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사상체질의학회지에 10년간 게재된 소음인 증례연구 논문 동향분석 - 2006년부터 2015년 까지 - A Trend Analysis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n Soeum Person i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rom 2006 to 2015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사상체질의학회지에 10년간 게재된 소음인 증례연구 논문 동향분석 - 2006년부터 2015년 까지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treatment of soeum person by analysing published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i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Methods

We have reviewed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in the Journal of Sasang Medicine from 2006 to 2015.

Results

Of the Twenty-four papers, reporting were reported in twenty-four papers. A total of 13 interventions were described, of which herbal medicine (100%) was most frequently used. Twenty-four papers reported herbal medicine, of which Palmulgunjatang (25%) was most frequently used. A total of 24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attern were used in 24 papers, for which soeum person kidney heat affection induced exterior heat disease depression frantic syndrome (25%) was most frequently used.

Conclusions

A sufficient number of clinical studies are warranted to provide a clinical basis for treatment of soeum person.

KEYWORD
Case reports , Case series , Trent analysis , Soeum person
  • Ⅰ. 緖論

    한의의료기관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전체 요양기관 진료비에 대해 2005년 4.4%였으나 이후 매년 감소하다 2009년부터 약간 회복한 뒤 2013년까지 3.9~4.0%로 정체되어 있다1. 이는 한의원 진료 시스템이 제각각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되고 표준화된 진료 제공을 못한 것이 큰 요인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양의에 비해 한의 보장성은 매우 협소한 실정이다2.

    이러한 한의계 상황에 보건복지부는 2011-2015년까지 제 2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을 마무리하고, 2016-2020년 추진할 제 3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 중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을 국가 주도하여 개발하고 이를 건강보험 급여화로 연계할 계획을 확정하였다3.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2016년에 진료지침을 인준하기 위한 범한의계 위원회 구축하였으며, 기획연구를 통한 진료지침 개발 우선순위 질병 30개 질환을 선정하는 등 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4.

    사상체질의학회에서는 표준화위원회를 설립하여,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병증을 중심으로 한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였다5-7. 이러한 연구가 국가에서 진행하는 임상진료지침에 포함되고, 향후 보장성 강화로 연결되려면 각 사상인별 질병, 변증, 치료법 등의 내용이 포함된 임상연구 동향파악 및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저자는 사상체질의학회지에 게재된 소음인 임상연구 중 실제 환자를 보는데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증례연구를 추출하여 질병, 변증, 치료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 硏究方法

       1. 연구논문 추출

    본 연구는 사상체질의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사상체질의학회지에 게재된 47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8. 2명의 저자가 연구디자인에 따라 논문을 분류하였으며, 의견이 다른 경우 합의 과정을 거친 뒤 진행하였다. 저자, 출판일, 나이, 성별, 환자 수, 중재법, 변증, 질병명, 체질진단 기준, 평가도구, 결론의 정보를 2명의 저자가 독립적으로 추출한 다음 통합하였다.

       2. 연구범위

    본 연구에는 소음인 임상연구 중 침, 한약 등의 중재법을 사용한 증례연구(case reports, case series)가 포함되었다. 무작위대조군연구, 대조군연구, 문헌연구, 설문연구, 실험연구, 소음인 증례연구가 아닌 경우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임상연구 중 중재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도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Ⅲ. 結果

       1. 검색과정 및 결과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사상체질의학회지에서 게재된 472편의 논문 중 임상연구는 211편, 문헌연구는 105편, 설문연구는 59편, 실험연구는 60편, 기타연구는 37편으로 나타났다. 임상연구 211편을 분류하였을 때, case reports가 84편, case series가 45, 무작위대조군 연구가 2편, 대조군연구가 3편, 중재법을 사용하지 않은 임상연구가 77편으로 나타났다. Case reports 84편, case series 45편 중 소음인 관련 case reports는 20편, case series는 4편으로 나타났으며 (Figure 1), 소음인 증례연구 논문의 특징은 다음의 Table 1, 2와 같다. Tagle 1, 2의 혈명은 ‘Standard Acupuncture Nomenclature9’를, 처방명, 사상변증, 증상은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10-11’과 표준한의학용어집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Case Reports of Soeum Person

    label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Case Reports of Soeum Person

    [Table 2.]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label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2. 연도별 논문과 cases 수

    지난 10년간 게재된 소음인 case series는 총 4편으로 2007년, 2008년, 2009년에 발간되었다. case reports는 2007년 이후 최소 1편 이상 꾸준히 발간되었다. 10년간 게재된 총 소음인 환자 수는 115 cases로, 2008년이 91 cases로 가장 많았다 (Figure 2).

