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영화의상에 나타난 환상성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pression Types of Fantasy in Movie Costumes for ‘Alice In Wonderland’ - Focused on the Theory of Fantasy in Literature -
ABSTRACT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영화의상에 나타난 환상성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중심으로 -

This study considered movie costumes shown in ‘Alice In Wonderland’ by Tim Burton based on the Theory of Fantasy in Literature by Tzvetan Todorov and Rosemary Jackson.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a case study on expression types of fantasy used in movie costumes with a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Theory of Fantasy in Literature. The Theory of Fantasy in Literature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new theoretic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a visual perspectiv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fashion as well as movie costume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ntasy can connote characteristics of the marvelous, the uncanny, and the imitative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ory of Fantasy in Literature. Second, the marvelous is what is not beautiful, not ugly, but is strange and surprising, and what escapes from the existing n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velous in movie costumes are expressed through cross-dressing or displayed by allowing the personified animal to wear clothes. Third, the uncanny is something that causes grotesque, disgusting, comic and recreational respon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canny in movie costumes are expressed through exaggerating and artificially transforming the body. Fourth, the imitative is the property of trying to imitate or follow other th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itative in movie costumes are indicated by dismantling and expanding a form through borrowing costumes from various ages.

KEYWORD
문학적 환상성 이론 , 영화의상 ,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 , 환상성의 표현 유형
  • 1. 서 론

    과거 인간의 심상 속에 내재해 있는 환상 세계에 대한 구현은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와 문자를 통하여 행하여졌으며, 주로 문자를 기반으로 구체화하는 문학에서 통용되어 왔다. 또한, 19세기 영상 시대의 도래는 문자로 구현되어왔던 이계(異界)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보다 구체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는 영화의 형태로 이행되도록 하였고(Kim & Kim, 2013), 현대 사회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은 허구의 실체인 환상의 세계를 현실과 가깝게 보다 구체적으로 실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환상의 세계와 관련된 일련의 시대적 변화들은 비가시적인 존재들이나 초자연적 세계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 또는 불안정한 현실 세계에서 벗어나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을 대변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즉, 현실에 실재하지 않는 무엇인가를 가시화한다는 의미의 환상성은 결국 실재와 잠재의 충돌로 형성되는 하나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관련된 최근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면 건축분야에서는 로즈메리 잭슨의 문학적 환상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비정형건축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Jeung, 2007)가 이루어졌으며, 영화 분야에서는 19세기 근대 전통적 리얼리즘에 대한 ‘환상문학’의 환상성과 실사영화와 애니메이션의 환상성의 발전양상을 토대로 팀 버튼의 ‘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영화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한 연구(Lee, 2010a)가 이루어졌다. 또한, 패션 분야에서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하여 고찰하는 연구(Choi, 2009; Chung, 2011; Lee, 2005a; Lee, 2010b),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하여 고찰하는 연구(Kim & Choi, 2011), 영화 의상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하여 고찰하는 연구(Lee, 2011; Rhew, 2006)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환상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문학적 환상성을 바탕으로 한 연구는 건축이나 영화의 분야에서 진행되었으며, 패션 분야에서는 판타스틱 영화의 의상을 분석하거나 환상성의 표현 특징을 토대로 의상이나 일러스트 작품을 디자인 관점에서 고찰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기에 연구진은 이와는 다른 문학적 환상성을 중심으로 영화의상에 대하여 분석하는 연구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환상과 무의식의 세계를 영상으로 표출하는 대표적인 영화감독인 팀 버튼(Tim Burton)의 영화 ‘이상한 나라 엘리스(2010)’에서 나타난 영화 의상을 대상으로 문학적 환상성의 이론을 제시한 츠베탕 토도르프(Tzvetan Todorov)와 로즈메리 잭슨(Rosemary Jackson)의 이론에 입각하여 고찰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기준으로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선정한 배경은 팀 버튼의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가 1971년 초판된 루이스 캐롤(Lewis Carrol)의 ‘거울의 나라 앨리스(Through the Looking-Glass and What Alice Found There)’의 문학작품에 근간하여 영상으로 표출됨으로써 텍스트(text)화되어 있는 문학의 환상성의 의미와 특성이 영화의 내용적인 측면과 맥락을 같이 함에 따라 영화의상에서 표현되는 환상성의 다양한 예술성 및 표현성의 측면을 연구하고 분석하는데 적합한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성성의 일반적인 개념과 츠베탕 토도르프와 로즈메리 잭슨의 문학적 환상성에 대한 이론의 고찰을 토대로 환상성의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팀 버튼의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내용과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문헌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문학적 환상성의 특성을 바탕으로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에서 나타나는 의상의 표현 유형에 대하여 분석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문학적 환상성과 관련된 학술단체에 게재된 선행 연구 논문, 국내·외 단행본, 인터넷 및 전문서적 등의 문헌자료를 통한 문헌연구와 팀 버튼 감독에 의해 2010년도에 제작된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DVD 캡처 이미지 18장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 시각 자료 분석 연구를 병행하였다.

