 참조).

    그리하여, 한의학 학술논문 검색시스템을 많이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분석한 결과, 한의학 임상 실험이나 연구 활동을 하는 교수 및 학생들과 현장에서 근무하는 한방병원 관계자와 한의원을 운영하는 한의사의 비율 높았다. 또한, 한의학에 대한 경력이 많을수록 한의학술논문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한의학경력 분석

    label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한의학경력 분석

    [표 4] 조사대상자의 직업별 한의학경력 분석

    label

    조사대상자의 직업별 한의학경력 분석

       3.2 오아시스 이용현황 분석

       3.2.1 오아시스 검색 이용도

    오아시스 사용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위해서 조사대상자의 오아시스 이용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속, 직업, 한의학 관련 경력별로 조사하였으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문대상자의 오아시스 검색 경험에 대한 결과는 59명(96.8%)이 경험이 있다고 답변을 하였으며, 2명(3.2%)만이 논문 검색에 대한 경험이 없다고 답변하였다. 이는 설문조사기간에 가입한 신규 회원으로 추측이 된다.

    자세한 내용을 보면, 오아시스 검색 경험이 있는 자 중에서 대학교 소속의 교수, 학생들이 18명(29.5%)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교 부속한방병원이 16명(26.2%), 한의원 15명(24.6%)으로 나타났다. 기타 소속과 연구기관 소속은 10명(16.3%)으로 분석되었다.

    직업별로 분석해 보면, 한의사가 25명(42.4%)으로 오아시스에 접속하여 검색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교수 17명(28.8%), 학생 11명(18.6%)으로 나타났다.

    한의학 관련 경력별로 분석해보면, 경력이 많을수록 오아시스 검색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오아시스 검색 경험

    label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오아시스 검색 경험

       3.2.2 오아시스 논문검색 횟수

    논문검색 횟수에 대한 분석 결과, 1개월에 2~3회 검색하는 대상자가 23명(40%), 1회 이상 검색하는 사람이 18명(31%), 10~15회 검색하는 사람이 13명(22%)으로 나타났으며, 30회 이상 검색하거나, 매일 오아시스에서 논문을 검색하는 대상자도 3명(5%)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보면 1개월 기준으로 1회 이상 검색하는 비율이 98%, 1주일 기준 1회 이상 검색하는 비율은 67%로 오아시스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1> 참조).

    소속별 검색 횟수를 보면 30회 이상 조회한 사람은 3명(5%)으로 모두 대학교 소속이었다. 0~15회 검색하는 수도 6명(10.2%)으로 검색 횟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대학 부속한방병원 소속인 사람은 10~15회가 4명(6.8%), 2~3회가 6명(10.2%), 1회 이상이 8명(13.6%)이었고, 한의원의 경우 10~15회가 4명(6.8%), 2~3회가 6명(10.2%), 1회 이상이 5명(8.5%)이었으며 연구기관 및 기타는 2~3회에 각각 3명(5.1%) 등 대부분 월 1회 이상 논문검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분류하면 30회 이상 검색한 사람은 대학교의 학생 3명이었으며, 교수는 10~15회에 6명, 1회 이상이 6명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한의사의 경우, 10~15회에 5명, 2~3회와 1회 이상에서 각각 10명씩 분포하여 한의사의 전체적인 접속 횟수가 평균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다른 직업의 사람들보다 검색 횟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경력별로는 30회 이상 논문검색을 하는 사 람들의 경력은 1년 미만이 1명, 3년 이상~5 년 미만이 1명, 5년 이상~10년 미만이 1명으 로 경력이 높다고 해서 논문검색을 자주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경력이 많 은 사람일수록 오아시스에 대한 관심과 검색 의 필요성이 높다는 것 을 알 수 있었으며, 경 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전반적인 검색 횟수가 높게 분포되었다(<표 6> 참조).

    [표 6] 조사대상자의 오아시스 검색 횟수

    label

    조사대상자의 오아시스 검색 횟수

    4. 오아시스 이용 만족도 분석

       4.1 항목별 만족도

    설문응답자를 통한 시스템 이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체적인 화면구성에 대한 조사결과, 매우 만족 5명(8.6%), 대체로 만족 24명(41.4%), 보통 23명(39.7%), 대체로 불만 6명(10.3%)으로 만족하는 비율이 불만의 비율보다 높았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는 60%로 나타났으며, 매우 불만은 없어 사용자들이 원하는 구성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7] 항목별 시스템 이용 만족도 분석

    label

    항목별 시스템 이용 만족도 분석

    논문검색의 편리성에 대한 조사결과는 만족 55.2%로 불만 17.2%보다 높았으나 매우 불만도 2명(3.4%)이 있어 논문검색에서의 문제점이 없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공되는 논문의 가치에 대한 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우 불만도 2명(3.4%)이 있었다.