       3. 중재법에 따른 분류

    24편의 논문에서 총 13개의 중재법이 사용되었는데, 한약이 24편, 침이 19편, 양약이 9편, 뜸이 8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2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중재법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Interventi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label

    Interventi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4. 한약에 따른 분류

    24편의 논문에서 총 64개의 한약(Herbal Medicine)이 사용되었는데, 팔물군자탕이, 향사양위탕이 6편, 곽향정기산, 십이미관중탕이 4편, 독삼팔물탕, 독삼팔물군자탕, 천궁계지탕, 향부자팔물탕이 3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3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중재법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Herbal Medicin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label

    Herbal Medicin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5. 사상변증에 따른 분류

    24편의 논문에서 사상변증을 사상변증을 언급한 논문이 23편, 변증을 보고하지 않은 논문이 1편으로 나타났다. 23편의 논문에서 총 24개의 변증이 사용되었는데, 소음인 신수열표열병 울광증과 소음인 위수한리한병 태음증이 6편, 소음인 위수한리한병 소음증, 소음인 신수열표열병 울광말증이 2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2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변증(Korean Medicine pattern)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atter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label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atter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6. 평가도구

    총 24편의 논문에서 총 53개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증상변화가 19편, VAS가 12편, 체온이 5편, 혈액검사가 4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2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평가도구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Outcome Measur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label

    Outcome Measur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7. 사상체질 진단 기준에 따른 분류

    24편의 논문에서 소음인을 진단하는데 8개의 진단 기준이 사용되었는데, 소증과 용모사기, 체형기상을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논문이 23편, 성정을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논문이 22편, QSCC를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논문이 14편으로 나타났다. 10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진단기준은 Table 7과 같다.

    [Table 7.] Diagnosis for Soeum Per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label

    Diagnosis for Soeum Per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8. 소음인 환자 질병명에 따른 분류

    24편의 논문에서 질병명을 언급한 논문이 20편, 질병명을 보고하지 않은 논문이 4편으로 나타났다. 20편의 논문에서 27개의 질병명이 언급되었는데, 아토피가 2편의 논문에서 언급되었고, 나머지 질병은 각각 1편의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Ⅳ. 考察

    Kim 등36의 연구에 의하면 2004년 국내 체질의료 서비스 시장 규모는 전체 전통의료 서비스의 23.8%인데 2015년에는 30.7%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았다. 이처럼 체질의학은 한의학의 가장 큰 장점인 맞춤형 치료에 부합하는 한국 고유의 의학이론이면서, 임상적으로 활용도도 매우 높기 때문에 어떠한 형태로든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과 보험 급여화에 포함되는 등의 국가체계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상체질의학회에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총 472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중 증례연구는 129편으로 전체 중 27.3%에 해당하였으며, 소음인 증례연구는 24편으로 증례연구 중 18.6%에 해당하였다. 총 24편의 소음인 관련 논문에서 115 cases의 소음인 환자 cases가 보고되었다. 현재 보고된 환자 수로는 질병별 소음인의 변증과 치료법까지의 근거를 제시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대한한의학회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등의 사상체질의학회지 이외의 학회지에 게재된 체질치료 치험례가 모두 조사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다음 연구에서는 조사범위를 사상체질의학회지가 아닌 전체 학회지를 대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소음인 증례연구 24편을 중재법, 사상체질 변증, 사상체질 진단 기준, 질병, 평가도구, 결론에 따라 Table 12로 정리하였다. 24편의 소음인 체질치료의 결론을 보면, 대부분의 논문에서 체질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로부터 체질치료가 임상적 효과가 뛰어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치료효과가 있었던 case만 보고했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대조군연구, 무작위 대조군연구 등의 근거 수준이 높은 임상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 체질치료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소음인 증례연구 24편 중 한약이 24편, 침이 19편, 양약이 9편, 뜸이 8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이는 사상의학의 특성상 이제마 선생님이 체질, 변증, 처방의 과정으로 『東醫壽世保元』을 저술했기 때문에 모든 소음인 증례연구에서 한약을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양약은 주 중재법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한의 치료를 중심으로 치료하는 과정에서 병행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는 증례연구를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기 때문에, 양방치료만 한 것보다 사상치료와 양방치료를 병행한 것이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등의 결론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후에 잘 디자인 된 대조군연구나 무작위대조군연구를 수행하여 체질치료의 우수성을 증명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사용된 변증을 보면 소음인 신수열표열병 울광증, 위수한리한병 태음증이 6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사용된 한약을 보면 팔물군자탕, 향사양위탕이 6편, 곽향정기산, 십이미관중탕이 4편, 독삼팔물탕, 독삼팔물군자탕, 천궁계지탕, 향부자팔물탕이 3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양의치료는 질병이 다르면 치료법도 다르지만, 한의치료는 질병이 달라도 변증 후 치료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처방을 포함한 치료법이 같을 수 있다. 이러한 한의치료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질병 중심의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 질병, 사상변증, 사상치료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4편의 논문에서 총 53개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증상변화가 19편, VAS가 12편, 체온이 5편, 혈액 검사가 4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질병명을 언급한 20편의 논문에서 27개의 질병명이 언급되었는데, 아토피가 2편의 논문에서 언급되었고, 나머지 질병은 각각 1편의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2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평가도구가 4종류인 것은 아토피를 제외한 나머지 질병이 각각 1편의 논문에서 언급되었기 때문에 질병별 특화된 평가도구가 1번씩만 사용되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또한 대부분의 논문에서 증상변화와 VAS를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한의학 특성상 객관화된 진단평가도구가 아닌 환자의 주관적 지표에 의존하여 치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대한한의학회에서 수행한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사업 기획연구에서는 질병별로 한의치료법이 수록된 논문을 분석 및 제시하도록 방향을 잡았으며37, 이는 기존 한의학연구원에서 제시한 한의임상 진료지침 개발 보고 가이드와 방향이 일치한다38. 따라서 2016년 시작 될 임상진료지침은 질병을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상의학이 임상진료지침 내용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질병명과 사상병증을 연결하는 근거자료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지난 10년간 사상체질의학회지에 게재된 소음인 증례연구를 종합하여, 다양한 질병에 체질치료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논문 수가 24편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체 학회지 검색을 통한 문헌고찰, 일선 한의원의 협조를 통한 소음인 증례자료를 수집하여 체질의학회 표준화위원회 등의 검토‧인준을 마친 뒤 논문 형태로 발표한다면, 사상치료가 임상진료지침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Ⅴ. 結論