    시각 자료의 선정에 대한 기준으로는 영화 속 환상의 세계인 ‘언더 랜드’의 장면을 중심으로 주요 인물들이 나타난 이미지 60장을 우선적으로 수집하였다. 이들 중 문학적 환상성 이론의 특징을 유형화한 3가지 항목, 즉, 경이성, 괴이성, 모방성에 입각하여 박사급 이상의 연구원 3인에 의해 보다 명료하게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18장의 이미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문학적 환상성 이론의 도입은 복식분야에서 영화의상 뿐만 아니라 패션에 나타난 시각적 관점 및 미적 특성을 보다 넓은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는데 있어 타분야와의 융합 및 새로운 사고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2. 이론적 배경

       2.1. 환상과 환상문학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

    환상(幻想)이란 Essence Korean language dictionary(2013)에 의하면 “현실에 없는 것을 있는 것같이 느끼는 상념(想念)”을 뜻하며 영어로는 ‘Fantasy’로써 그리스어인 ‘phantasie (phantasia=상상)’에서 유래된 말로 현존하지 않는 어떠한 것을 심상(心象)을 통하여 창조해 내는 것을 의미한다(Lee, 2005b). 또한, 중세 시대 사용된 ‘Fantastique’라는 프랑스어는 ‘귀신들린’ ‘공상적인’,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유형 존재의 흔적만을 지닌’, ‘환상담: 일반적으로 요정이야기, 유령이야기’를 가리키며, 특히, ‘호프만(E.T.A Hoffmann)이 유행시킨 초자연적 존재가 중심이 되는 이야기류’등의 의미로 변용되었다(Choi, 2003).

    환상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Smith(1953)는 인간이 개별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독창적인 상상력을 토대로 발현하는 것이며, 이는 인간의 오관(五官)을 통하여 지각할 수 있는 외계의 존재로부터 도유(導誘)하는 의미를 뛰어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심층적인 개념을 이루는 심중(心中)의 움직임이라고 하였다. 문학 비평가인 Hume(1984/2000)은 그녀의 저서에서 환상은 미메시스와 환상이 혼합된 이미 현실에 실재해있는 것들의 제한된 범위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행위에서 비롯된다고 하였으며, Baek(2007)의 연구에 의하면 환상은 현실에서 당연시했던 기본 원칙들이 전도(顚倒)될 시 생성되며, 그것은 고정관념을 넘어 인식을 해체하고 변화시킬 때에만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Leutrat(1995/2002)는 현실을 지배하고 있는 여러 법칙들의 왜곡(歪曲)이라고 정의하였다.

    다시 말해서, 환상이란 인간의 내적 체험 속에서 생성되며 무한한 창조적 욕구의 결과물로써 현실에서 인정하는 합의된 리얼리티의 범위에서 벗어날 때 생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실에서의 연장선 위에서 일원적이고 절대적인 특성을 지닌 내적 리얼리티의 가치를 수반한다고 할 수 있으며, 실재적인 것과 비실재적인 것 또는 외부의 세계와 내면의 세계의 불분명한 위치에 놓인 환상은 시각적인 형태로 가시화됨으로써 인간에게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다원적이고 상대적인 특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2.2. 문학적 환상성 이론에 대한 고찰