    논문이용에 대한 통계자료 제공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서는 보통이 35명(60.3%)으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 만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검색결과응답에 대한 속도는 33명(56.9%)이 대체로 만족한다고 답하여 가장 많았으며, 4명이 매우 만족, 보통이 16명으로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대체로 불만과 매우 만족에 대해 각각 2명(3.4%)의 답변도 있었다.

    검색결과의 정확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체로 만족 29명(50.0%)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만족이 4명(6.9%)으로 전반적인 만족도는 56.9%였다. 하지만 매우 불만이 4명(6.9%)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기능에 비해 검색결과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파일의 품질에 대한 분석결과는 대체로 만족이 28명(48.3%)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만족 3명(5.2%), 보통이라고 응답한 17명(29.3%)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만족도는 53.5%로 나타났다.

    사용자에 대한 고객서비스에 대한 분석결과는 보통 32명(55.2%)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만족 3명(5.2%), 대체로 만족 13명(22.4%)으로 전반적인 만족도는 25.6%로 다른 부분에 비해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사용자에 대한 대응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4.2 전체 만족도

    오아시스를 이용하면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설문응답자의 42%가 대체로 만족한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보통이라는 응답이 39%로 그 뒤를 이었고 매우 만족 7%를 합하여 응답자의 49%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불만족은 12%로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속별로 보면 대학 및 대학교 부속병원의 소속자 중 매우 만족은 2명, 대체 만족은 15명, 보통은 12명, 대체로 불만족은 4명, 그리고 매우 불만은 1명으로 나타났으며 한의원과 연구기관에 소속된 대상자들은 매우 만족 2명, 대체로 만족 1명, 보통 8명으로 대학교에 소속된 대상자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참조).

    직업별로는 매우 만족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교수 2명과 한의사 1명이 있었으며, 대체로 만족한다는 응답과 보통이라는 응답은 한의사가 21명(35.6%)으로 교수나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 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하지만 매우 불만에서 교수(1명)가 응답하여 매우 만족과 매우 불만을 동시에 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만족도 수치가 52%를 차지하였다.

       4.3 오아시스의 연구 기여도

    오아시스 논문의 한의학 연구에 대한 기여도를 조사결과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체로 도움이 된다는 응답자가 23명(39%)으로 가장 많았고, 보통 15명(25.4%), 매우 도움 9명(15.3%)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54.3%로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이 12명(20.4%)이 되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시스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오아시스의 연구 기여도 조사결과

    label

    오아시스의 연구 기여도 조사결과

    5. 오아시스 개선방향

       5.1 신규 서비스에 대한 요구

    오아시스 논문검색시스템에서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기능 외에 추가로 서비스되었으면 하는 요청 기능들에 대한 조사결과 <그림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문항은 중복답안을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설문대상자의 답변 건수를 기록하기에 맞지 않아 비율로 계산하였다. 논문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에 대한 검색 기능과 논문의 세부검색 기능에 대한 요청이 21%로 가장 많았고, 타 서비스와의 연계검색 기능에 대한 요청이 20%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논문의 인용과 피인용 지수는 17%, 논문의 분석기능 12%, 논문저자에 관한 정보서비스 9%로 대부분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각 기능별 세부적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가) 논문의 세부검색 기능

    논문에 대한 세부검색 기능은 기존의 키워드나 주제별, 발행연도별로 검색하던 부분을 단순한 키워드 일치만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첫 번째 넣었던 단어와 두번째 입력한 단어의 형태를 비교하여 추론검색을 하는 방법이다. 이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답변 결과는 소속별로 대학교 13명(22%), 한의원 12명(20.3%), 부속한방병원 11명(18.6%), 연구기관 4명(6.8%), 기타 3명(5%)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별로는 한의사가 19명(32.2%)으로 가장 많았고, 교수 12명(20.3%), 학생 8명(13.5%), 연구원 2명(3.4%) 순이었다. 경력별로는 10년 이상이 16명(27.1%)으로 가장 많았고 5년에서 10년 미만이 14명(23.7%), 경력 1~3년 중 2~3회 검색하는 사람이 18명(30.5%)으로 가장 많았고, 한 달에 1번이 16명(27.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부기능에 대한 요청은 기존의 기본 검색과 상세검색과는 다른 비중도의 검색 같은 다각적인 방법의 검색을 요구하는 경우였다.