    사상체질의학회지에 10년간 게재된 소음인 증례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지난 10년간 사상체질의학회지에 게재된 증례연구는 129편, 그 중 소음인 증례연구는 24편으로 증례연구 중 18.6%에 해당하였다.

    2. 24편의 소음인 체질치료의 결론을 보면, 대부분의 논문에서 체질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향후 전체 학회지 검색을 통한 문헌고찰, 개원의와 의 연계, 근거 수준이 높은 무작위 대조군임상연구를 통해 체질치료에 대한 자료를 확보한다면 사상치료가 임상진료지침 또는 국가 보장성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 1. 2014 2013 Year 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233-249 google
  • 2. Lee HJ 2015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Policy. Vol.3 P.50-64 google
  • 3.
  • 4.
  • 5. Lee JH, Lee EJ 2014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o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agnosis and Algorithm. [J Sasang Constitut Med.] Vol.26 P.11-26 google cross ref
  • 6. Lee JH, Lee EJ 2014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oyang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agnosis and Algorithm. [J Sasang Constitut Med.] Vol.26 P.224-240 google cross ref
  • 7. Lee JH, Lee EJ 2015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aeeumin and Taeyang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Diagnosis and Algorithm. [J Sasang Constitut Med.] Vol.27 P.13-41 google cross ref
  • 8.
  • 9. 1993 Standard Acupuncture Nomenclature. google
  • 10. 2007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google
  • 11.
  • 12. Cho SK, Bae HS 2007 A case study about soeumin with cognitive disorder from traumatic head injury.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19 P.204-212 google
  • 13. Kim EH, Seo YK, Kim DL, Koh BH, Cheon SH, Eo WK 2007 A case of advanced non-seminomatous germ cell tumor of the testis cancer with retroperitoneal lymph node metastasis: neoplastic pain & neoplastic fever treated by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treatment.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19 P.179-186 google
  • 14. Choi MG, Yoo JS, Choi JW, Yoon JY 2008 A case study about soeumin mang-yang syndrome with redness of urine and urination difficulty.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0 P.129-134 google
  • 15. Kim NY, Choi IH, Lim CS, Shin MR 2007 A clinical study of the undifferentiated somatoform disorder improved with hyangbujapalmul-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19 P.204-212 google
  • 16. Park SJ, Kwon SD, Jeon SH, Kim JW 2008 A case report of soeumin pneumothorax.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0 P.184-189 google
  • 17. Lee SY, Ban DJ, Bae HS, Park SS 2009 A case study of yul gyuk similarity in soeumin patient.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1 P.263-269 google
  • 18. Kim NY, Shin MR 2009 A case report of a streprococcal skin disease patient who improved with soeumin therapy.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1 P.153-162 google
  • 19. Lee PJ, Kim SK, Song EY, Lim EC, Seo YM 2010 A Clinical Case of Soeumin Abnormal Uterine Bleeding from Endometriosis with Onbaek-wo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2 P.108-114 google
  • 20. Lee SY, Bae HS, Park SS 2010 A case report if soeumin atopic dermatitis patient improved by gwakhyangjeonggi-sa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2 P.106-112 google
  • 21. Lee SY, Choi AR, Goo DM 2010 The clinical study on 1 case of soeumin patient diagnosed as grave's disease, treated with palmulgunja-tang and western medicine.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2 P.98-105 google
  • 22. An JH, Kwon EM, Song AN, Kim EH, Park SJ, Jung YH 2011 A Case of Soeumin Rectal Cancer Misdiagnosed as a Taeyangin and Mistreated with Mihuedungsikjang-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3 P.533-540 google
  • 23. Kim MJ, Bae HS, Park SS 2011 A case report of soeumin tidal fever patient with pelvic pai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3 P.254-262 google
  • 24. Ha JH, Choi AR, Kim ST, Koo DM 2011 A Case Report of Soeumin Diagnosed to Pleural Effusio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3 P.125-130 google