    프랑스학자 츠배탕 토도로프는 환상문학에 대하여 체계적인 고찰을 시도한 대표적인 학자로써 1970년에 『환상문학 입문』이라는 저서를 출간하였다. 종전에도 몇몇 프랑스 학자들에 의해서 환상문학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는데, 대표적인 예로써 피에르 조르주 카스텍스(Pierre Georges Castex)와 로제 카이유아(Roger Caillois) 등을 들 수 있다. 그들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환상이란 자연계의 초자연적인 요소가 표출되는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으나, 토도르프는 이와 같은 연구들에서 정의하고 있는 환상은 개념에 대한 외연(外延)을 너무 광범위하게 설정함으로써 거의 모든 시기의 문학 작품들이 환상문학의 범주에 포함됨을 지적하였다. 즉, 토도르프는 초자연적인 요소가 등장하는 것만으로 환상을 구분하기에는 너무 광범위하며, 환상의 범주를 축소하여 좀 더 명확한 정의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저서(Todorov, 1970/1975)에서 환상이 경이와 기괴의 연장선상의 지점에 있는 장르라고 언급한 토도르프는, 기괴(奇怪)장르에 포함되기 위해선 초자연적 요소가 스토리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어 자연 법칙으로 해석할 수 있어야 하며, 경이 장르에 속하기 위해선 자연법칙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초자연적인 요소의 등장이 새로움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환상을 독자나 관객이 느끼기 위해선 망설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는데, 어느 한쪽에 치우친다면 그것은 경이로움이나 이상함과 같은 다른 감정의 형태로 전이되며 자연과 현실에 순응(順應)하는 독자가 초현실적인 뜻밖의 것에 직면했을 때 주저하는 망설임의 태도에서 바로 환상성이 발생한다는 것이다(Todorov, 1970/1975). 즉, 환상에 대한 토도르프의 정의는 경이적인 것과 기괴한 것의 사이, 또는 불확정적인 위치에서의 주저함으로 인하여 환상을 경험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로즈메리 잭슨은 토도르프의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발전시킨 형태로써 토도르프가 기괴한 것과 경이로운 것을 각각의 장르 로 파악한 것에 대하여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Jackson(1986/2001)에 의하면 문학적인 형식은 문학적 용어를 토대로 성립되는 것이며, 경이는 문학 장르이지만 기괴는 문학적 범주에 포함되지 않기에 환상을 장르로써가 아니라 양식(mode)로 규정하고 경이로운 것과 모방적인 것의 상반된 양식 사이에 위치시킬 것을 제시하였다. 즉, 환상적인 것이 작용하는 방식은 대상의 세계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사실적인 것의 모방적인 것과 이러한 실재적인 것들의 재해석을 통하여 나타나는 비사실적인 것의 경이로운 것의 서로 다른 양식 요소들을 결합하여 표출되는 것이다(Jackson, 1986/2001). 다시 말해서, 환상에 대한 로즈매리 잭슨의 정의는 결국 경이로운 것과 모방적인 것의 절충에서 환상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츠베탕 토도르프와 로즈메리 잭슨이 제시한 문학적 환상성 이론의 고찰을 토대로 환상성은 경이성, 괴이성, 모방성의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어느 한 가지 특성만을 표출하는 것이 아니라, 세 가지의 특성들이 서로 조화를 이룸으로써 표출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세 가지 특성을 영화의상에 나타난 환상성의 분석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해보면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The method for analysing movie costum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by fantasy in literature

    label

    The method for analysing movie costum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by fantasy in literature

       2.3. 팀 버튼 감독의 ‘이상한 나라 앨리스’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는 영국 동화작가 루이스 캐럴에 의해 집필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865)’와 후속작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1871)’를 바탕으로 팀 버튼 감독이 자신만의 독창적인 해석을 통하여 영상으로 표출된 새로운 형식의 작품이다(Yang, 2010). Clark(2010)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팀 버튼의 연출의도에 의하면 기존에 제작되었던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들은 상상의 세계에서 다양한 캐릭터들과 함께 어리고 미숙한 소녀가 겪는 방황과 모험에서 표출되는 유희에 초점을 둔 반면에 본 영화에서는 성인이 되기 위한 통과의례(通過儀禮)을 남겨둔 빅토리아 시대의 19세의 숙녀를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자신의 내면세계로의 여행을 통한 성숙한 영혼을 가진 여성으로의 변모를 보여줌으로써 감추어져있던 자신의 힘을 발견함과 동시에 정신적 성장의 이행을 가능케 하는 내적인 이야기를 선보이고자 하였다. 통과의례(Essence Korean language dictionary, 2013)란 현세의 인간이 주어진 삶을 살아하는 과정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상태로의 전환을 맞이할 시 겪어야 할 의례나 의식을 통틀어 지칭하는 용어로써 인간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직면하는 여러 시련들과 그것들을 어떻게 극복해야하는지 등 우리의 삶에 만연해있는 근원적 원형에 대한 사색을 영화에 삽입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현실에서 자아 정체성을 잃고 방황하는 현대인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팀 버튼 감독은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차용하지 않고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풍자 정신, 판타지 구성,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구성(Yang, 2010)만을 살려 전혀 새로운 형태의 영화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영화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로써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접목한 다양한 형태의 영상은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영화에 입문한 감독의 독창적이고 개성 넘치는 창조적 세계관을 엿볼 수 있음과 동시에 영화 속에서 현실과 환상의 세계를 구분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즉, 영화 ‘이상한 나라 엘리스’는 환상문학과 영화,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환상성의 복합적 결정체로써 관객에게 하이퍼 리얼리티를 통한 스펙터클을 제공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Lee, 2010a).