    나) 논문의 분석 기능

    논문의 분석 기능은 해마다 발행되는 논문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렇게 되면 논문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고, 연도별로 관심사항이 어떻게 변경되고 이슈화되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의 서비스 요구에 대한 소속별 비율을 보면 대학교 7명(11.8%), 부속한방병원 5명(8.4%), 한의원 5명(8.4%), 연구기관 4명(6.7%), 기타 3명(5%)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한의사가 10명(16.9%)으로 분석기능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 5명(8.4%), 학생이 4명(6.7%) 순이었다. 경력별로 보면, 5년 이상~10년 미만이 9명(15.2%), 10년 이상 7명 으로 5년 이상이 16명(27.1%)으로 경력이 많은 사람들이 논문의 분석 기능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오아시스에 접속하는 횟수별로는 한 달에 2~3회 접속하는 사람이 11명(18.6%)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 유관기관의 서비스 연계검색

    현재 우리나라에는 11개의 학의과 대학과 1개의 한의학전문대학원이 존재한다. 각 대학마다 많은 논문과 관련서적을 보여 유관기관과의 연계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문헌에 나타난 임상 실험 데이터의 연계 검색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 소속별 비율을 보면 부속한방병원 14명(23.7%), 대학교 12명(20.3%), 한의원 8명(13.5%) 순으로 병원에 근무하는 조사자의 답변이 많았다. 또한, 한의사 16명(27.1%), 교수 13명(22%), 학생 7명(11.8%), 연구원 5명(8.4%)으로 실무와 관련성이 높을수록 타 서비스와의 연계를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 보면, 5년 이상이 16명(27.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1~5년에는 12명(20.3%)이 요구하였다. 오아시스 접속 횟수별로는 한 달에 한번이 16명(27.1%), 한 달에 2~3회가 14명(23.7%), 일주일에 2~3회가 9명(15.2%)으로 나타났다.

    라) 논문에서 인용된 참고문헌 보기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선행연구에 대한파악이 중요하다. 또한 기존의 논문의 인용정도에 따라 논문의 가치도 바뀐다.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 보기 기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속별로 부속한방병원 13명(22%), 대학교 10명(16.9%), 한의원 12명(20.3%)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직업별로는 한의사가 21명(35.6%), 교수 13명(22%), 학생 4명(6.7%)으로 업무의 관련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요청이 많았다. 경력별로는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조사자가 30명으로 전체의 69%로 나타났다. 오아시스 접속 횟수별로는 한 달에 1회가 17명(28.8%), 한 달에 2~3회가 16명(27.1%), 일주일에 2~3회가 10명(16.9%)으로 나타났다.

    마) 논문의 인용과 피인용 지수

    논문의 가치를 평가할 때 논문 인용 및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흔한 예이다. 그리하여 논문의 인용과 피인용 지수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소속별로 대학교 10명(16.9%), 부속한방병원 9명(15.2%), 한의원 7명(11.8%), 연구기관 6명(10.1%), 기타 2명(3.3%)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기관의 경우 다른 기능에 비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한의사 14명(23.7%), 교수 10명(16.9%), 학생 6명(10.2%), 연구원 3명(5%), 기타 1명(1.6%)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별로는 5년 이상이 22명으로 가장 많았다.

    바) 논문저자에 관한 정보

    논문저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은 웹 2.0의 관점으로 볼 때, 참여와 공유에 대한 관점으로 바라보게 된다. 논문저자의 전공과 주요연구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자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줄 수 있는 기능에 대한 내용이다. 전체적으로 가장 적은 선호도를 보여 다른 기능에 비해 중요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별로 대학교 5명(8.4%), 부속한방병원 4명(6.7%), 한의원 4명(6.7%), 연구기관 4명(6.7%)으로 나타났고, 직업별로는 한의사가 9명(15.2%), 교수 4명(6.7%), 학생 3명(5%), 연구원 1명(1.6%)으로 나타났다.