  • 25. Han SJ, Jung DS, Choi DS, Song JM 2011 A clinical Study do the patient hot flush on the palms and soles of the feet Improved with Hyangbujapalmul-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3 P.412-418 google
  • 26. Choi SH, Song AN, An JH, Kim EH, Park SJ, Kim KS 2012 A Case Study of Soeumin with Peripheral T-cell Lymphoma who Showed Symptomatic Improvement including Fever, Myalgia, Performance Status, and Headache after Treated with Osuyubujaijung-tang and Geopoong-sa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4 P.100-108 google cross ref
  • 27. Lee JH, Choi JS, Shin MR 2011 A case study of psoriasis treated with soeumin goepoong-sa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3 P.254-262 google
  • 28. Kim ST, Choi AR, Koo DM 2013 A Case Report of Soeumin Adult Atopic Dermatitis Improved with Sipyimigwanjung-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5 P.115-123 google cross ref
  • 29. Oh JA, Shin MR 2013 A case study of urinary disturbance treated with soeumin’s bojungikgi-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5 P.396-405 google cross ref
  • 30. Park YG, Lee MS, Bae NY 2014 A case study of soeumin greater yin symptomatology patient diagnosed as cerebellar ataxia.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6 P.194 google cross ref
  • 31. Kho CH, Nam HI, Yu JS 2015 A case of anorexia, low blood pressure and cold hypersensitivity treated with osuyubujaijung-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7 P.189-198 google cross ref
  • 32. Hong SY, Kim TH, Han DN, Lim EC 2007 Two case reports on soeumin woolgwang-incurable disease with vascular dementia.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19 P.213-222 google
  • 33. Yim DH, Kim DR 2008 The study about the clinical use of gwanjung-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0 P.30-42 google
  • 34. Lee PJ, Han DN, Kim SK, Lim EC, Kim HJ 2009 Case reports of combined treatment of onbaek-won on two soeumin stroke patients with cb-inf who have constipatio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1 P.168-177 google
  • 35. Lee HM, Park SJ, Jeon SH, Kim OY, Kim JW 2009 Three cases of Soeumin Woolgwang Fever Improved by Doksampalmulkunja-tang.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21 P.154-167 google
  • 36. Kim HJ, Lee SW, Kim JY 2006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onstitutional medical care service.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ol.18 P.166-174 google
  • 37. 2015 A planning study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n korean medicine. google
  • 38. Lee MS, Lee JA, Choi TY, Choi J, Jun JH 2015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n korean medicine.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Figure 1. ]  Flowchart of study selection process
    Flowchart of study selection process
  • [ Table 1. ]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Case Reports of Soeum Person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Case Reports of Soeum Person
  • [ Table 2. ]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 [ Figure 2. ]  Study trend of soeum person papers and cases by year
    Study trend of soeum person papers and cases by year
  • [ Table 3. ]  Interventi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Interventi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 [ Table 4. ]  Herbal Medicin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Herbal Medicin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 [ Table 5. ]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atter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atter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 [ Table 6. ]  Outcome Measur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Outcome Measur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Soeum Person
  • [ Table 7. ]  Diagnosis for Soeum Per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Diagnosis for Soeum Per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