    영화의 줄거리는 주인공인 앨리스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의 도피로부터 발단(發端)되어 진다. 유년 시절 매일마다 이상한 나라를 체험하는 꿈을 꾸게 된 앨리스는 꿈의 기억을 잃은 체 어느덧 19세가 된다. 국제무역을 꿈꾸던 사업가인 아버지를 여읜 직후 다시금 이상한 꿈에 시달리게 되는 앨리스는 원하지 않는 청혼 앞에서 망설이다가 그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정원으로 발길을 돌리고 우연히 마주친 조끼 차림에 회중시계를 든 하얀 토끼를 쫓다 굴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토끼 굴은 현실과 상상의 세계의 경계선이며 그곳을 통과한 앨리스는 기이하고 환상적인 언더 랜드의 세계로 여행을 시작하게 된다. 그 곳에서 그녀는 의인화된 동물들과 곤충들, 미친 모자 장수 등 그 세계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인물들을 만나게 되고 붉은 여왕의 공포정치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는 언더 랜드를 예전의 평화로운 세계로 되돌려줄 사명을 부여받게 된다. 결국, 앨리스는 과거의 기억 속에서의 자기 자신을 발견하게 되고 언더 랜드의 평화를 위해 하얀 여왕의 편에서 여전사가 되어 붉은 여왕에게서 지배당하고 있는 언더 랜드를 구해낸다. 현실로 다시 돌아온 앨리스는 그전의 모습과 다른 당당함으로 자신의 인생과 가업을 개척해나간다.

    이와 같이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는 ‘언더 랜드’라는 새로운 환상의 세계의 이입을 통하여 현실에서 19세 소녀인 주인공이 직면한 사회적 문제점에 대한 도피와 소극적인 내면의 자아성장을 위한 극복을 위한 장으로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문학적 환상성 이론의 특성에 따른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영화의상 분석

    팀 버튼 감독의 영화 ‘이상한 나라 엘리스’는 텍스트 화되어있는 환상문학을 토대로 시각과 청각적인 효과를 동반한 영상이라는 새로운 표현 수단을 통하여 환상계의 허상(虛像)을 좀더 구체적으로 구현시키고자 하였으며, 영화 속에서 영상미학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영화의상 또한 환상성이 그 속에 내재되고 용해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츠베탕 토도르프와 로즈메리 잭슨이 제시한 문학적 환상성 이론의 고찰을 토대로 환상성의 특징인 경이성, 과장성, 모방성을 도출하였고, 그 기준에 근거하여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의 의상에 나타난 환상성의 표현 특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3.1. 경이성

    Alejo Carpentier(Zamora & Faris, 1995/2001)에 의하면 경이란 “놀랍고 비상하고 탁월하기 때문에 감탄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라는 사전적 예를 들어 항상 완연(宛然)한 미적 가치를 지닌 것뿐만 아니라 기존에 존재해있던 규범에서 벗어나는 생소한 것들 또한 경이로운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Kim(2005)의 연구에서는 이상하고 놀라운 것을 의미하는 경이는 현실의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들이 친숙하지 않는 새로운 세계를 접할 때 비로소 느끼게 된다고 하였으며, 이는 인간이 꿈꾸고 열망하는 이상향의 세계, 즉, 초현실계에 대한 거리감이 이계여행을 통한 낯선 세계의 완전한 이입을 통하여 친숙함으로 전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서, 경이성이란 현실의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어떠한 것을 창출해내거나 또는 획일화된 범주의 일탈을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유도함으로써 생성되는 인간의 감정적인 속성의 일부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현실과 가상에 대한 인식의 전환에서 비롯되는 정신적인 즐거움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에 보이는 경이성은 첫째, 엘리스 신체의 변화에 따른 복식의 과장과 축소, 둘째, 의인화된 동물에게 의복을 착용, 셋째, 의상을 통하여 여성의 이미지를 남성적인 이미지로 변모시키는 것, 마지막으로 모자장수의 크로스 드레싱(Cross-dressing)의 형태로 표출되고 있다.