       5.2 서비스별 관련 연구의 중요도

    서비스별 한의학 연구에 대한 중요도 조사에 대한 설문결과,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우 중요 29.7%, 대체로 중요 38.5%, 보통 24.4%, 대체로 중요치 않음 6.8%, 매우 중요치 않음 0.2%로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68.2%를 차지하였다.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한 기능 중 해외의 관련 논문검색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7명, 논문에서 인용된 참고문헌 검색기능이 26명, 논문에 대한 세부검색 기능이 23%로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내용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체로 중요하다는 응답은 논문에 대한 분석기능과 논문의 인용과 피인용 지수에 대한 분석이 각각 29명으로 가장 많았고, 논문에 대한 세부검색 기능이 25명, 논문에서 인용된 참고문헌 검색기능이 23%의 순위로 나타났다.

    각 기능별 중요성에 대해 분석해 보면 논문에서 인용된 참고문헌 검색기능(15.2%)과 해외의 관련 논문 연계검색(15.2%), 논문의 세부 검색 기능(14.9%), 타 서비스와의 연계검색 기능(14.2%), 논문에 대한 분석 기능(13.0%), 논문의 인용지수와 피인용 지수(12.7%), 논문에 관한 세부정보(8.4%), 기타 고객서비스(6.5%) 순으로 나타났다. 각 기능에 대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자를 대상으로 소속별, 직업별, 경력별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논문의 세부검색 기능

    논문의 의미를 파악하여 검색하는 세부검색 기능에서는 소속별로는 대학교 9명(15.2%), 한방병원 6명(10.2%), 한의원 5명(15.2%), 기타 3명(5%)이었고, 직업별로는 한의사 11명(18.6%), 교수 5명(8.4%), 학생 5명(8.4%), 기타 2명(3.3%)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5~10년 9명(15.2%), 10년 이상 7명(11.8%), 1~5년 6명(10.2%), 1년 미만 1명(1.7%)으로 중요하다고 요청하였다.

    나) 논문의 분석 기능

    논문의 동양흐름에 대한 분석기능에서는 소속별로는 대학교 4명(6.7%), 부속한방병원 3명(5%), 한의원 3명(5%), 연구기관 1명(1.7%), 기타 2명(3.3%)으로 나타났고, 직업별로는 한의사 6명(10.2%), 학생 3명(5%), 교수 2명(3.3%), 연구원 1명(1.7%), 기타 1명(1.7%)으로 조사되었다. 경력별로는 5~10년 7명(11.8%), 10년 이상 2명(3.3%), 3~5년 2명(3.3%), 1년 미만 2명(3.3%)이었다.

    다) 유관기관 서비스와 연계검색

    타 서비스와의 연계검색에서는 소속별로는 부속한방병원 12명(20.3%), 대학교 8명(13.5%), 한의원 4명(6.8%), 연구기관 2명(3.3%), 기타 1명(1.7%)이었고, 직업별로는 한의사 12명 (20.3%), 교수 10명(16.9%), 학생 4명(6.8%), 기타 1명(1.7%)이었다. 경력별로는 5~10년이 11명(18.6%), 10년 이상 8명(13.5%), 1~5년 7명(11.8%), 1년 미만 1명(1.7%)이었다.

    라) 논문에서 인용된 참고문헌

    논문에 인용된 참고문헌의 검색 및 보기 기능에서는 소속별로는 부속한방병원 8명(13.5%), 대학교 5명(13.5%), 한의원 7명(11.8%), 연구기관 3명(5%), 기타 2명(3.3%)으로 나타났고, 직업별로는 한의사 15명(25.4%), 교수 6명(10.1%), 학생 2명(3.3%), 기타 3명(5%)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10년 이상이 10명(16.9%)으로 가장 많았고, 5~10년 8명(13.5%), 1~5년 6명(10.2%), 1년 미만 2명(3.3%) 순으로 나타났다.

    마) 논문의 인용과 피인용 지수

    논문의 인용과 피인용 지수보기에 대한 기능이 중요하다고 답변한 결과를 보면, 소속별로는 한의원 5명(8.4%), 대학교 3명(5%), 부속한방병원 2명(3.3%), 연구기관 2명(3.3%)으로 나타났고, 직업별로는 한의사 7명(11.8%), 학생 3명(5%), 교수 1명(1.7%), 기타 1명(1.7%)으로 조사되었다. 경력별로는 1~5년 7명(11.8%)으로 가장 많았고, 5~10 3명(5%), 10년 이상 1명(1.7%), 1년 미만 1명(1.7%) 순으로 조사되었다.