    첫째, 신체변화에 따른 복식의 과장과 축소는 현실과 환상의 경계라고 할 수 있는 토끼굴 속의 장면에서 표출된다. 앨리스는 자신에게 대화를 걸어오는 토끼를 쫓다가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토끼 굴로 떨어지게 된다. 이는 영화 속에서 미연에 새로운 환상의 세계로의 입성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Fig. 1Fig. 2는 앨리스가 토끼 굴에서 환상의 세계로 입문하기전 겪는 상황을 나타내는데, 앨리스는 신비한 약을 먹고 신체의 확장과 축소의 상황을 겪게 된다. 통상, 복식이란 신체의 사이즈를 기준으로 제작되는 것인데 반면 영상에서 앨리스의 의상은 신체가 커지면 의상 또한 동일하게 확장되며 신체가 축소되면 의상 또한 축소되는 일을 겪게 된다. 여기에서 복식은 앨리스가 직면한 상황이 현세의 세계가 아닌 환상의 세계로 입성했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보여주는 복선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현실의 세계에서 의상은 신체의 부피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화하는 유동적인 물질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의상을 활용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기존 규범에 벗어나는 생소한 형태를 보여줌으로써 경이성을 표출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영화 속 환상의 세계에 나타난 다양한 동물들은 인간과 같이 언어를 하며 직립보행을 하는 형태로 표출되며 인간과 같은 의상을 착용하고 있다(Fig. 3, 4, 5, 6). 이는 현실의 세계에서 인간만이 착용하는 의상을 동물에게 입힘으로써 앨리스가 처한 상황이 현실과 다른 세계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영상을 접하는 관객들은 영화 속 동물들이 언어를 한다는것을 통하여 현실에서 환상으로의 변화된 양상을 인식하게 되지만, 인간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의상을 착용시킴으로써 청각적인 감각과 함께 시각적인 형태의 수용을 통한 환상으로의 이입을 가능케 한다. 이로 하여금 관객들이 기존에 인식하고 있었던 동물의 이미지를 탈바꿈해줌과 동시에 현실에서 획일화된 고정관념의 탈피를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통한 즐거움이 경이를 불러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여성인 엘리스가 기사복을 착장함으로써 경이성을 표출한다고 할 수 있다. Fig. 7은 엘리스가 붉은 여왕의 부대와 맞서 전투에 임하는 장면으로 앨리스는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과거 남성의 전유물(專有物)로 여겨졌던 기사복을 착용하였다. 빅토리아 시대를 영화의 배경으로 하는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에서 주인공은 현실에서 연약하고 유약한 소녀의 모습으로 표출되는데, 환상의 세계의 안정과 평화를 책임져야하는 주인공에게 기사복의 착장은 여성의 이미지를 강인하고 야성적인 남성의 이미지로 변모시키는 하나의 기호로 작용하며, 성에 대한 경계를 희석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실에서의 여성에 대한 인식의 구속력을 상쇄시킴으로써 환상적인 경이적 효과를 자아낸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모자장수의 크로스 드레싱의 형태에서 경이성을 엿볼수 있다. 크로스 드레싱이란 이성의 옷을 입는 행위를 일컫는 용어(“Cross-dressing”, 2013)로써 Lee and Yang(1997)에 의하면 사회가 신체를 토대로 규정하는 성규범, 즉, 남성과 여성이라는 사회의 지배적 성 담론에서 벗어나 이성의 복식을 착용하는 것으로써 일탈적 성격이 강하게 표출된다고 하였다. 영화 ‘이상한 나라 엘리스’의 모자장수는 Fig. 8, 9와 같이 흰색얼굴의 분장, 레이스가 달린 현란한 색상의 재킷, 문양이 다른 양말, 형형색색의 드라마틱한 액세서리와 치마를 착용한 의상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이는 신체에서 표출되는 남성의 이미지와 여성성을 표출하는 복식을 중첩시킴으로써 생물학적 성을 기반으로 현실에서 존재하는 사회적 규범의 일탈을 허용한다. 즉, 크로스 드레싱을 통한 경이성의 표출은 현실과는 다른 논리와 질서를 통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현실세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재구성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환상의 세계로의 이입을 가능케 한다고 할 수 있다.

       3.2. 괴이성

    괴이의 의미는 조형예술의 영역에서 유래한 그로테스크 이론에서 찾을 수 있는데 Thomson(1972/1985)에 의하면 공포감을 조성하는 내용과 유희적 표현 양식 사이의 충돌이 빚어내는 감흥의 결과물인 그로테스크는 대상과 지각 주체간의 반응에 연관되는 것으로 서로 공존할 수 없는 이질적인 의미의 요소들이 수평적인 긴장 관계를 유지하며 혼재되어있는 이미지나 사건을 가리키는 동시에 그것이 환기(喚起)시키는 인간의 특정 반응인 호기심과 혐오감의 중심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감정의 총체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또한, Paik(2006)의 연구에서는 “악마적인 것을 통제하려한다”는 Wolfgang Kayser의 이론과 “공포를 웃음으로 변형시킨다”는 Mikhil Bakhtin의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결국 공포나 두려움 등 인간이 느끼는 비가시적인 형태의 심리적 한계로부터 이겨내고자 하는 기능을 내포한다고 하였다. 즉, 괴이성은 표면적으로는 괴상하고 공포스러운 것을 의미하나 그 이면에는 웃음이라는 양면성을 띄고 있으며 이는 현실의 세계에서 논리적 해석이 불가능한 극단적(極端的)인 형태로 표현된다.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에 보이는 괴이적인 특성은 신체의 왜곡과 과장이나 신체의 오브제화를 통한 인위적인 변형을 통해 표출된다.

    첫째, 신체의 왜곡과 과장 면에서 살펴보면, Fig. 10과 같이 붉은 여왕은 폭정으로 이상한 나라를 혼돈으로 빠뜨린 인물로 신체의 크기에 비해 머리가 지나치게 과장된 형태로 나타나있다. 또한, Fig. 11처럼 길게 늘어난 신체의 길이를 가진 기사, Fig. 12와 같이 모자 장수의 큰 동공에서도 인체의 비정상적인 왜곡을 통한 부자연스러움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일반화되어 있는 신체의 크기에서 과도하게 벗어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의 불균형을 일으키며, 이미지의 전복은 관습화된 신체에 대한 기존 질서를 넘어서는 것이다. 즉, 친숙하지 않은, 섬뜩하고 낯선모습으로 형식적인 인체의 미에 대립하는 추상적인 비인체를 실현시킴으로써 관찰자로 하여금 강한 혐오감과 거부감에서 오는 공포감과 웃음을 동시에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환상의 세계로의 인식을 극대화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신체의 오브제화를 통한 인위적인 변형 면에서 고찰해보면, 붉은 왕비의 주위의 귀족들이 아래턱, 코, 귀, 가슴 등 신체의 일부를 유사한 소재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과장되게 장식함으로써 신체를 인위적으로 변형한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Fig. 13,14, 15). 즉, 현실적인 도상으로는 이행될 수 없는 신체의 변형을 오브제를 통하여 가능케 함으로써 다소 무겁게 느껴질 수 있는 괴이적인 특성을 유희적으로 표출하였다. 이처럼 신체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의 해체와 과장을 통한 그로테스크적 접근은 현실에서 환상으로의 새로운 전환을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3.3. 모방성

    Kim(2005)의 연구에서 모방은 사물의 외면적 실재를 복제한다는 의미의 미메시스(Mimesis)와 상응하는 용어로써 인간의 창조성은 초월적인 존재로부터 창조되어진 만물의 모방이라 할 수 있으며, 절대 불변의 신적 창조와는 다르게 변화무쌍하게 변 화를 시도한다고 하였다. 또한, Tatarkiewicz(2006)는 그의 저서에서 “현실의 모조가 모방이다”라고 주장한 플라톤의 모방개념을 발전시킨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 이론을 언급하였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접근을 통한 변형 또한 모방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행위는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기본적인 본능 중의 하나로 결국 그것은 절대자에 의해 창조되어진 자연의 모방이다라고 하였다. 즉, 모방은 어떠한 원상(院相)의 본질적인 재현을 추구하는 것으로써 인간의 창조적인 욕구에 기인하여 표출되는 외적인 형상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절대자에 의해 창조되어진 만물의 복제를 통해 이상의 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내적인 의미 또한 수반한다고 할 수 있다.

    영화 ‘이상한 나라 앨리스’에 보이는 모방성은 다양한 시대적 복식의 모방을 통한 형태의 해체와 절충으로 나타났다. Fig. 17은 붉은 여왕의 의상으로써 전체적인 의상의 형태는 과거 근세 시대의 과장된 실루엣을 표출하고 있으며, 현대에서 사용되는 레귤러 칼라(Collar)를 과장된 형태로 접목시키거나 근대 시대에 유행하였던 메머룩 슬리브의 형태를 차용, 또는 시대의 의미가 불분명한 하트문양의 패턴이 반복적으로 표현된 이질적인 소재를 혼용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여러 귀족들의 의상들 Fig. 18을 살펴보면, 남성 복식의 경우, 에폴렛(Epaulette)이 달린 푸르푸앵(Pourpoint)과 호박바지의 형태인 트루스(Trousse)를 착용하거나 르네상스의 러프 칼라와 바로크 시대에 유행하였던 폴링 칼라를 착용한 형태를 띤다. 또한, 여성 복식의 경우, 몸에 꼭 맞는 로브(Robe)와 버팀대를 활용하여 스커트를 크게 부풀린 근세 시대의 과장된 아워글레스 실루엣(Hourglass silhouette)이 표출되고 있다. 이는 영화 속 실재계(實在界)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빅토리아 시대의 복식과는 상반된 형태를 띤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다양한 시대적 의상의 특징을 모방한 형태의 해체와 절충은 복식의 본질적 의미에 내제된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기억을 해체시키고 시간에 대한 불확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결국, 의상 그 자체는 시간적인 구속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로 지각됨으로써 유일한 존재의 가치를 갖게 된다. 즉, 다양한 시대적 의상의 특징을 모방하여 새롭게 조합된 의상은 시대적 의미의 불확정성을 부여함으로써 영화 속에서 환상 속의 세계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영화 의상에 나타난 다양한 표현 방법들은 영화의 근간이 되는 문학적 환상성의 사고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으며, 현실과 다른 환상계의 구현을 위한 열린 시각과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문학적 환상성 이론의 특징별로 영화 속 의상의 표현 유형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Table 2).