    바) 논문저자에 관한 세부정보

    저자의 관심도와 연구목표에 대한 협력연구자를 찾아 주는 기능으로 논문저자에 관한 세부정보 보기에 대한 소속별 결과는 대학교 3명(5%), 한의원 1명(1.7%)으로 나타났고 직업별로는 학생 3명(5%), 한의사 1명(1.7%)이었다. 경력별로는 3~5년 2명(3.3%), 5~10년 1명(1.7%), 1년 미만 1명(1.7%)으로 나타났다.

       5.3 해외논문과의 관련성

    <그림 5>에 연구자의 해외 논문과의 관련성 조사에서는 중국 27명(45%), 미국 22명(37%), 일본 8명(13%), EU 2명(3%), 인도 1명(2%)으로 한의학에 대한 비교 대상으로 중의학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주로 임상 실험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기 위함이었으며, NCBI의 PubMed에서 제공하는 생명정보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중국과 일본의 경우, 같은 동양의학이라는 맥락으로 비교연구를 위한 관련성을 꼽았으며, 중국, 일본의 비율이 높은 것은 한의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소속별로 비교한 결과, 대학교 소속의 연구자들은 중국 10명(16.9%), 일본과 미국 4명 (6.7%)으로 나타났으며, 대학한방병원은 미국 9명(15.2%), 중국 3명(5%), 일본과 EU가 각 2명(3.4%)씩 나타나 대학교 소속은 주로 중국의 한의학 논문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반면, 한방병원 소속인 사람은 미국의 논문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한의원 소속은 중국 10명(16.9%), 미국 5명(8.4%), 인도 1명(1.7%)으로 중국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기관 및 기타소속의 조사자들은 중국 5명(8.4%), 미국 4명(6.7%), 일본 2명(3.3%)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 비교한 결과를 보면, 중국의 논문에 가장 비중이 높은 직업은 한의사로 업무의 관련성이 높은 결과로 보인다. 미국은 교수, 일본은 학생이 관련성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경력별로는 5년 이상은 중국 19명(32.2%), 미국 13명(22%), 일본 6명(10.1%), EU 2명(3.3%), 인도 1명(3.3%)으로 경력이 짧은 조사자에 비해 전반적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아시스에서 논문검색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중국의 논문에 대한 비중이 높았으나, 한 달에 한번정도 오아시스에서 논문을 검색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미국의 비중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결론 및 제언

    많은 검색엔진의 출현과 웹을 표현하는 기술들의 발전으로 많은 학술논문검색시스템들은 기존의 키워드 검색을 탈피하여 새로운 정보서비스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한의학술논문검색시스템인 오아시스도 새로운 검색방법과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서비스를 위한 사전단계로 논문검색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설계와 구현에 영향을 미치며, 잘못된 구현으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보다는 더욱 혼란스러운 서비스가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술논문검색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자들의 구성분포와 사용패턴, 그리고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기능들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들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한의학술논문검색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의학술논문검색시스템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구성은 한의학을 전공하는 대학교의 교수나 한의원의 한의사로 경력이 높을수록 논문검색의 이용도가 높았다. 한의사 경력 많다는 것은 연령의 분포에서 나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IT에 익숙한 젊은 신세대라기보다는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위해서 검색방법을 간편하고 찾아보기 쉽도록 설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세검색 같은 경우, 검색식을 사용자가 직접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keyword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검색할 수 있는 시맨틱 자동화 검색시스템으로 설계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문용어의 자동해석 기능도 필요하다. 한의학은 주로 한문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컴퓨터의 자판은 한글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한글을 입력하여 검색하더라도 자동적으로 한자와 영어를 비교하여 한의학 전문용어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자동화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약재, 처방, 진단 등 한의학용어에 대한 온톨로지 구성이 우선 시 되어야 한다.

    둘째, 설문조사의 결과에서 보이듯 검색결과의 정확성에 대한 불만도 6.9%로 다른 항목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검색하는 방식이 고전적인 텍스트 검색에 치우치기 때문이다. 검색어에 대한 확장검색이나 제한검색을 통해서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거시스템의 도입도 필요하다. 전거시스템은 일정한 표목을 만들고 사용자의 키워드에 따라 확장해석을 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다 사장된 용어나 신규용어를 매칭시켜 주는 시스템이다.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에는 동의이음(同意異音)어와 동음이의어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의 뜻을 정확한 용어로 대체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칡'을 다른 이름으로 '갈근(葛根)'으로 부르고 있어 사용자가 '갈근(葛根)'으로 입력하면 '갈근(葛根)'과 '칡'으로 되어 있는 논문들이 검색 되도록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동음이의(同音異義)어인 '강활(羌活)'의 경우도 같은 예라 할 수 있다.