    [Table 2.] Expression types of movie costum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by fantasy in literature

    label

    Expression types of movie costum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by fantasy in literature

    5. 결 론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영상 시대의 출현은 과거 인간의 심상에 내제하고 있는 관념이나 사상을 문자의 형태로 구현한 문학에서 청각과 시각을 동반한 보다 직접적인 형태인 영화로의 전환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문학과 영화는 인간의 내적 표상이 지각되는 형태로 전환되었다는 점과 인간 본연의 표현 욕구라는 본질적인 측면에서 그 맥락을 함께 하고 있으며, 문자가 영상으로 전환되었을 시 인간은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상상의 세계를 현실 세계의 현상과 중첩시킴으로써 현실화된 환상을 경험하게 된다. 그 속에서 나타난 의상 또한 여러 형태의 표현효과를 통하여 환상성을 자아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상과 무의식의 세계를 영상으로 표출하는 대표 적인 영화감독인 팀 버튼의 영화 ‘이상한 나라 엘리스’에서 나타난 영화 의상을 문학적 환상성의 이론 분석을 토대로 마련한 분석 기준에 입각하여 환상성의 표현 특성을 고찰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츠베탕 토도르프와 로즈메리 잭슨의 문학적 환상성 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환상성은 경이성, 괴이성, 모방성의 특성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경이성은 아름답지도 않고 추하지도 않으며, 생소하고 놀라운 것, 기존의 규범에 벗어나는 것으로써 영화에서 나타난 경의성의 특성은 신체의 변화에 따른 복식의 과장과 축소, 의복을 통하여 여성의 이미지를 남성적인 이미지로 변모, 또는 크로스 드레싱의 형태로 표출되거나 의인화된 동물에게 의상을 착용시킴으로써 나타나게 된다. 복식의 과장과 축소, 형형색색의 드라마틱한 액세서리와 치마를 착용한 모자장수나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기사복을 착장한 엘리스, 인간과 동일한 의상을 입은 동물들 등 이는 현실에서 정형화되어있는 기존의 개념을 파괴함과 동시에 놀라움을 자아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괴이성은 기괴하고 매스꺼우면서 희극적이고 유희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어떠한 것으로써 영화에서 나타난 괴이성의 특성은 신체의 과장과 인위적인 변형을 통해 표출된다. 붉은 여왕의 지나치게 커다란 머리, 길게 늘어난 신체의 길이를 가진 기사, 모자 장수의 큰 동공 등과 같이 인체의 비정상적인 과장으로 인한 부자연스러움과 붉은 왕비의 주위의 귀족들이 신체의 일부를 유사한 소재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장식하는 것은 정상적인 인식의 범위를 벗어남으로써 공포의 감정과 아이러니한 쾌감을 동시에 표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모방성은 다른 것을 본뜨거나 본받으려는 성질로써 영화에서 표출된 모방성의 특성은 다양한 시대의 복식의 모방을 통한 형태의 해체와 확장으로 나타났다. 근세 시대의 복식의 실루엣에 현대적인 카라를 접목시킨 붉은 여왕의 의상, 근세 시대의 의상과 러프 칼라와 폴링 칼라의 혼재 등 그 고유의 이미지를 해체하고 의상에 시대적인 의미의 불확정성을 부여함으로써 환상적인 효과를 자아내었다.

    이와 같이 환상성을 내포하는 문학이 시각적인 형태인 영화로 구현되었을 시 문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환상성의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영상미학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영화 의상 또한 다양한 표현 방법을 통하여 환상계의 속성을 표출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환상을 가시화하려는 시도는 새로운 이상세계에 대한 동경과 현실세계에 대한 반증을 의미하는 것이며 앞으로도 새로운 조형 수단과 창조적인 발상의 접목을 통해 지속적으로 표출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영화의상 뿐만 아니라 현대 패션에서도 새로운 사고의 전환을 통한 다각적인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심층적인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2013 Alice wearing a suit of armor,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2. 2013 Aristocrats' clothes through imitating costumes from various ag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3. Baek H. Y. 2007 Study on the fantastic elements in Toni Morrison's beloved:deconstruction and subvers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4. Choi K. S. 2003 환상 [Fantasy] google
  • 5. Choi J. H. 2009 The expression of fantastic body in fashion illust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1 P.867-877 google
  • 6. Chung J. Y. 2011 A study of illustration for fantasy on the principle of figure & grou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7. 'Interview: Tim Burton For Alice in Wonderland' Screencrave google
  • 8. 'Cross-dressing'. Merriam-webster google
  • 9. 2013 Essence Korean language dictionary google
  • 10. 2013 Enlargement in dress due to change of the body.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11. 2013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nose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12. 2013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jaw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13. 2013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breast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14. 2013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ears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15. Hume K, Han C. Y. 2000 Fantasy and mimesis google
  • 16. Jeung K. W.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 of form in non-formative architecture based on the theory of fantasy in litera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7. Jacson R. 2001 Fantasy :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google
  • 18. Kim D. O., Choi J. H. 2011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fantastic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P.396-407 google cross ref
  • 19. Kim M. H. 2005 Aspects of the fantastic and cognitive basis in classical novels [Research of the old Korean novel] Vol.19 P.5-30 google
  • 20. Kim J. H., Kim Y. S. 2013 The analysis of movie costumes using the theory of fantasy in literature -Movie 'Alice In Wonderland'-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Spring Conference] P.160-161 google
  • 21. 2013 Knave of hearts's body through distortion of human body.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22. Kim H. S. 2005 A study on the fashion modeling applied image of flower -Focusing on notions of mime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23. Lee C. R. 2010 A study on fantasy in the work of Tim Burton-Focus on Alice in wonderland-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Vol.6 P.63-86 google
  • 24. Lee E. J. 2010 A study of stippling illustrations for the expression of fantasy: Focusing on daily life sto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25. Lee M. Y. 2005 A study of the expression of fantasy illust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26. Lee Y. S. 2005 판타지 문학의 이해 [Understanding on fantasy literature] google
  • 27. Lee J. H., Yang S. H. 1997 A study on the cross-dress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Vol.35 P.111-134 google
  • 28. Lee E. G. 2011 A medieval motifs in fantasy film cost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29. Leutrat J. L., K. O. Kim, I. H. Oh 2002 The fantasy in the film [Vie des fantomes. Le fantastique au cinema] google
  • 30. 2013 Personified mouse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31. 2013 Personified rabbit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32. 2013 Personified monkey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33. 2013 Personified flog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34. Paik H. K. 2006 A study on theatrical aesthetics of The grotesque : With empha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ime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35. Rhew S. H. 2006 A semiotic analysis of costumes in fantasy films-With a focus on the power image of super hero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36. 2013 Reduction in dress due to change of the body.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37. Smith L. H. 1953 The unreluctant years google
  • 38. Thomson P., Kim Y. M. 1985 The grotesque google
  • 39. Tatarkiewicz W., Sohn H. J 2006 History of six ideas an essay in aesthetics google
  • 40. Todorov T., Howard R. 1975 The fantastic -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google
  • 41. 2013 The Hatter wearing clothes in cross-dressing styl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42. 2013 The Hatter wearing colorful scarf in addition to make-up on a white fac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43. 2013 The red queen’s overly-exaggerated head siz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44. 2013 The Hatter's overly-exaggerated pupil siz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45. 2013 The red queen's dress through imitating costumes from various ag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google
  • 46. Yang Y. J. 2010 A rite of passage used in Tim Burton's film, Alice in wonderland [Folktale and Translation] Vol.20 P.171-197 google
  • 47. Zamora L. P., Faris W. B., Woo S. K., Park B, K. 2001 Magical realism: Theory, History, Community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The method for analysing movie costum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by fantasy in literature
    The method for analysing movie costum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by fantasy in literature
  • [ Fig. 1. ]  Enlargement in dress due to change of the body. 2010 Movie“Alice In Wonderland”official DVD (June 14, 2013)
    Enlargement in dress due to change of the body. 2010 Movie“Alice In Wonderland”official DVD (June 14, 2013)
  • [ Fig. 2. ]  Reduction in dress due to change of the body. 2010 Movie“Alice In Wonderland”official DVD (June 14, 2013)
    Reduction in dress due to change of the body. 2010 Movie“Alice In Wonderland”official DVD (June 14, 2013)
  • [ Fig. 3. ]  Personified mouse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Alice In Wonderland”official DVD (June 14, 2013)
    Personified mouse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Alice In Wonderland”official DVD (June 14, 2013)
  • [ Fig. 4. ]  Personified rabbit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June 14, 2013)
    Personified rabbit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 (June 14, 2013)
  • [ Fig. 5. ]  Personified monkey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Personified monkey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6. ]  Personified flog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Personified flog wearing human cloth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7. ]  Alice wearing a suit of armor.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Alice wearing a suit of armor.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8. ]  The Hatter wearing clothes in cross-dressing styl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The Hatter wearing clothes in cross-dressing styl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9. ]  The Hatter wearing colorful scarf in addition to make-up on a white fac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official DVD(June 14, 2013)
    The Hatter wearing colorful scarf in addition to make-up on a white fac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0. ]  The Red Queen's overly-exaggerated head siz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The Red Queen's overly-exaggerated head siz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1. ]  Knave of Hearts's body through distortion of human body.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Knave of Hearts's body through distortion of human body.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2. ]  The Hatter's overly-exaggerated pupil siz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The Hatter's overly-exaggerated pupil size.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3. ]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nose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nose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4. ]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jaw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jaw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5. ]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breast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breast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6. ]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ears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Exaggerated transformation in the body using ears as objet.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7. ]  The Red Queen's dress through imitating costumes from various ag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The Red Queen's dress through imitating costumes from various ag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Fig. 18. ]  Aristocrats’ clothes through imitating costumes from various ag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Aristocrats’ clothes through imitating costumes from various ages. 2010 Movie “Alice In Wonderland” official DVD(June 14, 2013)
  • [ Table 2. ]  Expression types of movie costum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by fantasy in literature
    Expression types of movie costum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antasy presented by fantasy in literatur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