    셋째, 논문에서 인용된 참고문헌의 검색기능(21%)과 인용지수 및 피인용 지수에 대한 Impact Factor(12%)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저자가 참고한 논문에 대한 인용도를 측정하고 참고논문이 어느 정도 인용되었는지에 대한 지수를 보여 주는 기능이다. 인용지수 검색기능을 적용하면 사용자는 논문들의 인용에 대한 선후관계를 분석할 수 있고, 한 번의 검색으로 인용된 논문과 인용한 논문을 검색할 수 있어 논문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Impact Factor를 제공받음으로써, 검색한 논문의 중요도를 분석할 수 있게 되어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넷째, 유관기관과의 서비스 연계 검색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현재 오아시스는 한의학 논문을 주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한의학 연구자들에게는 논문뿐만 아니라 임상 데이터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 임상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의 시스템과 한의학 논문에서 발표된 임상 데이터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사용자들은 문헌에 나타난 데이터를 통하여 임상의 결과를 검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중요도 및 필요성에 대해 20%의 응답률을 보여 두 번째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앞에서 언급한 참고문헌의 검색 및 인용지수에 대한 서비스와 같은 흐름으로 볼 수 있다. 한의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문헌에 대한 검색뿐만 아니라 문헌에서 추출되는 유전자 정보나 화합물 정보도 필요로 한다.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미국의 생물정보센터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Pubmed나 Koreamed와의 연계서비스를 고려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두 번에 걸쳐 검색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중국이나 미국에서 서비스하는 논문들에 대한 링크정보만 제공하더라도 편리성은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한의학술논문시스템인 오아시스를 종합포털시스템으로 개편하여 한의학 논문을 포함한 한의학 관련 프로젝트 검색과 한의학에 대한 통계 서비스 및 분석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모든 기능을 포괄할 수 있는 기술들이 필요하다. 정보 융합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시맨틱 웹의 중요성은 높을 수밖에 없으며, 저자의 정보와 연구에 대한 관심도를 연결하기 위한 기술로 온톨로지 구축 및 SOA의 기술들이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 다. 사용자의 요구와 변화되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다면 오아시스를 논문검색뿐만 아니라, 한의학 종합정보 검색시스템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 1. 김 상균, 김 철, 장 현철, 예 상준, 송 미영 2008 약재 온톨로지를 활용한 약재 검색 매쉬업 시스템 [정보관리연구] Vol.39 P.173-186 google
  • 2. 김 석일, 신 인철, 신 인철 2008 웹 접근성을 고려한신기술 콘텐츠 제작기법 - JavaScriptFlex Flash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08-06 google
  • 3. 남 재우, 김 성희 2009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Web 20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P.123-146 google
  • 4. 송 인석 2008 연구학술정보 효율적 검색을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주제 색인어 구조화 방안 연구 [정보관리연구] Vol.39 P.122-124 google
  • 5. 윤 정옥 2009 인문학자의 전자정보원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P.6-28 google
  • 6. 정 진식, 오 미성 2008 대학원대학 도서관 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Vol.39 P.21-31 google
  • 7. 오아시스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분석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분석
  • [ 표 2 ]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직업분석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직업분석
  • [ 표 3 ]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한의학경력 분석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한의학경력 분석
  • [ 표 4 ]  조사대상자의 직업별 한의학경력 분석
    조사대상자의 직업별 한의학경력 분석
  • [ 표 5 ]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오아시스 검색 경험
    조사대상자의 소속별 오아시스 검색 경험
  • [ 그림 1 ]  오아시스 검색 횟수 분포도
    오아시스 검색 횟수 분포도
  • [ 표 6 ]  조사대상자의 오아시스 검색 횟수
    조사대상자의 오아시스 검색 횟수
  • [ 표 7 ]  항목별 시스템 이용 만족도 분석
    항목별 시스템 이용 만족도 분석
  • [ 그림2 ]  오아시스 사용자의 전체만족도
    오아시스 사용자의 전체만족도
  • [ 표 8 ]  오아시스의 연구 기여도 조사결과
    오아시스의 연구 기여도 조사결과
  • [ 그림 3 ]  서비스 추가 제공에 대한 비율
    서비스 추가 제공에 대한 비율
  • [ 그림 4 ]  기능별 한의학연구의 중요도
    기능별 한의학연구의 중요도
  • [ 그림 5 ]  연구자의 해외논문과의 관련성
    연구자의 해외논문과의 관련성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